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성일 영화평론집 세트 - 전2권

정성일 영화평론집 세트 - 전2권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 필사의 탐독)

정성일, 정우열 (지은이)
바다출판사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33,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성일 영화평론집 세트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성일 영화평론집 세트 - 전2권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 필사의 탐독)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55615470
· 쪽수 : 1083쪽
· 출판일 : 2010-08-13

책 소개

영화평론가 정성일의 영화평론집 전2권 세트. ‘90년대 시네필 문화’를 낳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키노」를 이끌며 영화 비평의 흐름을 바꿔 놓은 영화평론가 정성일이, 영화평론을 시작한 지 26년 만에 첫 평론집을 냈다. 올드독 정우열이 카툰과 일러스트를 맡은 그의 첫 평론집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와 <필사의 탐독> 2권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책머리에 9
프롤로그 지구라는 행성에서 영화 친구를 사귀는 방법에 관한 작은 가이드 24


좌표
영화비평에 대한 근심과 다시 시작한다는 것 39
1979년 고다르의 경우,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인생)〉
* 주문 47

“나는 사랑하고 있을까? 그래, 기다리고 있으니까!” 52
내가 영화를 사랑하는 방법
* 드라마를 너무 본 어느 개의 체험 수기 56

애타게 그리워한 영화가 있던 곳 59
프랑스 문화원에 대한 기억
* 넥스트 제너레이션 63

그런데 우리들은 어떻게 불려야 하는가 66
영화광을 호명하는 방식에 대하여
* 서울아트시네마의 미스터리 77

시네필의 두 번째 임무, 영화를 두 번 본다는 것 82
영화를 다시 발견하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 입이 열두 개라도 할 말 없어서 마임으로 대신해 본 고해성사 89

당신은 그 영화에서 무엇을 보았습니까 92
두 개의 5월과 세상이라는 질문
* 매트릭스의 변증법적 발전과 그 사이에 놓인 기회주의자의 고뇌 101

영화는 결국 아무것도 아닌가 106
알랭 레네 〈스모킹〉 〈노 스모킹〉

미래에 대한 위도와 경도로서의 영화 114
아시아 영화 지도 그리기

도둑질하고 도둑질당하고 121
왜 한국 문학과 한국 영화는 서로 우정을 나눌 수 없는가
* 문학과 영화와 나의 삼각관계 128

영화를 볼 것인가, 말 것인가 132
김선일 비디오, 영화에서 윤리의 문제
* 약은 약사에게, 질문은 《키노》에게 142

1871년, 파리에서의 가능성 147
피터 왓킨스 〈코뮌(파리, 1871)〉

間 - 지아장커와의 대화 152


감각
장철의 무협영화에 바치는 피끓는 십대 소년의 막무가내 고백담 181
나의 유년 시절을 추억함
* 추억은 방울방울 192

어둠이 밝혀 준 가시성의 숭고 195
더글러스 서크 〈마음의 등불〉

세상에서 가장 슬픈 장면 198
릴리언 기시의 클로즈업
* 천동설 205

우리는 영화를 어떻게 방어하고 긍정할 것인가 209
박찬욱이라는 필모그래피
* 나의 슬럼프 극복 지침서 214

타인의 취향을 이해하는 방법 217
내 친구 곽재용을 소개합니다
* 취향의 소외로부터 스스로를 구원하는 방법 221

영화제에서 길을 잃지 마라 224
영화평론가가 가져야 할 세 가지 태도
* 여차저차 자기검열 만화가의 뒤웅박 인생극장 229

영화의 윤리와 시대정신 232
고다르가 쓴 백지수표
* 카르트 블랑슈를 위한 심사숙고 235

“우리들은 영화를 만들면서 서로를 격려하는 것입니다” 240
구로사와 아키라와의 작별 인사
* 실전! 우정 매뉴얼 248

왜 쇼트를 나누는가 252
오즈 야스지로 〈오차즈케의 맛〉
* 양고기의 맛 261

일본 청춘영화라는 소우주 266
야구치 시노부 〈스윙 걸즈〉
* 암굴견 277

기억이라는 주사위 던지기 280
왕가위 〈2046>
* 2046행 열차 노선도에 관한 사적인 고찰 290

홍상수는 왜 에릭 로메르가 아닌가 293
낭만적 사랑의 거절로부터 시작되는 두 개의 연애
* 홍 감독님과 에 감독님과 우리들의 패션 사용법 303

