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5591699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05-10-24
책 소개
목차
1장 가족: 그 새로운 조망 불가능성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개념들 / 이름의 혼란 / 단지 울림과 연기뿐이라고?
전통 가족 이후에 오는 가족 형태의 윤곽들 / 과거의 전통 가족이 지닌 조망 불가능성에 관해
이상적인 가족상의 발달과 쇠퇴
2장 이혼이 정상적인 것이 된다면
1. 가족의 안정성 - 찬성과 반대
2. 가족 발달의 원동력
3. 복잡해진 상황: 이혼가정
4. 전망: 정상적 전기(傳記)에서 제작된 전기로
3장 계획 수립 프로젝트로서의 삶
1. 계획 수립에 대한 사고의 증가
2. 사적 관계 영역에서의 예방책에 대한 사고
3. 계획수립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계획되지 않은 부수적 결과들
4장 세대간 계약과 성별 관계
1. 전통적인 기대: 세대 관계에서 "비밀스런 자원"으로서의 여성
2. 시대의 변화: 세대 관계에서 "부족한 자원"이 되어버린 여성
3. 새 모델을 찾아서
5장 우리는 소망해온 아이를 원한다
1. 현대의 부모 신분: 최적의 후원이라는 법칙
2. 산전 진단법과 유전자 진단법의 상품들
3. 생식의학의 약속들
4. 어떤 미래가 올까?
6장 다(多)문화 가족으로 가는 도정에서
1. 사회적 정돈의 문제
2. 미국의 예: 누가 흑인인가?
3. 국가사회주의(나치)의 역사에서: 누가 유대인인가?
4. 까다로운 개념들: 역사의 짐
5. 오늘날의 독일: 누가 독일인인가?
6. 여러 문화들 사이에서의 생활
주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여러 아이들은 방문을 통해 상이한 가족 세계를 떠돌아다닌다. 즉 새로운 파트너와 함께 살며 양육권을 지닌 '일상생활 속의 한쪽 부모'와, 새로운 가족이 있고 양육권이 없는 '주말의 다른 쪽 부모' 사이를 떠돌아다닌다.
이런 조건에서 상호연결과 복잡한 관계망이 생겨난다. 요컨대 사방으로 가지가 뻗은 도해로만 그려낼 수 있는 복잡한 관계들이다. '결혼 사슬과 이혼 사슬들' ,'연속적 결혼', '다부모 가정', '패치워크 가정',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가족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들이다.
물론 여기서 가장 결정적인 특징은 도대체 누가 가족에 속하는지가 더이상 분명치 않다는 사실이다. 통일적인 개념 정의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결별과 새로운 결합이 주기적으로 교차하는 가운데 어딘가에서 사라져버렸다. - 본문 64~6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