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54799485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23-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근대의 차라투스트라, 니체
니체의 생애
니체는 어떤 사상가였는가?
우리의 니체
2장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우리의 세계에 대한 가르침
낡은 도덕과 새로운 도덕
새로운 서판을 위하여
새로운 삶을 향하여
3장 철학의 이정표
뤼디거 자프란스키, 『니체』
마르틴 하이데거, 『니체』
질 들뢰즈, 『니체와 철학』
알랭 바디우, 『알랭 바디우 세미나: 프리드리히 니체』
작곡가로서 니체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음악화
생애 연보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결국 니체를 통해 이 시대의 삶을 반추해보는 것, 그것이 이 책을 통해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강조점이다. 우리는 철학을 고정된 텍스트로서만 연구하고 분석해서는 안 된다. 철학을 숭배해서는 안 되고, 철학을 통해, 텍스트를 통해 ‘지금, 여기’ 나의 삶과 사회적 상황을 돌아봐야 한다. 철학은 그럴 때라야 비로소 살아 있는 사유의 힘을 얻을 것이다. 이것은 니체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설명이 아니라, 철학 전체에 해당하는 필자의 강조점이기도 하다. 철학을 살아 있는 것으로 만들자. 철학을 통해 나의, 우리의 삶을 돌아보자.
_서문 중에서
이 와중에도 니체는 초인적 힘을 발휘해 1883년 여름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1, 2, 3부를 집필했고, 1884년 1월에는 마지막 4부를 완성했다. 그는 자신이 최후의 저작을 완성했다 생각했고, 이를 통해 그의 철학적 과제가 완수되었다고 보았다. 힘을 얻은 니체는 이어 1885년 『힘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라는 저작을 구상한다. 1886년 출간된 『선악의 저편(Jenseits von Gut und Bose)』과 1887년 11월 출간된 『도덕의 계보(Zur Genealogie der Moral)』는 서구 도덕철학 전통에 대한 그의 논박을 담고 있는 예리하고 공격적인 저작이다.
_ 1장 근대의 차라투스트라, 니체
이처럼 니체의 철학은 그리스도교에 대적했던 동방의 예언가 차라투스트라를 모델로 차용하여, 형이상학과 기독교 신학이 부정했던 우리의 현존을 긍정하고, 기존에 부정된 새로운 가치들의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니체를 ‘근대의 차라투스트라’라고 명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_ 1장 근대의 차라투스트라, 니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