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70134222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03-11-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문화학으로의 전환?-문(예)학의 위축과 확장에 대하여 - 최문규
1. 문학의 위기
2. 문화의 기원과 의미
3. 문화학과 문학의 상관성
4.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
제2장 그리스의 문자 문화와 문화적 기억-호메로스의 정전화 과정을 중심으로 - 고규진
1. 문화, 기억, 문자
2. 그리스의 문자 문화와 문화적 기억
3. 호메로스의 서사시와 고전의 형성
제3장 민요에서의 기억과 망각 - 이해경
1. 문화 그리고 구비문학
2. 민의 문학과 전승 방법
3. 기억과 망각 사이의 민요의 역동성
제4장 기억과 망각 사이의 역사 드라마와 과거 구성 - 김영목
1. 망각된 역사를 찾아서
2. 역사 문화의 흔적들
3. 제국의 몰락과 기억 작업
4. 민족적 기억과 민족 정체성
5. 기억과 망각 : 역사 드라마와 과거 구성
6. 역사적 기억을 넘어서
제5장 기억의 허구성과 서사적 진실 - 김현진
1. 기억과 망각의 심리적 메커니즘
2. 사후성과 서사적 진실
3. 기억과 욕망의 역동적 과정으로서 서사
제6장 망각의 담론, 기능 그리고 역사 - 조경식
1. 망각 현상과 망각 연구의 아포리아
2. 기억이 부정성으로서 망각
3. 기억의 구성 층위에서의 망각
4. 삶의 보조자로서 망각
5. 역사와 망각
제7장 기억과 망각의 역설적 결합으로서 글쓰기 - 박은주
1. 문화적 기억으로서 문학 텍스트
2. 카프카의 텍스트에 나타난 기억 구상
3. 망각에의 욕망과 기억의 역설적 결합 : '진정되지 않은' 망각의 드러남
제8장 문화, 매체, 그리고 기억과 망각 - 최문규
1. 문화적 기억과 매체
2. 문자 매체와 기억·망각
3. 기술적 매체와 기억·망각
4. 매체의 경쟁과 상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