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5640872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1-10-3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제1부 문제해결과 자아발견을 위한 글쓰기 교육
통합(교과형) 논술의 특징과 지도 방법 김정숙
1. 논술의 중요성과 필요성
2. 최근 논술의 경향과 통합논술의 특징
3. 통합(교과형) 논술의 요건과 지도의 실제
4. 통합논술 지도의 방향과 제언
자아 발견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실제 김화선
1. 서론
2. 글쓰기와 글쓰기 주체의 자아 발견
3. 자아 발견을 위한 글쓰기의 단계적 전략
: 담화 공동체를 활용한 발견적 절차의 실제
4. 맺음말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박현이
1. 머리말
2. 교양교육과 자전적 글쓰기
3. ‘집’을 모티프로 한 자전적 글쓰기의 실제
4. 맺음말
협력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박현이·김화선
― 기업 홍보 글쓰기를 중심으로
1. 서론
2. 협력학습과 글쓰기 교수-학습
3. 협력학습을 활용한 ‘기업 홍보 글쓰기’의 실제
4. 결론
디지털 매체, 문학, 의사소통 남기택
1. 디지털과 교양 교육
2. 문학과 영상언어, 이론적 고찰
3. 매체 활용과 의사소통의 사례
4. 맺음말 : 교양 및 글쓰기 교육의 방향
이산적 글쓰기의 한 모색 오연희
1. 텍스트에서 글쓰기로
2. 문학의 확장으로서의 글쓰기
3. 수사학들
4. 새로운 수사학들
5. 탈수사학: 이산적 글쓰기의 한 모색
제2부 서정과 시의식으로서 글쓰기
언어의 심연, 신과 인간 사이에서 요동치는 오홍진
― 2000년대 젊은 시인들의 시와 언어
2000년대의 시쓰기 남기택
1. 현대시의 신구
2. 도약과 변주, 혹은 매너리즘
3. 도저한 미래
서정의 윤리학 오홍진
― 서정성의 의미를 묻다
서정의 분화 한상철
― 이병률론
한성기 시의 고향의식과 시적 형상화 김현정
1. 머리말
2. 고향과 이향(離鄕), 그리고 유랑의식의 시작
3. ‘자연’의 발견, 고향의 발견
4. 소요유적인 삶을 통한 고향의식 확장
5. 맺음말
제3부 서사전략과 현실인식으로서 글쓰기
심훈의 『永遠의 微笑』에 나타난 근대적 글쓰기의 양상 김화선
1. 머리말
2. 소설에 반영된 근대적 매체의 글쓰기
3. 농촌 계몽 소설과 계몽의 위계화
4. 맺음말
서사와 묘사의 상호작용을 통한 원형적 주제의 확장 김정숙
1. 머리말
2. 현실재현방법으로서 서사와 묘사
3. 개별적 경험의 서사와 공감의 페이소스
4. 원형 탐색의 묘사와 보편 주제의 강화
5. 맺음말
이기호 소설에 드러난 글쓰기 방법으로서의 환상과 윤리 고영진
1. 들어가며 - 소설의 의도
2. 부정(不正)을 드러내는 실험적 서사양식 : 환상
3. 소설의 내용형식으로서의 윤리 : 고백과 사과
4. 나가며 - 소설가를 고민하는 소설
부정적인 현실에 대항하는 사회적 소통의 관계망 유경수
― 공지영의 『도가니』를 중심으로
1. 서론
2. 기득권층의 폭력과 침묵의 카르텔
3. 비권력층의 소리 없는 아우성
4. 내면의 갈등과 그 극복
5. 사회적 소통의 관계망 형성
6. 결론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