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서접변 연구의 평가와 전망

동서접변 연구의 평가와 전망

이원석, 엄연석, 한정길, 강중기, 이봉규, 김재현, 양일모 (지은이)
동과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20원
2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서접변 연구의 평가와 전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서접변 연구의 평가와 전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5251316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지난 5년 동안 동서철학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진행한 [근현대 한국의 동서철학사상 접변양상 연구]를 토대로 출간되었다. 이 연구는 우선 한국의 근현대 철학사상의 역사 속에서 동서양의 개념적 접변의 흔적을 탐색하기 위한 새로운 텍스트를 발굴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목차

서론: 산란을 위한 미언 / 이봉규 17

동서 철학사상의 만남 -개념의 접변과 지평의 확대- / 양일모 23
1. 근현대 한국의 철학사상이란 무엇인가? 25
2. 동서철학 사상의 만남과 근현대 한국 철학사상 27
3. 동서철학의 접촉과 접변 33
4. 개념과 지평 36

실학 연구와 동서 접변 / 이봉규 43
1. 실학(實學)은 학술사조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가능한가? 45
2. 연구 시야의 문제: 근대가 구성한 근세론 52
3. 실학과 동서 접변 61
4. 문화권적 시야를 넘어서는 실학 연구를 위하여 65

동도서기론의 문명사와 미래적 전망 / 엄연석 73
1. 동도서기론의 문명사적 지평 75
2. 동도서기론 연구사 개관 78
3. 도기와 리기의 상호 의미연관성 해명 84
4. 동도서기 개념의 형성과 의미 지평 90
5. 개화파의 동서 지평융합에 따른 ‘동도서기’ 개념의 재해석 97
6. 위정척사파와 양명학파의 서양 인식과 동도서기론 101
7. 동도서기론의 함축과 미래적 전망 106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 강중기 111
1. 서양 정치사상 유입과 유교 지평의 변화 113
2. 정치사상에서 유교의 지평 118
3. 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유입 124
4. 서양 정치사상의 유입을 통한 유교 지평의 확장 127

한국 근대 사회사상과 동서접변 / 한정길 133
1. 쟁탈해법으로서의 사회사상 135
2. 한국 근대 사회사상과 동서접변에 대한 연구사 137
3. 본 연구팀의 연구 내용과 그에 대한 평가 148
4.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과제 164

동서사상의 회통 / 이원석 169
1. 20세기 서양철학 수용사에 대한 반성 171
2. 새로운 방법론의 검토 174
3. 단절의 문제 177
4. 연구의 새로운 방향 179

[부록] 집담회: 동서접변연구의 평가와 전망 189
(1) 연구내용 소개 및 소회 발표 191
(2) 공통주제: 번역된 근대와 번역 없는 근대 223
(3) 공통주제: 충군과 애국 243
(4) 공통주제: 동도서기론 261
(5) 공통주제: 수행과 동서접변 -회통 277
(6) 공통주제: 동서사상의 접변과 그 양상들 285

저자소개

한정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양명학, 한국양명학, 조선경학이다. 논문으로 「왕양명의 마음의 철학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1999), 「조선조 관료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2016), 「왕수인의 경세사상」(2017), 「정제두 <대학설>의 특성과 그 경학사상사적 의미」(2019) 등이 있고, 공저로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2014),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2018), 『사회사상과 동서접변』(2019),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심화와 대안』(2022) 등이 있다. 역서로 『전습록』(공역)(1995), 『국역심경주해총람(상·하)』(공역)(2014), 『양명학연론』(2020), 『최명길의 사문록 역해와 심층 연구』(공역)(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봉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다산 정약용 연구』(공저), 『서학의 충격과 접변』(공저), 『이황』 등이 있고, 논문으로 「인륜: 쟁탈성 해소를 위한 유교적 구성」, 「동서의 지적 交錯: 『천주실의』의 理 해석과 그 반향」, 「초기 실학 연구의 학술사적 의의」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1986-2018)로 재직했으며 현재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 사회철학의 모색>(2015), <한국 사회철학의 수용과 전개>(2002),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1996)이 있고, ?중국에서 ‘철학哲學’ 개념의 번역과 수용?(2016), ?철학의 제도화,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2011), ?하버마스의 해방론 연구?(박사논문,1995)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강중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철학과 강사 저서로 『근현대한국총서』(전7권, 공저),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공저), 『중국문명의 다원성과 보편성』(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근대 이행기 중국의 유교 연구 - 장즈둥과 량수밍을 중심으로」, 「19세기 중국에서 ‘문명’과 civilization의 충돌」, 「양수명의 유학관 - 양명학을 통한 선진유학의 재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공저로 『동서사상의 회통』, 『서학의 충격과 접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도전의 이해」, 「이고(李翶)의 성선정악설(性善情惡說)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주희의 역사세계』, 『위잉스 회고록』 등이 있다.
펼치기
엄연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교수 저서로 『조선전기경학사상총론』,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실천』, 『조선전기역철학사』가 있고, 논문으로는 「황윤석의 이수신편에 나타난 이수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 「여헌 역학 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 「유학 경전 속의 ‘열락’에 대한 심미적 이해와 정치적 교화」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