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번뇌, 끊어야 하나 보듬어야 하나

번뇌, 끊어야 하나 보듬어야 하나

이필원, 김재권, 오용석, 박찬국, 이유경 (지은이), 한자경 (엮은이), 박찬욱, 윤희조 (기획)
운주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60원
20,2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번뇌, 끊어야 하나 보듬어야 하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번뇌, 끊어야 하나 보듬어야 하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57466254
· 쪽수 : 365쪽
· 출판일 : 2020-11-17

책 소개

다양한 모습을 지닌 번뇌에 대해 초기불교와 대승불교, 선불교, 서양철학, 심리학에서 바라본 ‘번뇌의 의미와 본질, 구조, 그리고 그 해결 방안에 대한 총체적 고찰’이다.

목차

기획자 서문·5
번뇌를 발판 삼아 성장하기를 기원하며

편집자 서문·9
번뇌와 번뇌 너머

{초기불교} 번뇌, 알아야 끊을 수 있다(이필원)·39
1. 왜 번뇌를 말하는가?·40
2. 번뇌/정서, 어떻게 이해하나?·42
1) Suttanip?ta 4장과 5장에 나타난 번뇌 용례·45
2) 번뇌의 분류 방식·49
3. 번뇌는 어떻게 발생하는가?·57
1) 번뇌/정서에 드리운 느낌, 그리고 망상·58
2) 번뇌/정서를 끊는 방법·67
4. 번뇌/정서의 인지적 특성과 치유·76
1) 번뇌/정서의 인지적 특징·76
2) 번뇌/정서의 치유·83
5. 번뇌/정서는 밖에 있는가, 안에 있는가·89
약호 및 참고문헌·94

{대승불교} 대승불교의 번뇌론의 유형과 그 사상체계(김재권)·97
1. 번뇌의 허망성과 그 전환 가능성·98
2. 초기경전의 번뇌설 이해·106
1) 4성제의 구조와 번뇌의 관계·106
2) 번뇌·업·고의 관계·108
3) 번뇌의 의미와 용례·110
4) 번뇌의 분류체계·117
5) 3불선근·7수면과 12연기의 관계·117
3. 아비다르마불교의 번뇌론 이해·124
1) 설일체유부의 사상적 입장·124
2) 설일체유부의 번뇌론·126
3) 수면과 수번뇌·127
4) 유부의 98수면설·133
4. 반야중관의 번뇌론 이해·136
1) 반야중관의 사상적 입장·136
2) 반야중관의 번뇌론의 특징·138
3) 번뇌의 의미와 그 본성·141
4) 용수의 이제설과 번뇌의 구조·146
5. 초기유가행파의 번뇌론 이해·151
1) 유가행파의 사상적 입장·151
2) 유가행파의 번뇌론의 유형·153
3) 허망분별과 식전변의 관계·156
4) 입무상방편상과 전의의 구조·161
약호 및 참고문헌·170

{선불교} 물고기의 꿈, 그리고 깨어남(오용석)·173
1. 선불교에서 번뇌를 대하는 방식·174
2. 꿈에서 깨어난 물고기·179
1) 발심 물고기의 번뇌와 ‘불성’이라는 미끼·182
2) 해탈 물고기, 발심 물고기를 낚다·190
3. 번뇌와 무분별·202
4. 번뇌는 극복될 뿐 부정되지 않는다·212
5. 자비의 실천으로 번뇌에서 해탈하기·219
참고문헌·222

{서양철학} 서양철학에서는 번뇌 망상이란 문제를 어떻게 보았는가?(박찬국)·225
1. 죄악심중 번뇌치성의 존재인 인간·226
2. 시간적인 존재로서의 인간과 번뇌 망상·230
3. 번뇌 망상의 궁극적 극복과 영원한 현재·236
4. 서양철학의 역사와 번뇌 망상·240
1) 고대 그리스철학-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240
2) 중세철학과 번뇌 망상-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249
3) 근대철학과 번뇌 망상·257
4) 근대 이데올로기와 번뇌 망상·262
5) 과학기술시대에서의 번뇌 망상·263
5. 번뇌 망상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키르케고르를 중심으로·266
1) 유한성과 무한성의 종합으로서의 인간·266
2) 유한한 것들에 집착하는 번뇌 망상·269
3) 무한한 것에 대한 망상에 빠져 있는 삶·276
4) 허무주의적 염세주의라는 번뇌 망상·279
5) 인간에 대한 교만에 빠져 있는 번뇌 망상·280
6) 번뇌 망상으로부터의 구원·281
6. 번뇌-깨달음의 장애인가 발판인가?·285
참고문헌·289

{심리학} ‘번뇌’의 분석심리학적 이해(이유경)·291
1. 심층심리학적 접근의 의미·292
2. 증상으로서의 번뇌·295
1) ‘번뇌’의 주관적 기술에 관하여·295
2) 심리 문제로서의 ‘번뇌’·299
3) ‘번뇌’는 신경증적 증상이다·302
3. ‘번뇌’의 심리분석·306
1) ‘번뇌’의 주체로서의 자아·306
2) ‘번뇌’ 증상의 형성 및 경과·312
3) 증상 없는 신경증·317
4. ‘번뇌’ 증상의 해결·323
1) 자아와 무의식의 관계·323
2) ‘번뇌’ 증상의 목적의미(Zwecksinn)·329
3) 대극의 합일에 의한 증상의 치유·335
5. 현대인의 ‘번뇌’·343
참고문헌·346

찾아보기·349

저자소개

박찬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2011년에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로 제5회 청송학술상, 2014년에 『니체와 불교』로 제5회 원효학술상, 2015년에 『내재적 목적론』으로 제6회 운제철학상, 2016년에 논문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로 제6회 반야학술상을 받았다. 그 외의 저서로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니체와 하이데거』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상징형식의 철학I, II, III』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오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간화선 연구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립대만대학 철학과에서 수학하였으며, 일본 구택대학으로 교환 유학을 다녀왔다. 동국대학교 강사 및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전임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에서 상임연구원으로 있다.
펼치기
김재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능인불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인도유식학 전공. 『한국불교문화의 전승과 실제』(공저), 『깨달음 총론』(공저).
펼치기
이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분석심리학연구소장
펼치기
한자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하였다. 계명대학교를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가르치다가 2025년 2월에 퇴임하여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 『선종영가집 강해』, 『심층 마음의 연구』,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 영지』, 『성유식론 강해 I: 아뢰야식』, 『마음은 어떻게 세계를 만드는가: 일체유심조』, 『능엄경 강해 I·II』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펼치기
윤희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상담학 전공지도교수이며, 불교와심리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학부와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하고,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저·역서로 『붓다와 아들러의 대화』, 『유식과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불교심리학과 인지행동치료』, 『붓다와 프로이트』, 『붓다의 영적 돌봄』, 『만다라 미술치료』, 『심리치료와 행복추구』, 『자비와 공』, 『불교심리학사전』, 『불교상담학개론』, 『한역으로 읽는 알아차림의 확립 수행』, 『불교심리학 연구』, 『불교의 언어관』 등이 있고, 40여 편의 불교심리학 및 불교상담 관련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