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한상희, 박찬욱, 한자경, 김성철, 김방룡, 박찬국, 권석만 (지은이)
운주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7640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3-11-16

책 소개

밝은 사람들 총서 18권. 언어가 가지는 다양한 역할과 한계, 순기능과 역기능 등에 대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 선불교, 서양철학, 현대 심리학에서의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목차

기획자 서문·5
언어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평안을 향유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7
언어, 진리의 전달인가 왜곡인가

{초기불교} 언어, 깨달음으로 가는 길(한상희)·31
1. 초기불교는 언어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32
2. 언어, 그 본질은 무엇인가?·38
1) 언어의 특성·38
2) 관습적 언어와 궁극적 의미의 언어·47
3. 언어, 어떻게 일어나고 사라지는가?·56
1) 언어의 발생과 문제·56
2) 선정(jhāna, 禪定)의 과정에서 사라지는 언어·69
4. 언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76
1) 붓다의 언어: 깨달음으로 이끌다·76
2) 실천의 언어: 깨달음에 다가가다·84
5. 언어의 한계와 극복·91
참고문헌·97

{대승불교} 은유로 나타나는 세계(김성철)·99
1. 언어에는 힘이 있다·101
2. 언어와 대상은 본질적으로 결합해 있다·104
1) 고대 인도 문헌에 보이는 언어-대상 대응원리의 원형·104
2) 미망사학파에서 대응원리의 발전·108
3) 바르트르하리의 언어철학·113
3. 불교사상에서 대응원리의 부정·123
1) 용수의 언어 분석·123
2) 『유가사지론』 「보살지」의 언어관·128
3) 설일체유부의 언어 이론·136
4. 안혜의 은유 이론·146
1) 모든 언어는 은유다·146
2) 의미는 마음의 심층에 축적된다·155
3) 마음의 속삭임 혹은 정신 언어·160
4) 은유적 표현은 중층적 성격을 갖는다·162
5) 은유 이론은 구제론적 성격을 가진다·163
5. 마음은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은유적 방식으로 세계를 창조한다·165
참고문헌·170

{선불교} 불립문자와 불리문자의 이중주(김방룡)·175
1. 서언·177
2. 북종과 남종의 언어관·186
1) 북종의 자교오종(藉敎悟宗)·186
2) 남종 혜능의 『단경』에 나타난 언어관·191
3. 조사선과 언어·197
1) 선문답에 있어서 언어의 기능·197
2) 선문답의 장치와 해체·205
4. 문자선과 언어·210
1) 문자선의 출현·210
2) 요로설선(繞路說禪)·215
5. 간화선과 언어·222
1) 간화선의 출현·222
2) 사구와 활구·231
6. 결어·236
참고문헌·241

{서양철학} 언어를 사용하는 동물로서의 인간(박찬국)·245
1. 언어를 사용하는 동물로서의 인간·247
2. 고대 그리스철학의 언어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재론적 언어관·248
1) 플라톤의 언어관·248
2)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관·252
3. 중세철학의 언어관: 실재론과 유명론의 대립·254
4. 근대철학의 언어관: 의식에 대한 탐구에 입각한 언어관·259
1) 합리론의 언어관·259
2) 경험론의 언어관·263
5. 현대철학의 언어관: 언어적 전환·268
1) 성찰적 능력의 표현으로서의 언어: 헤르더의 언어관·269
2) 사상을 형성하는 기관으로서의 언어: 훔볼트의 언어관·281
3) 상징형식으로서의 언어: 카시러의 언어관·284
4) 존재 이해의 장소로서의 언어: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언어관·294
5) 의미 그림론과 의미 사용론: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301
6) 해체론적 언어관: 데리다의 언어관·308
7) 진화론적 언어관: 포퍼를 중심으로·311
6. 현대의 언어철학과 의미 재현론의 극복·313
참고문헌·316

{심리학} 말과 마음의 관계: 언어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중심으로(권석만)·319
1. 언어에 대한 학문적 관심·320
1) 언어학과 언어심리학·321
2) 언어와 정신병리 및 심리치료·323
2. 언어의 발달·324
1) 언어의 발달단계·324
2) 언어발달의 기제·329
3) 언어발달의 장애·336
3. 언어와 사고의 관계·341
1) 언어는 사고의 표현 수단일 뿐이라는 관점·342
2)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는 관점·343
3) 언어와 사고는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346
4. 언어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350
1) 언어와 자기의식·350
2) 언어와 인지적 융합·354
3) 언어와 이분법적 사고·361
4) 언어와 심리적 경직성·367
5. 언어는 양날의 칼·374
참고문헌·377

저자소개

권석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부 및 대학원 졸업(임상심리학 전공)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심리연수원 과정 수료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임상심리전문가 1급(한국심리학회)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교수 역임(1993년~2023년)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상담부장 역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생부학장 역임 한국임상심리학회장 역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장 역임 (사단법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원장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명예교수 케이(K)긍정심리연구원 원장
펼치기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박찬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2011년에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로 제5회 청송학술상, 2014년에 『니체와 불교』로 제5회 원효학술상, 2015년에 『내재적 목적론』으로 제6회 운제철학상, 2016년에 논문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로 제6회 반야학술상을 받았다. 그 외의 저서로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니체와 하이데거』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상징형식의 철학I, II, III』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방룡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전북 김제 출생으로 전북대학교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원광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북경대학의 연구학자를 역임하였다. 보조사상연구원의 실장과 불학연구소의 상임연구원을 역임하고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 《한국사상가 10인-지눌(공저)》(예문서원, 2002)과 《보조지눌의 사상과 영향》(보고사, 2006) 등 다수가 있으며, 논문으로 〈보조지눌과 태고보우의 선사상 비교〉, 〈간화선과 화엄 회통인가 단절인가〉등 4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교수. 동국대 인도철학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초기 瑜伽行派의 無分別智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도와 동아시아의 유가행파와 여래장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역서로 《언어, 진실을 전달하는가 왜곡하는가》《대승불교개론》《유식과 유가행》《여래장과 불성》 등이 있다.
펼치기
한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거쳐, 「빠알리 불교 문헌의 성자(聖者)와 수도(修道)」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북대학교 철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