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57468531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기획자 서문·5
지혜와 함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길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지혜, 밖에서 얻는가 안에서 발견하는가
{초기불교} 지혜, 생각의 경계 너머 ― 이필원·29
1. 생각을 통해서는 도달하지 못하는 길·30
2. 지혜가 갖고 있는 특징·35
1) 지혜는 수단인가 목적인가?·43
2) 지혜에 높고 낮음이 있는가·50
3. 지혜와 번뇌의 관계·61
1) 지혜와 번뇌·63
2) 지혜와 윤리적 행위·70
3) 지혜와 자애·76
4. 지혜는 ‘아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됨’이다·83
참고문헌·87
{대승불교} 대승의 지혜, 정지(正智)와 본지(本知)의 조화 ― 장진영·91
1. 지혜의 세 측면·93
2. 중관학파의 지혜·97
1) 분별지(分別智)와 무분별지(無分別智)·97
2) 공성(空性)과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106
3. 유식학파의 지혜·112
1)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自性)·112
2) 식(識)에서 지(智)로 전의(轉依)·117
4. 불성·여래장사상의 지혜·124
1) 불성(佛性)과 지혜·124
2) 본각(本覺)과 시각(始覺)·130
5. 화엄교학에서의 지혜·137
1) 여래장과 여래법신·137
2) 일승(一乘)의 지혜·144
3) 이이상즉(理理相卽)과 사사무애(事事無碍)·151
6. 정지(正智)와 본지(本知)의 조화·159
참고문헌·167
{선불교} 자성의 자각과 그 활용 ― 김호귀·171
1. 무분별의 분별·173
2. 선정과 지혜·182
1) 지혜와 선정·182
2) 지혜와 발보리심·189
3. 수증관의 변용과 기관·194
1) 점수의 차제정에서 돈오의 견성으로·196
2) 다양한 기관의 창출·203
4. 선문답의 지혜·207
1) 선문답과 침묵·207
2) 견성의 방식·216
5. 인가와 전법의 메커니즘·230
1) 인가와 증명·230
2) 교화와 전법·233
6. 상징과 비유의 풍모·238
1) 무지(無知)의 지(知)·238
2) 무공용(無功用)의 행위·248
7. 기사구명의 본지풍광·254
참고문헌·262
{서양철학} 인공지능 시대의 지혜 사랑 ― 이진우·265
1. 왜 인공지능 시대에 ‘지혜’가 필요한가?·266
2. 지식에서 지혜로·274
1)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274
2) 지식과 지혜의 격차·282
3. 미덕으로서의 지혜·291
1) 소크라테스: 무지의 지혜·291
2) 플라톤: 정의로서의 지혜·300
4. 이론적 지혜와 실천적 지혜·309
1) 실천적 숙고의 두 유형: 제작과 실천·309
2) 올바른 이성과 합리적 선택·315
5. 삶의 의미와 지혜 사랑·323
참고문헌·330
{심리학} 지혜의 심리학 ― 권석만·335
1. 지혜에 대한 심리학자의 관심·336
1) 심리학자가 지혜를 연구하는 이유·337
2) 지혜의 정의와 유형·340
2. 전반적 지혜에 대한 심리학 이론·351
1) 베를린 지혜 패러다임·352
2) 지혜의 균형 이론·361
3) 지혜의 인지발달 이론·365
3. 개인적 지혜에 대한 심리학 이론·367
1) 지혜의 3차원 이론·368
2) 자기초월 지혜 이론·371
3) 지혜의 균형적 통합 모델·373
4) 브레멘 지혜 패러다임·377
4. 지혜에 관한 실증적 연구결과·379
1) 지혜와 나이의 관계·380
2) 지혜와 행복의 관계·383
3) 지혜의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들·387
5. 세속적 지혜와 초월적 지혜의 조화·403
1) 세속적-초월적 지혜와 개인적-전반적 지혜·403
2) 심리학자가 바라본 불교적 지혜·408
3) 지혜 교육의 중요성·411
참고문헌·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