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에드문트 후설
· ISBN : 9788955867589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2-12-23
책 소개
목차
여는말
1장 후설의 생애
2장 후설의 사상과『 데카르트적 성찰』
3장 『데카르트적 성찰』 출간 동기와 배경
4장 『데카르트적 성찰』의 체계와 내용
1. 제1성찰
2. 제2성찰
3. 제3성찰
4. 제4성찰
5. 제5성찰
6. 결론부
5장 제1성찰: 명증성과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
1. 명증성의 개념
2. 세계의 명증성
3. 초월론적 주관성의 명증성
4. 초월론적 판단중지와 초월론적 환원
5. 데카르트 철학의 한계
6. 초월론적 자아와 심리학적 자아
6장 제2성찰: 지향성과 지향적 분석
1. 초월론적 주관성의 명증적 성격의 구체화
2. 지향성과 지향적 관계
3. 의식의 통일성과 종합
4. 지향적 대상과 지평형성으로서 구성
5. 지향적 삶의 역사성과 지평지향성
6. 자연적 반성과 초월론적 반성
7. 지향적 분석과 보편학의 이념
7장 제3성찰: 명증성의 구조와 총체적 명증성
1. 명증성과 이성
2. 지향적 삶의 보편적 경향으로서 명증성
3. 명증화와 잠재적 명증성
4. 세계경험의 지평적, 추정적 명증성
5. 명증성들의 결합으로서 이념적, 총체적 명증성
8장 제4성찰: 초월론적 주관성의 역사적 이해와 발생적 현상학
1. 체험의 동일한 극으로서의 자아
2. 습성의 기체로서의 자아
3. 모나드로서의 자아
4. 자아에 대한 형상적 분석
5. 초월론적 자아의 체험들의 공존과 연속성
6. 발생의 보편적 형식과 발생적 현상학
7. 능동적 발생과 수동적 발생
8. 수동적 발생의 원리로서 연상의 현상학적 의미
9. 초월론적 관념론과 이것의 인식론적 정당화
9장 제5성찰: 타자구성과 초월론적 상호주관성
1. 타자경험에 대한 초월론적 해명의 필요성과 배경
2. 초월론적 유아론과 초월론적 실재론
3. 현상학적 타자경험의 근본적 방식으로서 감정이입
4. 나의 고유영역으로의 환원과 그 의미
5. 나의 고유영역에서의 신체성
6. 타자경험과 타자신체의 ‘더불어 의식됨’
7. 타자경험의 토대로서 연상작용
8. 타자의 신체성에 대한 동일성의 의식
9. ‘더불어 의식됨’과 ‘직접적 제시’의 융합
10. 타자구성에서 초월론적 자아와 심리적 자아의 연관성
11. 고유영역으로서 자연의 동일성
12. 모나드 공동체와 초월론적 상호주관성
13. 유아론의 극복
맺음말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후설의 생애는 말년에 다소의 굴곡이 있었고, 나치 정권으로 인해 위축되었으나, 전반적으로 학자로서는 비교적 성공적인 삶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당대에 이미 일군의 학파를 형성할 만큼 후설을 따르는 학자들이 많았고, 이들은 후설의 현상학적 정신을 공유하고 전파하고자 했다.
후설의 사상적 흐름의 역사는 이처럼 비현상학적인 단계에서 현상학적 단계로, 그리고 현상학적 단계의 초월론적 현상학으로의 비약 및 발전 그리고 심화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후설은 최후의 순간까지 자신의 현상학이 하나의 종결된 것이 아닌, 여전히 지속적으로 발전해 가야 할 것으로, 말하자면 부단한 발전의 도상에 있는 것으로 이해했다.
후설과 데카르트는 기존의 학문적 틀과 방법론을 일단 배제하고 철학을 완전히 새로운 방법론적 토대 위에서 시작한다는 점과, 이 새로운 출발점을 의식에서 찾으면서 궁극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하는 하나의 보편학 체계를 추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 물론 후설은 데카르트의 공적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그의 한계를 지적하고 자신의 초월론적 현상학과의 차별성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