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 ISBN : 9788956440958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07-11-09
책 소개
목차
해설
1권
1장 감각, 경험, 기술, 학문, 지혜
2장 지혜의 특징
3장 원리 및 원인에 관한 옛 철학자들의 이론
4장 옛 철학자들의 이론(계속)
5장 피타고라스와 엘레아학파
6장 원리에 관한 플라톤의 이론
7장 이전 철학자들과 네 가지 원인
8장 플라톤 이전의 이론에 대한 비판
9장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한 비판
10장 첫째 권 마무리
2권
1장 철학적 탐구에 관한 일반론
2장 원인들의 개수와 종류는 무한할 수 없다
3장 탐구의 성격에 따른 여러 가지 방법들
3권
1장 형이상학이 다룰 주요 물음들의 열거
2장 <난문 1> 모든 원인 및 원리들의 탐구, <난문 2> 증명의 원리들,
<난문 3> 모든 실체들, <난문 5> 실체와 속성, <난문 4> 실체의 종류
3장 <난문 6> 무리와 요소, <난문 7> '원리'란 뜻의 무리
4장 <난문 8> 꼴(형상)의 존재, <난문 9> 원리들의 수와 종류,
<난문 10> 사라지는 것과 사라지지 않는 것, <난문 11> 하나와 있음
5장 <난문 14> 수학적인 대상들의 존재 방식
6장 <난문 13> 잠재/가능 상태와 발휘/실현 상태, <난문 12> 개별자와 보편자
4권
1장 있는 것을 있다는 조건 아래에서 다루는 학문
2장 있는 것과 그 여러 가지 뜻
3장 공리들과 모순율
4장 모순율에 대한 간접 증명
5장 모순율을 부인하는 논변들과 모든 현상이 참이라고 주장하는 논변들에 대한 반박
6장 프로타고라스에 대한 비판(계속)
7장 배중률
8장 모든 것이 참이라는, 거짓이라는 견해들은 옳지 않다
5권
1장 원리
2장 원인
3장 요소
4장 자연
5장 필연적임
6장 하나
7장 있음
8장 실체
9장 같음과 다름, 차이 남, 비슷함과 안 비슷함
10장 맞놓임(대립)
11장 먼저와 나중
12장 능력과 무능력, 가능과 불가능
13장 얼마만큼(양)
14장 어떠함(질)
15장 '어떤 것에 관계 맺음'(관계)
16장 완전함
17장 한계
18장 어떤 것에 따라
19장 배치
20장 갖이(상태)
21장 겪이(성질)
22장 못 갖춤(결여)
23장 가짐(소유)
24장 어떤 것으로부터 (나와) 있음
25장 부분
26장 전체와 모든
27장 훼손됨(불구)
28장 무리
29장 거짓
30장 (우연히) 딸림
6권
1장 으뜸 철학
2장 우연히 딸린 것은 학문의 대상이 아니다
3장 우연히 딸린 것의 원인
4장 '참임'이란 뜻의 있음/…임
7권
1장 실체, 철학과 근본물음
2장 실체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
3장 바탕이 되는 것으로 본 실체
4장 '(어떤 것이) 있다는-것은-무엇-이었는가'(어떤 것의 본질)
5장 대상이 짝 지어진 속성들이 본질이나 정의를 갖는가
6장 각 사물과 그 본질은 같은가
7장 생성과 그 종류
8장 밑감(재료)과 꼴(형상)로 된 복합물만이 생겨난다
9장 우연 발생과 실체 이외의 범주들에 따른 생성
10장 부분들에 대한 정의와 전체에 대한 정의
11장 꼴(형상)의 부분들과 복합물의 부분들
12장 정의된 대상의 단일성
13장 '보편적인 것'(보편자)은 실체일 수 없다
14장 이데아는 실체가 아니다
15장 '개별적인 것'(개별자)과 이데아에 대한 정의는 없다
16장 실체에 관한 두 가지 잘못된 견해
17장 실체는 꼴(형상)이다
8권
1장 감각되는 실체들, 밑감
2장 감각 대상들의 실체로서 실현 상태의 것
3장 이름은 결합된 실체를 나타내는가, 실현 상태와 형태를 나타내는가
4장 자연물의 여러 가지 밑감들과 원인들
5장 밑감, 반대되는 성질들
6장 정의의 단일성
9권
1장 본래적인 뜻의 힘(능력)
2장 이성적 힘과 비이성적인 힘
3장 메가라학파의 주장에 대한 반박
4장 '…ㄹ 수 있음'(가능)과 '…ㄹ 수 없음'(불가능)
5장 힘(능력)의 발휘 상태
6장 힘과 발휘/실현 상태
7장 잠재적으로 있는 것
8장 발휘/실현 상태가 잠재/가능 상태보다 앞선다
9장 좋은 실현 상태와 좋은 잠재 상태, 기하학의 증명
