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57337899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2-05-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I. 서론: 소크라테스의 후예들과 메가라학파
1. 소크라테스의 예언
2. 전통적인 철학 학파들과 소크라테스의 모임
3. 소크라테스주의자들과 철학의 계승
4. 메가라학파 연구의 조건들
4.1. 메가라학파 연구의 난점들
4.2. 고대의 자료들
4.3. 근대와 현대의 연구들
II. 에우클레이데스와 그의 후예들
1. 에우클레이데스
1.1. 생애
1.2. 저술
1.3. 학설
(1) 논쟁에서 상대 주장의 전제들이 아닌 결론을 공격함 / (2) 비유를 통한
논증을 거부함 / (3) 좋음의 단일성 / (4) 극단적 이성주의
1.4. 에우클레이데스와 메가라학파
(1) 학파의 일반적 특징 / (2) 메가라학파의 철학자들
2. 디오클레이데스
3. 칼케돈의 디오뉘시오스
4. 이크튀아스
5. 클레이노마코스
6. 파시클레스
7. 코린토스의 트라쉬마코스
8. 브뤼손
8.1. 인물의 정체
8.2. 저술과 학설
(1) 저술 / (2) 학설
9. 폴뤽세노스
9.1. 생애
9.2. 저술과 학설
III. 에우불리데스와 그의 후예들
1. 에우불리데스
1.1. 생애
1.2. 저술
1.3. 학설
(1) 거짓말쟁이(pseudomenos) 논변 / (2) 더미 논변(sōreitēs)과 대머리(phalakros) 논변 / (3) 두건 쓴 사람(enkekalummenos), 엘렉트라(Elektra), 숨은 사람(dialanthanōn) 논변 / (4) 뿔 달린 사람(keratinēs) 논변
2. 올륀토스 출신의 에우판토스
3. 알렉시노스
3.1. 생애
3.2. 저술
3.3. 학설
4. 아폴로니오스 크로노스
IV. 디오도로스 크로노스와 그의 후예들
1.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1.1. 생애와 저술
1.2. 학설
(1) 자연학 / (2) 언어 이론 / (3) 이른바 ‘대가 논변(kurieuōn logos)’에 관하여 / (4) 디오도로스와 필론의 양상 이론
1.3. 디오도로스는 변증술학파의 철학자인가?
2. 필론
3. 판토이데스
4. 디오도로스의 딸들
V. 스틸폰과 그의 후예들
1. 스틸폰의 생애
2. 스틸폰의 저술과 학설
2.1. 저술
2.2. 학설
(1) 이론 철학 / (2) 실천 철학
3. 스틸폰의 제자들
VI. 결론: 메가라학파의 종언과 유산
부록: 메가라학파 단편 모음
I. 에우클레이데스와 그의 주변
II. 에우불리데스과 그의 주변
III. 디오도로스와 그의 주변
IV. 스틸폰과 그의 주변
V. 보충: 브뤼손과 그의 제자 폴뤽세노스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메가라 철학자들은 학파의 정체성을 규정할 만한 어떤 형이상학이나 윤리학의 체계를 세우기보다는, 오히려 소크라테스의 문답법과 이에 기반한 논박의 기술에 열중했다. 그들은 자기들이 소크라테스적 탐문 정신의 진정한 계승자라고 생각했으며, 스스로를 ‘변증가’라고 불렀다. 반면에 논적들은 메가라 철학자들을 일컬어 말싸움을 일삼는 ‘쟁론가’라 불렀고, 철학자라기보다는 소피스트로 취급하기도 하였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소크라테스의 제자들 중에서도 비교적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처럼 이야기되지만, 막상 그의 생애와 관련해서는 대략 24개 전후의 증언들만이 단편적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그중에서도 내용이 겹치는 것들을 제외하면, 약 14개 정도의 증언들만이 그의 생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에우불리데스의 논변들은 기본적으로 변증술의 형식, 즉 질문과 답변의 교환 형식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변증술적 대화에서 질문자는 대개의 경우 답변자에게 ‘예’ 또는 ‘아니오’로만 답할 것을 요구하는데, 그런 대화 조건에서는 답변자의 선택지가 둘로 제약되기 때문에, 대화의 주도권은 언제나 질문자에게 속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