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7331293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08-04-30
목차
머리말
서론
1.일반적 문제 제기
2.연구의 현재 상황
3.과제 설정과 연구 방법
제1장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긍정적 수용
1.종교적 개인주의와 교회론-「아켈리스와 드레브스에 대한 대답」(1909)
2.바르트의 종교철학적 구상-「종교철학에 대한 이념과 구상들」(1910)
3.신앙과 역사의 종합-「기독교 신앙과 역사」(1910)
4.선험적 확신의 근거와 경험적 확신의 근거의 종합
-칼 하임에 대한 서평(1912)
5.하나님 개념에서의 인격성과 탁월성-「인격적 하나님에 대한 신앙(1913)」
6.결론
제2장 바르트와 슐라이어마허의 대립의 시작
1.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슐라이어마허로부터 거리두기
2.'슐라이어마허 없이'시도되는 신학적 사유
3.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바르트의 최초의 반대
4.결론
제3장 바르트와 슐라이어마허의 명시적인 대립
1.과팅겐 강의의 시작
2.슐라이어마허의 설교
3.슐라이어마허 신학에 대한 바르트의 이해
4.슐라이어마허의 종교철학에 대한 바르트의 이해
5.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바르트의 단호한 반대
6.결론
제4장 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바르트 논쟁의 발전
1.브루너의 슐라이어마허 책에 대한 바르트의 서평(1924)
2.슐라이어마허에 대한 바르트의 첫 번째 출판:
「슐라이어마허의 『성탄 축제』」(1924)
3.바르트의 괴팅겐 교의학(1924/25)에서의 슐라이어마허 수용
4.결론
제5장 바르트의 슐라이어마허 논쟁의 체계적인 성숙
1.뮌스터의 첫 번째 신학사 강의(1926)
2.뮌스터 교의학에서의 슐라이어마허 수용(1927)
3.두번째 뮌스터 신학사 강의(1929/30)
4.결론
제6장 결론
1.역사적·발생적 관점
2.체계적 관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