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58282044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06-12-28
책 소개
목차
화보
책을 내면서
서론
1부. 낙랑군 설치와 위만조선 유민의 편제
1장. 한의 동방정책과 위만조선
1. 한의 동방정책
2. 위만조선의 지배구조
3. 한사군의 설치배경
2장. 한군현하 위만조선 유민의 동향
1. 군현의 편제 방식
2. 위만조선 유민의 존재 양태
2부. 낙랑군의 통치 구조와 지배 세력
1장. 낙랑군의 통치 구조
1. 군현의 치소와 토성
2. 군현의 장리와 속리
3. 읍락 사회의 내부 구조
2장. 귀틀묘의 성립과 지배 세력 간의 동화
1. 한계 주민의 재지화
2. 고조선계 주민의 한화
3장. 낙랑인의 등장
1. 낙랑인의 형성
2. 낙랑인의 지역적 범위
3부. 중국 왕조의 동요와 낙랑·대방군의 변화 추이
1장. 공손씨 정권의 대방군 설치
2장. 전실묘의 등장과 지배 세력
1. 전실묘의 지역적 특색
2. 낙랑인 중심의 낙랑군
3. 대방군의 지배 세력
3장. 낙랑·대방군의 변동
1. 위·진의 동방정책
2. 낙랑·대방군의 역학 관계
3. 낙랑·대방군의 소멸 과정
결론
보론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낙랑고분 자료와 연구 현황
참고문헌
그림 목록
표목록
지도 목록
찾아보기
ABSTRACT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러나 낙랑.대방군 지역의 고고학 자료는 420여 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동태적으로 변화했으며, 매 시기마다 나타나 특징도 중원 또는 변방 어느 지역과도 일치하지 않는 매우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한대를 거쳐 위진대에 이르는 동방의 변군인 낙랑.대방군 지역에서 확인되는 문화적 독자성의 배경은 무엇이며, 물질 문화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의 배경과 함께 중원 문화와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낙랑.대방군의 역사적 성격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본문 24~2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