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강중기, 이원석, 김재현, 한정길, 양일모 (지은이)
동과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20원
2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양 정치사상과 유교 지평의 확장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5251286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12-31

책 소개

근현대한국총서. 한국의 근현대 철학사상에서 서양철학과의 만남 혹은 상호 영향 관계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는 점을 지평의 교착과 기본개념의 의미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연구하였다.

목차

서론: 접변하는 전통, 개화의 지평 / 강중기 17

유인석의 민주주의 비판에 나타난 동서접변 / 이원석 25
1. 민주주의와 <우주문답> 27
2. 대통령제와 입헌군주제에 대한 비판 28
3. 자유와 평등에 대한 비판 43
4. 민주주의 비판 47
5. 제왕과 성현의 관계 53
6. 유인석의 정치사상적 변화 64

유길준과 동서사상 접변 -<서유견문>과 <정치학>을 중심으로 / 김재현 67
1. 유길준, 최초의 서구 유학생 69
2. 초기 유학 교육과 현실 경험 71
3. 해외 유학과 새로운 세계관의 형성 75
4. <서유견문>에 나타난 서양사상과의 동서사상 접변 80
5. <정치학>에 나타난 서학과의 동서사상 접변 91
6. 번역을 통해 본 동서사상 접변 95
7. 주체적 문명개화론과 동서사상 접변 97

서재필에서 동서사상 접변 / 김재현 103
1. 서재필과 지평융합 105
2. 갑신정변까지의 경험과 서양사상 수용(1864~1884) 107
3. 미국 유학 시절의 서양사상 수용(1885~1895) 110
4. <독립신문>에 나타난 동서사상 접변 양상 112
5. 배재학당의 협성회 활동, 독립협회 활동과 서양사상 123
6. 번역가 서재필 125
7. <독립신문>, 동서접변의 텍스트 126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에 반영된 서양 정치사상 / 한정길 131
1. 유교와 정치사상 133
2. 「유교구신론」의 제출 동기와 목적 및 그 배경 135
3. ‘인민’중심 유교로의 개혁과 서양 정치사상 143
4. 적극적 구세활동으로의 개혁과 서양 정치사상 158
5. 간이한 학풍으로의 개혁과 서양 정치사상 164
6. ‘유교구신론’의 의의와 한계 176

19세기 말 한국의 유교적 문명론과 정치 / 양일모 181
1. 타자로서의 서양 183
2. 또 다른 지평의 등장 185
3. 지평의 이동과 융합 195
4. 박영효의 유교적 문명론 201
5. 문명 지평의 융합 207

장지연의 애국계몽운동과 서양 정치사상의 지평융합 / 엄연석 211
1. 애국계몽을 통한 동서사상의 지평융합 213
2. 동서철학의 ‘애국’·‘계몽’ 개념의 의미 221
3. 지평융합을 위한 유가철학적 토대 239
4. 서양 철학·정치사상 수용과 지평융합 249
5.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지리적 인식 257
6. 자강과 계몽운동의 방법론과 내용 266
7. 도덕과 제도론의 상보적 지평융합 275

[부록] 동서 사상 접변 연표 / 이원석 279
1. 참고 자료 281
2. 연표를 통해 본 한ㆍ중ㆍ일 서학 도입의 특성 285
3. 주요 사건 연표 288
4. 서학서 및 관계서 연표 315

저자소개

한정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양명학, 한국양명학, 조선경학이다. 논문으로 「왕양명의 마음의 철학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1999), 「조선조 관료지식인의 양명학관 연구」(2016), 「왕수인의 경세사상」(2017), 「정제두 <대학설>의 특성과 그 경학사상사적 의미」(2019) 등이 있고, 공저로 『영·정조대 문예중흥기의 학술과 사상』(2014),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2018), 『사회사상과 동서접변』(2019), 『조선경학의 문화다원론적 심화와 대안』(2022) 등이 있다. 역서로 『전습록』(공역)(1995), 『국역심경주해총람(상·하)』(공역)(2014), 『양명학연론』(2020), 『최명길의 사문록 역해와 심층 연구』(공역)(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1986-2018)로 재직했으며 현재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 사회철학의 모색>(2015), <한국 사회철학의 수용과 전개>(2002),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1996)이 있고, ?중국에서 ‘철학哲學’ 개념의 번역과 수용?(2016), ?철학의 제도화,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2011), ?하버마스의 해방론 연구?(박사논문,1995)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강중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철학과 강사 저서로 『근현대한국총서』(전7권, 공저), 『동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공저), 『중국문명의 다원성과 보편성』(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근대 이행기 중국의 유교 연구 - 장즈둥과 량수밍을 중심으로」, 「19세기 중국에서 ‘문명’과 civilization의 충돌」, 「양수명의 유학관 - 양명학을 통한 선진유학의 재해석」 등이 있다.
펼치기
이원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공저로 『동서사상의 회통』, 『서학의 충격과 접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맹자』의 주요 개념에 대한 정도전의 이해」, 「이고(李翶)의 성선정악설(性善情惡說) 연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주희의 역사세계』, 『위잉스 회고록』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