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징 신화 문화

상징 신화 문화

(에른스트 카시러의 1935~45년 에세이 및 강의)

에른스트 카시러 (지은이), 심철민 (옮긴이)
아카넷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8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상징 신화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징 신화 문화 (에른스트 카시러의 1935~45년 에세이 및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57332351
· 쪽수 : 460쪽
· 출판일 : 2012-04-09

책 소개

한국연구재단 명저번역총서 서양편 508권. 카시러의 유고 글들 중 일부를 묶은 이 책은 카시러의 사망 이후 그의 사상적 편린들이 30여년이 넘도록 그대로 묻혀 있던 시기인 1979년에 출간되었다. 이 책 '서문'에 나와 있듯이, 편자인 붜린 교수는 카시러의 유고 더미 속에서 한 철학자의 육성을 직접 접하면서 이 글들을 가려 뽑은 당시의 정황을 상세히 적고 있다.

목차

머리말___ 7
편자 서문___17

문화철학
1. 철학적 문제로서의 철학의 개념 (1935)___85
2. 문화철학으로서의 비판적 관념론 (1936)___107

역사철학
3.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그리고 비코 (1941-42)___149
4. 헤겔의 국가론 (1942)___167
5. 역사철학 (1942)___185

언어와 예술
6. 언어와 예술 I (1942)___217
7. 언어와 예술 II (1942)___251
8. 예술의 교육적 가치 (1943)___297

국가의 신화
9. 철학과 정치 (1944)___329
10. 유대교와 현대의 정치적 신화 (1944)___349
11. 우리 현대의 정치적 신화의 기술 (1945)___363

인식과 지각
12. 군(群, group) 개념과 지각이론에 관한 고찰 (1945)___401

부록: 카시러의 유고에 관한 설명___431
옮긴이 후기___439
카시러 전집 목록___443
찾아보기___ 451

저자소개

에른스트 카시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는 언뜻 보기에 매력적인 인물이 아니다. 하이데거처럼 화려한 수사와 암호 같은 단어로 자기 철학의 독특함을 주장하지도 않고 비판이론가들처럼 나치 정권에 맹렬히 저항하지도 않았다. 그는 1933년 나치 집권 직후 망명길에 올라 철학으로 당대의 정치적 문제와 씨름하겠다던 맹세를 묵묵히 지켰다. 카시러는 1차 세계대전과 전쟁에서의 패배, 그 여파로 일어난 혁명 그리고 파시즘과 2차 세계대전이라는 유럽의 격동기를 철학자로서 누구보다 냉철하게 살다갔다. 아인슈타인은 카시러를 이렇게 평했다. "인간에 대한 믿음을 지켜나가도록 도와주는, 정갈한 정신과 원숙하고 이해심 많은, 그러면서도 꼿꼿하고 자연스러운 기품을 갖춘 사람이다. "카시러 철학에 흐르는 기본 정신은 한마디로'인간에 대한 믿음"이다.
펼치기
심철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트리어대학교 등에서 수학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루만 개념사전》, 《계몽, 혁명, 낭만주의》, 발터 벤야민의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독일 낭만주의의 예술비평 개념》,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카시러의 《상징 형식의 철학 II: 신화적 사고》・《상징 신화 문화》, 셸링의 《신화철학 1, 2》(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 실린 논문들은 카시러의 만년 10년간의 저작의 일부이다. 이들 논문 가운데 처음 것은 1935년 가을에 스웨덴 예테보리대학에서 행해진 그의 취임강연이고, 맨 마지막 논문은 1945년 봄 그가 죽음을 앞둔 시기에 집필하고 있었던 강연의 초고이다. 이처럼 한 사상가의 미발표 논문들과 접할 수 있다는 것은 자주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카시러의 사상은 언제나 일종의 객관적인 통찰을 담고 있으며, 그는 결코 이 관점의 가치와 힘을 잊은 적이 없다. 그러나 이 관점은 순수한 인식론의 관점이 아니다. 카시러의 견해에서 철학은 사회에 대한 모종의 의무를 지니고 있다. 그 의무란 사회생활과 문화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념들의 일반적인 이해를 보존하고 이를 한층 더 진행시키는 것이다."


"슈펭글러나 하이데거의 경우에서 배울 수 있는 사상의 전반적 경향과, 1차 세계대전 이후 시기에서의 독일의 정치적 사회적 생활 사이에는 어떤 간접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철학이 더 이상 자기의 힘을 신뢰하지 않게 되자마자, 그리고 철학이 단순히 수동적인 태도에 굴복하자마자, 그것은 더 이상 자신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완수할 수 없게 된다. 그 경우 철학은, 인간이 개인적 및 사회적 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어떻게 자기의 활동능력을 발전시켜야 하는가를 가르쳐줄 수 없다. 인간 문화의 몰락이나 피할 수 없는 붕괴에 관한 음울한 예언에 빠지는 철학, 그리고 그의 온 주의력을 오로지 피투성(被投性)에 기울이는 철학은 더 이상 철학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