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혜, 타고나는가 배워지는가

지혜, 타고나는가 배워지는가

이필원, 장진영, 김호귀, 이진우, 권석만 (지은이)
운주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혜, 타고나는가 배워지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혜, 타고나는가 배워지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57468531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우리는 지혜를 추구하고 지혜로운 삶을 지향한다. 그렇다면 지혜란 무엇이고, 지혜는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지혜는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밖에서 얻는 것인가, 인간이 본래 타고나는 성품에 구비되어 있는 것인가? 이 책은 불교(초기, 대승, 선)와 서양철학, 심리학 등의 시각으로, 지혜에 대한 지혜로운 통찰을 담고 있다.

목차

기획자 서문·5
지혜와 함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길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지혜, 밖에서 얻는가 안에서 발견하는가

{초기불교} 지혜, 생각의 경계 너머 ― 이필원·29
1. 생각을 통해서는 도달하지 못하는 길·30
2. 지혜가 갖고 있는 특징·35
1) 지혜는 수단인가 목적인가?·43
2) 지혜에 높고 낮음이 있는가·50
3. 지혜와 번뇌의 관계·61
1) 지혜와 번뇌·63
2) 지혜와 윤리적 행위·70
3) 지혜와 자애·76
4. 지혜는 ‘아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됨’이다·83
참고문헌·87

{대승불교} 대승의 지혜, 정지(正智)와 본지(本知)의 조화 ― 장진영·91
1. 지혜의 세 측면·93
2. 중관학파의 지혜·97
1) 분별지(分別智)와 무분별지(無分別智)·97
2) 공성(空性)과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106
3. 유식학파의 지혜·112
1) 삼성(三性)과 삼무성(三無自性)·112
2) 식(識)에서 지(智)로 전의(轉依)·117
4. 불성·여래장사상의 지혜·124
1) 불성(佛性)과 지혜·124
2) 본각(本覺)과 시각(始覺)·130
5. 화엄교학에서의 지혜·137
1) 여래장과 여래법신·137
2) 일승(一乘)의 지혜·144
3) 이이상즉(理理相卽)과 사사무애(事事無碍)·151
6. 정지(正智)와 본지(本知)의 조화·159
참고문헌·167

{선불교} 자성의 자각과 그 활용 ― 김호귀·171
1. 무분별의 분별·173
2. 선정과 지혜·182
1) 지혜와 선정·182
2) 지혜와 발보리심·189
3. 수증관의 변용과 기관·194
1) 점수의 차제정에서 돈오의 견성으로·196
2) 다양한 기관의 창출·203
4. 선문답의 지혜·207
1) 선문답과 침묵·207
2) 견성의 방식·216
5. 인가와 전법의 메커니즘·230
1) 인가와 증명·230
2) 교화와 전법·233
6. 상징과 비유의 풍모·238
1) 무지(無知)의 지(知)·238
2) 무공용(無功用)의 행위·248
7. 기사구명의 본지풍광·254
참고문헌·262

{서양철학} 인공지능 시대의 지혜 사랑 ― 이진우·265
1. 왜 인공지능 시대에 ‘지혜’가 필요한가?·266
2. 지식에서 지혜로·274
1)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274
2) 지식과 지혜의 격차·282
3. 미덕으로서의 지혜·291
1) 소크라테스: 무지의 지혜·291
2) 플라톤: 정의로서의 지혜·300
4. 이론적 지혜와 실천적 지혜·309
1) 실천적 숙고의 두 유형: 제작과 실천·309
2) 올바른 이성과 합리적 선택·315
5. 삶의 의미와 지혜 사랑·323
참고문헌·330

{심리학} 지혜의 심리학 ― 권석만·335
1. 지혜에 대한 심리학자의 관심·336
1) 심리학자가 지혜를 연구하는 이유·337
2) 지혜의 정의와 유형·340
2. 전반적 지혜에 대한 심리학 이론·351
1) 베를린 지혜 패러다임·352
2) 지혜의 균형 이론·361
3) 지혜의 인지발달 이론·365
3. 개인적 지혜에 대한 심리학 이론·367
1) 지혜의 3차원 이론·368
2) 자기초월 지혜 이론·371
3) 지혜의 균형적 통합 모델·373
4) 브레멘 지혜 패러다임·377
4. 지혜에 관한 실증적 연구결과·379
1) 지혜와 나이의 관계·380
2) 지혜와 행복의 관계·383
3) 지혜의 발달을 촉진하는 요인들·387
5. 세속적 지혜와 초월적 지혜의 조화·403
1) 세속적-초월적 지혜와 개인적-전반적 지혜·403
2) 심리학자가 바라본 불교적 지혜·408
3) 지혜 교육의 중요성·411

참고문헌·414

저자소개

권석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부 및 대학원 졸업(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료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임상심리전문가 1급(한국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역임(1993년~2023년)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상담부장 역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역임 한국임상심리학회장 역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장 역임 (사단법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원장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 케이(K)긍정심리연구원 원장
펼치기
김호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 HK교수,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 동국대 선학과에서 선사상을 공부하여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선종의 역사와 사상 및 수행 문화 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무생법인의 구조와 무생선의 실천」 등의 논문 및 『한국 선리논쟁의 연구』, 『강좌 한국선』, 『금강삼매경의 선사상』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장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소장. 원불교 교무이며, 법명은 진수이다. 동국대에서 화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마음의 구조와 치유의 원리, 마음공부 방법론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 「일상생활의 마음공부」, 「마음치유의 원리」, 「마음공부 통합모델」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개벽의 사상사』, 『마음공부공동체를 찾아서』, 『마음챙김, 미국을 깨우다』(공역), 『마음챙김의 불교적 토대』(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명예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