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55591170
· 쪽수 : 735쪽
· 출판일 : 2003-05-10
책 소개
목차
1장 천명적 세계질서의 붕괴
1. 보수적 반응 : 공자
2. 극단적 반응 : 묵자
3. 사생활 속으로의 은둔 : 양가
4. 소국의 이상화 : 신농의 이상향
5. 합리적 논변의 첨예화 : 궤변론자들
6. 주체성의 발견 : 송견
2장 사회적 위기에서 혀이상학적 위기로 - 하늘과 인간의 결별
1. 공자에서 맹자까지 : 하늘의 품수로서의 인간의 본성에 근거한 도덕성
2. 묵자에서 후기 묵가까지 : 합리적 공리성에 재근거한 도덕성
3. 양가에서 장자의 도가까지 : 자연성으로의 복귀를 통한 하늘과의 화해
3장 하늘 따로 인간 따로
1. 노자의 도가 : 자연성에 의한 통치술
2. 순자의 유가 : 자신의 본성을 통제하기 위한 인간의 창안물로서의 도덕
3. 법가 : 치국책에 관한 무도덕적 과학
4. 두 종류의 정치적 이단
4장 제국 및 천인의 재통일
1. 우주론자들
2. 혼합주의와 유가의 승리
- 부록 1 : 유사 삼단논법에 의한 중국 도덕철학의 분류
- 부록 2 : 중국 사상과 중국 언어의 관계
책속에서
중국 사상을 진지하게 다루는 것은 단순히 중국 사상의 일부에만 합리성을 인정(아마도 그 나머지에는 '철학'의 명칭을 거부)하거나 혹은 노자의 시나 <주역>의 괘 속에서 자신에게 소중한 무엇인가를 발견하는 것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 중국 사상을 연구하는 가운데 항상 우리는 도덕철학에서의 중요한 현대적인 이슈들, 철학과 과학사, 기성의 개념적 구조에 대한 해체, 언어구조에 대한 사고를, 그리고 상관적 사고에 논리를 연결시키는 문제를 만나게 된다. - 본문 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