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56026527
· 쪽수 : 659쪽
· 출판일 : 2006-09-1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서설 : 고고학의 학문적 성격과 목적
제1부_고고학의 기본 틀
1 과거 탐구자들 : 고고학의 역사
1. 사변기
2. 근대고고학의 시작
3. 분류와 통합
4. 고고학의 전환점
5. 고고학의 세계화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 폼페이_고고학 조사의 과거와 현재
2. 진화론적 사고의 영향
3. 19세기 북미 고고학의 선구자들
4. 야외조사 기법의 발전 과정
5. 고고학의 여성 개척자들
6. 과정주의고고학의 핵심 개념들
7. 해석고고학 혹은 탈과정주의고고학
8. 차탈휘익 유적에서의 해석고고학들
9. 점점 넓어지는 고고학의 지평
2 무엇이 남았는가? : 다양한 증거들
1. 고고학적 증거의 기본 범주들
2. 형성 작용들
3. 문화적 형성 작용들 - 사람들은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은 것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
4. 자연적 형성 작용들 - 자연은 고고학적 기록으로 남은 것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
5.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0. 실험고고학
11. 습지 보존의 예_오제트 유적
12. 건지 보존의 예_투탕카멘 왕묘
13. 한랭 보존의 예1_배로우 유적
14. 한랭 보존의 예2_알프스의 냉동인간
3 어디서? : 유적 및 유구의 탐사와 발굴
1. 고고학 유적 및 유구의 발건
2. 유적 및 유구의 평면배치에 대한 평가
3. 발굴
4.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5. 시드니 키프로스 탐사사업
16. 표본추출 전략
17. 고고학의 공중탐사
18. 떼오띠와깐 도면작성 사업
19. 여러 시기가 중첩된 텔 할룰라 유적의 지표면 조사
20. 수중고고학
21. 레드 배이 난파선_발견과 발국
22. 로마시대 록시터 시의 지구물리학적 탐사
23. 자기 측정
24. 통제실험 고고학 유적
4 언제? : 연대 결정법과 편년
상대연대결정법
1. 층서법
2. 형식학적 변천 순서
3. 언어학적 연대 결정법
4. 기후와 편년
절대연대측정법
5. 역법과 역사학적 편년
6. 매년 주기 이용법 : 해빙 연층법과 나이테 연대측정법
7. 방사성 시계 이용법
8. 축적전자 연대측정법
9. 햇수 환산이 가능한 상대연대결정법
10. 편년의 연계
11. 범세계적 편년체계
13. 요약
추천 문헌
테글
25. 마야력
26. 방사성탄소 붕괴의 원리
27.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의 공표
28.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의 보정 방법
29. 아프리카 인류 조상 유적들의 연대측정
30. 테라 화산폭발의 연대측정
제2부_다양한 인간 경험의 발견
5 옛 사회들은 어떻게 조직되었는가? : 사회고고학
1. 사회의 성격과 규모의 설정
2. 사회조직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여타 자료들
3. 이동성 수렵채집사회 연구 기법
4. 분절사회 연구 기법
5. 군장사회 및 국가 연구 기법
6. 개인 및 정체성의 고고학적 연구
7. 정체성의 출현과 사회
8. 젠더 및 아동기의 조사
9. 사회집단 및 출계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10. 요약
추천 문헌
테글
31. 메소포타미아의 취락 분포 정형
32. 언어를 통한 옛 족속의 존재 추정
33. 수렵채집민 야영지의 넓이와 밀도
34. 인자분석과 군집분석
35. 영국 웨섹스 지방의 선사시대 초기 사회
36. 마야 각 중심지의 영역
37. 다차원척도법(MDSCAL)
38. 마운드빌 사회의 분석
39. 갈등과 전쟁
40. 고대 페루의 남과 여
6 환경은 어떠하였는가? : 환경고고학
1. 지구 전체 환경의 조사
2. 경관의 연구
3. 식물 환경의 복원
4. 동물 환경의 복원
5. 인문 환경의 복원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41. 해저 및 빙하 시추 자료를 이용한 기후 복원
42. 기후의 순환_엘니뇨의 경우
43. 동물 퇴적물
44. 화분분석
45. 이랜즈만 동굴
46. 자원 가용권 분석법
47. 옛 환경의 복원 GIS를 이용한 카호키아의 예
48. 쿡 저습지의 옛 농원
7 옛사람들은 무엇을 먹었는가? : 생업과 식단
1. 식물 음식은 식단에 관햬 무엇을 말해줄 수 있는가?
