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88955641448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3-12-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Part 01
‘호감형, 비호감형 사람의 화술’ 이것이 다르다
good conversation 1. ‘황금법칙’을 이해하고 ‘호감을 주는 사람’이 되자
good conversation 2. ‘맞장구’, ‘끄덕임’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good conversation 3. ‘맞장구’, ‘끄덕임’은 중요한 도구이다
good conversation 4. ‘질문의 기술’을 익힌다
good conversation 5. ‘호감형 화술’에서 대화를 주고받는 것은 불가결이다
good conversation 6. ‘비호감형 화술’에서 긴장감을 주는 공통된 어구
good conversation 7. 대화는 대처법의 반복이다
good conversation 8. ‘순간의 한마디’를 연습하자
good conversation 9. 친한 사이라도 ‘호감형, 비호감형 화술’은 중요하다
Part 02
‘호감형 화술’의 공통점
good conversation 1. ‘호감형 화술’이 가능한 사람은 대화의 교통정리가 능숙하다
good conversation 2. ‘호감형 화술’이 가능한 사람은 화제 전환에도 신경을 쓴다
good conversation 3. 호감을 주는 사람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화술도 능하다
good conversation 4. 말이 아닌 느낌으로 말하는 편이 좋을 때도 있다
good conversation 5. ‘호감형 화술’이 가능하면 인맥이 넓어지고, 자신의 ‘꿈’을 실현하기 쉽다
good conversation 6. ‘호감형 화술’이 가능한 사람은 거절에도 능하다
good conversation 7. ‘호감형 화술’이 가능한 사람은 기분 좋은 목소리를 낸다
good conversation 8. 기분 좋은 목소리를 낼 때에는 템포와 간격이 중요하다
good conversation 9. 대화의 시작에 ‘암시’를 하는 배려를 갖자
Part 03
‘화술’에서의 착각은 이렇게 많다
good conversation 1. ‘호감형 화술’=‘말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다
good conversation 2. 침묵의 간격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good conversation 3. 보디랭귀지를 무시하고 있지 않나?
good conversation 4. 대화의 템포는 상황에 맞춰서 사용하고 있나?
good conversation 5. 첫 대면한 사람에게는 자신의 의견을 강요하지 않는다
good conversation 6.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인용해도 ‘호감형 화술’이 될 수 없다
Part 04
의견이 다른 사람과의 ‘화술’
good conversation 1.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윈-윈 문제해결법’
good conversation 2. ‘윈-윈 문제해결법’은 허심탄회한 대화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good conversation 3.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면 인간관계는 즐거워진다
good conversation 4. 뒤끝이 좋은 영업이란 결론을 상대에게 맡기는 것
good conversation 5. ‘체면을 지키는 것’은 문제해결의 지름길이다
good conversation 6. 회의 등에서 도움이 되는 ‘브레인스토밍법’
good conversation 7. ‘브레인스토밍법’의 장점과 성공비결
Part 05
곤란할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1. ‘핫 버튼’을 눌러버렸다면 데미지를 최소한으로 줄여라
good conversation 2. 기분이 나쁜 사람에게 말하는 법
good conversation 3. 기분이 좋지 않을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4. 공통된 화제가 없을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5. 상대가 화제에 흥미를 느끼지 못할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6. 따라갈 수 없는 대화의 화제를 바꾸는 방법
good conversation 7. 클레임을 들었을 때의 화술①
good conversation 8. 클레임을 들었을 때의 화술②
good conversation 9. 클레임을 걸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10. 상대가 공황상태일 때의 화술
good conversation 11. 비즈니스 상대로부터 유혹의 손길을 받았을 때의 화술
Part 06
‘호감형 화술’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아직도 많다
good conversation 1. ‘호감형 화술’로 사람을 즐겁게 해줄 수 있다
good conversation 2. ‘호감형 화술’은 파티에서도 자신을 강하게 인상짓는다
good conversation 3. ‘호감형 화술’을 하면 처음 만난 상대를 기쁘게 할 수 있다
good conversation 4. 의외의 일면을 알 수 있는 안성맞춤 화제방법
good conversation 5. 일등이 아닌 일류를 목표로 한다
good conversation 6. 말에 의한‘퍼스널 터치’로 상대에 대한 흥미를 전한다
good conversation 7.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면 말에 힘이 생긴다
good conversation 8. ‘호감형 화술’이 가능한 사람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맺음말
책속에서
보디랭귀지는 언어와 필적할 정도의 많은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하고 있다.
“잘 부탁드립니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몸은 외면을 하거나, 인사도 하지 않거나 하면 “잘 부탁드립니다.”라는 마음은 전달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대방은 ‘이 사람은 왜 화를 내고 있는 걸까?’라는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보디랭귀지는 ‘언어’와 ‘몸’의 이중메시지로 양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위화감을 준다.
많은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보디랭귀지를 사용하고 있지만, 능숙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있다. 자신의 기분이 상대에게 전해지지 않거나, 지나치게 오해나 착각을 많이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상의 세 가지 포인트와 자신의 보디랭귀지를 비교해 보자.
그 포인트는 ‘웃는 얼굴’, ‘눈을 맞춘다.’, ‘상체를 조금 앞으로 숙이는 것’이다.
첫 번째의 ‘웃는 얼굴’은 웃는 얼굴로 말하는 사람과 양미간을 찡그리면서 말하는 사람, 어느 쪽이 호감이 갈까?
당연히 웃는 사람에게 친근감이 간다. 양미간에 주름을 지으며 험한 표정을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가까이 다가가기 거북한 인상이 부각되고 있다.
두 번째의 ‘눈을 맞춘다.’라는 것은 부끄러운지 상대의 눈을 보고 말하는 것을 거북해하는 사람이 있는데, 상대가 시선을 피하면 ‘내가 싫은 걸까.’, ‘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 하고 불안감을 느낀다.
상대방의 눈을 계속해서 응시할 필요는 없다. 때로는 시선을 돌리고 손에 든 자료나 넥타이 부근에 시선을 주고, 다시 눈을 맞춘다. 그러면 심리적 압박감은 가벼워진다. 대화의 중간 중간에 눈을 맞추는 것을 의식해 보자.
세 번째의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인다.’는 상대방에게 질문을 하면 그 대답이 나오는 것을 반기는 동작이다. 거만하고 뻣뻣하게 있으면 대답을 하기 거북하지만 조금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것만으로 자신의 진지함이 전해진다.
예를 들어 “어떻습니까?” 하고 말하면서 상체를 조금 앞으로 숙이고 부드러운 시선으로 상대의 대답을 기다린다. 상대가 깨달을 듯 말 듯할 정도의 움직임으로 충분한다.
보디랭귀지는 처음에는 의식을 하면서 실행해야겠지만 이내 습관이 된다. 효과 만점이니 꼭 시험해 보자.
그럼 책상을 사이에 두고 일 대 일 대화를 할 때 서로 간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앉는 법을 설명하겠다.
서로 정면으로 앉으면 두 사람의 ‘기’가 정면충돌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긴장감이 높아진다. 그럴 때에는 몸을 아주 약간 옆으로 향하고 얼굴만 정면을 행한다. 그러면 신기하게도 압박감이나 긴장감이 부드러워진다.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