10장 참과 거짓
10권
1장 "하나"의 뜻
2장 '하나'는 실체가 아니라 '있음'과 같은 술어다
3장 하나와 여럿, 같음, 비슷함, 다름, 차이 남, 반대됨
4장 반대됨(반대성)
5장 같은 만큼임은 큼과 작음에 결여로서 맞놓인다
6장 하나와 여럿의 맞놓임(대립)
7장 중간에 있는 것
8장 꼴이 다름
9장 '꼴의 차이'를 낳는 반대성
10장 사라지는 것과 안 사라지는 것은 종류가 다르다
11권
1장 지혜(3권 2-3장을 간추림)
2장 지혜(3권 4-6장을 간추림)
3장 으뜸 철학의 탐구 대상(4권 1-2장을 간추림)
4장 으뜸 철학을 수학과 자연학으로부터 구분함(4권 3장을 간추림)
5장 모순율 방어(4권 3-4장, 8장을 간추림)
6장 모순율 방어(4권 5-8장을 간추림)
7장 신학, 수학, 자연학(6권 1장을 간추림)
8장 '우연히 딸림'과 참임(6권 2-4장을 간추리고 <<자연학>> 2권 5-6에서 뽑음)
9장 움직임(운동)(<<자연학>> 3권 1-3장에서 뽑음)
10장 발휘/실현 상태로 무한한 것은 없다(<<자연학>> 3권 4-5, 7장에서 뽑음)
11장 변화와 운동(<<자연학>> 5권 1장에서 뽑음)
12장 변화의 변화는 있을 수 없다(<<자연학>> 5권 1-3장에서 뽑음)
12권
1장 실체의 세 가지 종류
2장 변화의 요소: 밑감(재료)과 꼴(형상) 또는 이것의 결여
3장 생성의 밑감과 꼴
4장 모든 사물들의 같은 원인들
5장 원리 또는 원인으로서의 잠재/가능 상태와 발휘/실현 상태
6장 맨 먼저 다른 것을 움직이는 영원한 것의 필요성
7장 맨 먼저 다른 것을 움직이는 것과 그 활동
8장 다른 것을 움직이는 실체들의 개수
9장 신적인 이성의 존재 방식
10장 우주에 놓음이 있는 방식
13권
1장 수학적인 대상과 이데아들에 관한 탐구 소개
2장 수학적인 대상들은 독립된 실체가 아니다
3장 수학적인 추상의 정당성
4장 이데아론의 발생 배경과 그에 대한 비판
5장 이데아는 감각 대상들의 변화 원인이 아니다
6장 수들은 사물들의 실체로 보는 다양한 방식들
7장 플라톤의 수론에 대한 검토
8장 프랄톤(계속), 스페우시포스, 크세노크라테스, 피타고라스주의자들에 대한 비판,
이데아적인 수에 대한 비판
9장 이데아적인 크기와 수에 대한 비판, 이데아론 비판
10장 독립적인 보편자를 받아들이는 입장에 대한 비판
14권
1장 반대되는 것들을 원리로 삼는 이데아론과 이에 대한 비판, 하나와 여럿의 다양한 대립 형태
2장 실체의 복수성과 독립적인 수의 존재에 대한 비판
3장 독립적인 수에 대한 비판(계속), 수의 발생에 대한 비판
4장 원리들과 좋음의 관계
5장 수가 나오는 방식의 문제, 수는 사물들의 원인이 아니다
6장 수는 사물들의 원인이 아니다(계속)
참고 문헌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 목록
찾아보기
그리스어-한글
한글-그리스어
고유명사 및 속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관한 언급
리뷰
책속에서
모든 인간은 본래 앎을 추구한다. 이 점은 인간이 감각을 즐긴다는 데에서 드러난다. 우리는 정말 쓸모를 떠나, 감각을 그 자체로 즐기는데, 다른 어떤 감각들보다도 특히 '두 눈을 통한 감각'(시각)을 즐긴다. 무엇을 실천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우리가 어떤 것도 하려 하지 않을지라도, 우리는 말하건대 다른 모든 감각보다도 보는 것을 더 좋아한다. 왜냐하면 감각들 중 시각을 통해 우리는 가장 많이 '느끼어 알며' 여러 가지 차이성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p29 중에서
모든 움직임은 일종의 변화이다. 그리고 변화에는 앞서 말한대로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 가운데 생겨남과 사라짐에 따른 변화는 움직임이 아니다. 이런 변화는 모순되는 것으로 바뀌는 변화다. 그러므로 바탕이 되는 것에서 나와 (다른)바탕이 되는 것으로 바뀌는 변화만이 움직임이어야 한다.-p487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