2. 동물 자료로부터의 정보
3. 동물유체로부터 식단, 계절성, 순화를 연구하기
4. 동물자원들은 어떻게 이용되었는가?
5. 인간유체로부터 식단을 평가하기
6. 요약
추천 문헌
테글
49. 고인간식물학_사례연구
50. 영국 버쯔의 철기시대 농장 실험
51. 서아시아 농경 기원의 연구
52. 화석과정연구
53. 동물 뼈의 계수 작업
54. 동물 이빨의 연구
55. 들소 떼 몰아 잡이 유적
56. 농경 기원의 연구_아부 후레이라 유적의 사례
57. 조개더미의 분석
8 옛사람들은 어떻게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였는가? : 기술의 고고학
1. 변성이 되지 않은 소재: 돌
2. 변성이 되지 않은 여타 소재들
3. 합성소재
4. 고고야금학
5. 요약
추천 문헌
테글
58. 브라질 뻬드라 푸라다의 자갈돌은 인공물인가? '지질물'인가?
59. 거석을 들어 올리는 방법
60. 벨기에 레켐 유적 출토 석기의 되맞추기와 사용흔 분석
61. 영국 옛 서머세트 평원의 나무 가공
62. 금속 조직검사
63. 옛 페루의 구리 생산
64. 옛날의 제철법_민족지고고학 실험에 의한 복원
9 옛사람들은 어떠한 접촉을 하였는가? : 교역과 교환의 고고학
1. 상호작용의 연구
2. 교역된 재화의 산지 발견 : 특성 변별 연구
3. 분포의 연구
4. 생산의 연구
5. 소비의 연구
6. 교환과 상호작용 : 완비된 체계
7. 요약
추천 문헌
테글
65. 교환의 방식
66. 위세를 뽐내는 데 쓰이는 소재들
67. 인공물 소재의 조성에 대한 물리화학적 검사
68. 납동위원소 분석법
69. 추세면 분석법
70. 감쇠 분석법
71. 터키 울루부룬 난파선이 말하는 동지중해 교역
72. 오스트레일리아의 녹옥 제품 생산
73. 호프웰 상호작용 권역
10 옛 사람들은 무엇을 생각하였는가? : 인지고고학, 미술 그리고 종교
1. 인간 상징 능력의 진화 과정에 대한 조사 연구
2. 상징들에 대한 연구 작업
3. 문자자료에서 그려낸 인지 지도
4. 위치 설정: 기억의 장소
5. 삼라만상의 계측
6. 기획 : 미래를 위한 지도
7. 사회조직 및 권력의 상징들
8. 내세에 관한 상징들 : 종교의 고고학
9. 묘사 : 미술과 표상
10. 요약
추천 문헌
테글
74. 초기 인류의 관념에 대한 단서들
75. 구석기시대의 동굴미술
76. 구석기시대의 가동미술
77. 마야의 권력 상징들
78. 차빈 유적에서의 배례활동에 대한 조사와 연구
79. 작품 양식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개개 미술가를 식별하는 작업
80. 이집트 미술의 표현 규약
81. 교본 연구로서의 고고학 사례_스웨덴 바위 미술의 해석
82. 양식의 문제
11 옛 사람들은 누구였으며 어떤 모습이었는가? : 옛사람의 고고학
1. 신체 특성의 식별
2. 인간의 여러 가지 능력에 대한 평가
3. 질병, 기형 그리고 죽음
4. 영양수준의 평가
5. 인구 연구
6. 다양성과 진화
7. 정체성의 문제들
8. 요약
추천 문헌
테글
83. 사망 연대의 판정_영국 스피털필즈의 예
84. 옛사람의 얼굴 모습은 어떻게 복원하나
85. 사람 몸 안 들여다보기
86. 이누이트족의 삶과 죽음
87. 린도우인_토탄 늪 속의 사체
88. 유전학과 언어의 역사
89. 신대륙 원주민 기원 탐구
12 사물은 왜 변화하였는가? : 고고학에서의 설명
1. 이주론 및 전파론적 설명
2. 과정주의 접근법
3. 적용 예들
4. 설명의 형태 : 일반적인가, 특정적인가?