間 - 장률과의 대화 308


배움
시네마토그래프라는 불가능한 계보학 343
기묘한 영화사, 로베르 브레송

칠판으로서의 영화 365
영화에서의 루소, 장 뤽 고다르

존재의 투명함을 위한 자유간접화법 373
에릭 로메르의 음성-영화

부르주아의 참으로 이상한 세계 382
클로드 샤브롤은 히치콕으로부터 무엇을 훔쳤는가

누벨바그의 라신 또는 새로운 비극 390
자크 리베트의 퍼즐과 미스터리

어쩌면 불가능의 영화 403
장 마리 스트로브와 다니엘 위예의 방법론

“영화도 당신을 원합니까?” 413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영웅적인 절망

‘하여튼’ 살아가야 하는 삶, 그 슬픔에 관하여 424
오즈 야스지로의 집

“영화는 결국 세상에 대한 예의입니다” 431
허우샤오시엔이라는 태도

도래해야 할 시간, 아직 오지 않은 희망 439
구로사와 기요시의 폐허

“왜 당신은 하늘을 보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영화를 봅니까?” 448
차이밍량의 시네마틱 센스

하소연의 쇼트는 어떻게 불현듯 출현하는가 456
가와세 나오미의 자기 고백

영화에서 위대함이라는 질문 480
21세기, 채플린의 영화 다시 보기

自問自答 - 心情 488


발표 지면 510
찾아보기 514


필사의 탐독

책머리에 7
프롤로그 동사動詞, 영화를 본다는 것과 쓴다는 것 14

정은임
애도哀悼, 당신에게 보내는 편지 37

홍상수 〈생활의 발견〉
순열順列, 기억을 둘러싼 내기 49

김기덕 〈해안선〉
유령幽靈, 영겁회귀의 술래잡기 77

이창동 〈오아시스〉
판타지幻想, 기만적인 환영술 97

임권택 〈취화선〉
배움求學, ‘영화’라는 ‘현장’ 125

윤종찬 〈소름〉
구멍陷穽, 죄의식의 테크닉 217

홍상수 〈극장전〉
구조``構造, 잘 알지도 못하면서 229

박찬욱 〈친절한 금자씨〉
구원救援, 천사가 지나갈 때 267

봉준호 〈괴물〉
괴물적인 것怪物的, 삑사리의 정치학 327

곽경택 〈태풍〉 윤종찬 〈청연〉
악순환`惡循環, 자살의 제스처 369

김기덕의 존재론
희생양`犧牲羊, 억압의 메커니즘 379

월드컵 미장센
스펙터클壯觀, 중계의 시네마 389

허진호 〈외출〉
얼룩花點, 차마 말할 수 없는 음란함 417

임상수 〈그때 그 사람들〉
무능력無能力, 역사 안에서의 정치적 수동성 435

이준익 〈님은 먼 곳에〉
모순`矛盾, 희생과 증오의 발라드 449

장률 〈이리〉
장소`場所, 두 개의 방문 481

정재훈 〈호수길〉
긴급함`緊急, 이 시체를 보라 529


발표 지면 550
찾아보기 552

저자소개

정성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화감독, 영화평론가. 〈로드쇼〉의 편집차장, 〈키노〉의 편집장, 〈말〉의 최장수 필자를 거치며 대한민국 영화 비평의 흐름을 바꾸어놓았다. 2009년 겨울 첫 번째 장편영화 〈카페 느와르〉를 찍었으며, 《나의 작가주의 : 왕빙, 영화가 여기에 있다》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필사의 탐독》 등을 썼다.
펼치기
정우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상의 작은 이야기에서 따뜻한 배움을 찾아내는 만화가이자 에세이 작가입니다. 담백한 글과 감성 어린 그림이 어우러진 「올드독의 일기」로 유명합니다. 대표작 『노견일기』, 『올드독의 제주일기』, 『올드독』, 『올드독 다이어리』 외에도 어린이를 위해 그린 「에듀텔링」 시리즈, 『365 글쓰기 다이어리』, 『철학은 내 친구』 등 많은 작품이 있습니다. 웹주소 olddog.kr
펼치기

