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88954782685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종교사회학의 창시자, 막스 베버
부유한 개신교 가문 출신
독일 상황과 자유주의 지식인의 문제의식
책의 집필 배경
왜 종교적 원천을 탐구하는가
‘자본주의 정신’이라는 에토스는 실재하는가
2장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읽기
개신교 분파들과 새로운 계층의 등장
자본주의 ‘정신’이란 무엇인가
루터의 직업 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세속적 금욕주의의 종교적 토대들
금욕주의와 자본주의 정신
3장 철학의 이정표
막스 베버, 『직업으로서의 정치』
프리드리히 니체, 『아침놀』
게오르그 짐멜, 『돈의 철학』
버트런드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토마 피케티, 『21세기 자본』
생애 연보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당시까지의 자본주의 사회의 기원에 대한 나름의 관점과 체계적 해명을 정리한 결과물로 우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베버의 새로운 주장은 그의 예상보다 훨씬 더 격렬한 논쟁을 불러왔고, 다른 분야의 연구에도 큰 영향을 끼쳐왔다. 이런 점에서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근대 자본주의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읽어야 할 중요한 텍스트로 간주된다. 그렇지만 이 저작만이 그 주제에 대한 절대적 해석의 지위를 가진다고 결코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또한 누구에게나 비판적 독서를 촉발하는 ‘사유의 지렛대’로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그런 점에서 베버의 이 저작은 명실상부한 현대의 고전이라고 부를 수 있다.
_서문 중에서
현대 사회학의 창시자로 꼽히는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개념적으로 분석하는 대상 중 가장 중요한 열쇠 말은 당연히 개신교와 자본주의일 것이다. 특히 그는 역사적 형태의 자본주의를 ‘자본주의’와 ‘근대 자본주의’ 두 가지로 구별하여 인식한다. 전자는 어느 시대나 장소를 막론하고 인류 문명 안에 존재했던 경제 구조로서 ‘자본주의’ 일반을 가리키고, 후자는 그런 자본주의가 특정한 시기인 근대에 들어와 독특한 경제 활동의 조직화를 이룬 것을 말한다.
_ 1장 종교사회학의 창시자, 막스 베버
한마디로 말해서, 베버는 근대 자본주의 연구에서 간과된 정신적 측면에 대한 해명은 그 ‘정신적 유산’이 경제적 측면에 뿌리를 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해명 과정에서 자본주의 문화에 비판적이든 친화적이든 수리・통계 중심의 경제학이나 여러 집단의 이해관계를 분석하는 정치공학적 방법을 철저히 배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둘의 견해 차이에는 그것보다 더 근본적인 세계관의 차이가 놓여 있다. 즉 단지 자본주의 성장의 주역이 ‘부르주아라는 신흥계급이냐’, ‘청교도 윤리를 장착한 종교적 주체들이냐’에 관한 대립이 아니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을 바라보는 핵심 동력을 물질과 정신 중 어느 것에 치중하여 보는지에 관한 전제가 전혀 다른 입장들이 서 있다.
_ 1장 종교사회학의 창시자, 막스 베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