5. 설명의 시도 : 한 가지 원인인가? 몇 가지 원인인가?
6. 탈과정주의 혹은 해석고고학적 설명
7. 인지-과정주의고고학
8. 작주, 물질성 그리고 간여
9. 요약
추천 문헌
테글
90. 전파론적 설명이 논박된 사례_대(大) 짐바브웨 유적
91. 분자유전학으로 본 유럽 주민의 이주
92. 농경의 기원 과정주의 설명
93. 마르크시즘 고고학의 핵심 특징
94. 세계의 어족과 언어의 변화
95. 국가의 기원Ⅰ_페루의 사례
96. 국가의 기원Ⅱ_에게 해 지역에 대한 다변수 접근법
97. 고전기 마야의 몰락
98. 유럽 거석문화에 대한 설명
99. 개인이라는 변화의 인자
제3부_고고학의 세계
13 고고학의 실제 : 다섯 가지 사례 연구
1. 와하까 조사사업 : 싸뽀떽 국가의 기원과 성장
2. 미국 플로리다의 칼루사 : 복합 수렵채집민 사회
3. 수렵채집민들 속에서의 연구 : 오스트레일리아 카카두 국립공원
4. 콕 파놈 디 : 동남아시아의 도작 기원
5. 요크와 고고학의 대중화
추천 문헌
14 누구의 과거인가? : 고고학과 대중
1. 과거의 의미 : 정체성의 고고학적 연구
2. 과거는 누구의 소유인가?
3. 과거의 용도
4. 보존과 파괴
5. 누가 과거를 해석하고 제시하는가?
6. 고고학과 대중의 이해
7. 요약
추천 문헌
테글
100. 유적 파괴의 동기_바미얀 석굴
101. 전쟁과 유적 유물의 운명
102. 고고학의 응용_페루의 농경
103. 미국의 문화자원관리(CRM) 관행
104. 유적 보존 사례_멕시코시티의 아즈텍 대신전
105. 유적의 파괴와 대응_미국 밈브레스 유적의 사례
106. 골동품 수집가가 진짜 도굴꾼이라는데?
107. 고고학과 인터넷
108. 사이비고고학
용어해설
옮긴이의 글
참고 문헌과 주
색인
리뷰
책속에서
하지만 고고학의 경제적 용도가 관광과 수집으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고고학은 오늘날 불모지인 많은 지역에서 한때 농업이 번성하였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거기서 현대 농민들이 배울 만한 교훈은 없을까?
(...) 네게브 벤-구리온대학 과학자들은 이를테면 서기전 300년부터 서기 600년 사이의 중요한 대상(隊商) 숙박지 아브다트 읍의 폐허 근처에 나바타인들이 세웠던 고대 농장을 복원하면서 관개나 요즈음의 기술을 쓰지 않고 위와 똑같은 방법들을 이용한 바 있다.
그들은 여기서 가뭄이 든 해에도 다양한 알곡(소출이 많았음), 과일, 야채 그리고 견과류를 기를 수 있었다. 그들은 땅 위를 흐르는 빗물을 모으는 수법을 쓰려면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구릉이 많이 있어야 하며 토양은 배수로를 유지할 만큼 충분이 굳어야 함을 알아내었다. 또 빗물을 모으는 구역의 넓이가 작물을 기르는 구역의 30배는 되어야 한다는 점도 알았다. -- 본문 557~55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