책속에서

나와 나의 동료들에게 보내는 하소연. 왜 우리는 버림받았는가? 왜 더 이상 영화에 관한 글은 읽히지 않는가? 혹시 우리는 잘못된 길로 들어선 것은 아닌가? 우리는 재판관이 아니며, 해부학을 하는 의사는 더더구나 아니다. 혹은 진리를 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결국 영화에 관한 평이란 무엇인가? …… 우리는 질문을 하기 위해 이 자리에 있는 것이지, 대답을 하거나 혹은 진단을 내리거나 검산을 마치기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과 사실상 영화라는 같은 법칙 안에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환기해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바깥에 있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 '언젠가 세상을 영화가 될 것이다' 중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영화를 끊임없이 현실로 되돌려 주고, 그것이 제기한 영화가 아니라 그 영화를 만들어 낸 사회를 향해 질문하고, 그것이 그러해야 할 필연적인 역사의 과정 안에서 다시 생각하는 것이다. 영화가 펼쳐진 구조와 형식 안으로 들어가 대답을 들으려 할 때 그것은 심연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걸 알고 있는 사람은 앙드레 바쟁이다. 그는 영화의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질료성을 간과하지 말라고 충고했다. 그 어떤 영화도 이미 세상으로부터 던져진 그 질료성 없이는 단 한 걸음도 더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영화의 이미지에는 어떤 노력에도 불구하고 쇼트 안의 이미지로 완전하게 환원되기를 거부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현실의 잉여가 버티고 있다. 그것을 존중해야 한다. -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중에서


구로사와 아키라를 만난 것은 생애에 단 한 번이었다. 구로사와는 사람을 거의 만나지 않고 도쿄로부터 멀리 떨어진 그의 집에, 마치 천황처럼 일본 영화 속에 그저 존재하고 있었다. 그런데 1989년 도쿄영화제에서 갑자기 그의 단 한 번의 공식 인터뷰가 잡혔다.…… (중략)……구로사와는 사진에서보다 훨씬 큰 키를 하고 조금 느린 걸음으로 들어왔다. 그리고 천천히 우리들을 둘러보았다. 우리들은 마치 천황 앞에 늘어선 대신들 같았다. 조용하게 질문이 오고 갔다. 그건 질문이라기보다는 오마주와 그에 관한 살아 있는 긍정처럼 보였다. 그걸 참지 못하고 (철없는) 나는 자신도 모르게 손을 들었다. 그리고 질문했다. “〈라쇼몽〉이 아시아 영화로는 처음 서방세계 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받은 것은 이제 돌이켜 생각하면 아시아 영화에 대한 헛된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은 아닙니까?” 나는 질문을 던져 놓고서야 ‘아차’라는 생각이 들었다. 구로사와는 선글라스 너머 나를 바라보았다. 그리고 느리게 대답했다. “난 그 상을 갑자기 받았지요. 이상하지요? 상은 그런 것입니다. 그러나 영화는 상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하지만 젊은 나에게는 그 상이 필요했습니다. 그건 내가 틀리지 않았다는 격려 같은 것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상은 영화가 아니라 그것을 만드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입니다. 우리들은 영화를 만들면서 같은 동네에 살면서 서로 격려하는 것입니다.” 나는 이 말을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 구로사와는 나에게 영화를 하는 사람들은 같은 동네에 사는 친구들이라고 가르쳐 주었다. - '언젠가 세상은 영화가 될 것이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