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테마로 보는 역사 > 과학/기술사
· ISBN : 9788958283256
· 쪽수 : 251쪽
· 출판일 : 2008-11-28
책 소개
목차
서문
1. 현대과학의 특징
2. 핵과학의 발전과 원자폭탄의 개발
3. 원자력발전의 기원과 성쇠
4. 디지털 컴퓨터의 등장과 PC 혁명(1)
5. 디지털 컴퓨터의 등장과 PC 혁명(2)
6. 인터넷의 등장과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7. 냉전이 잉태한 우주개발 경쟁
8. 합성살충제와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9. 오존층 파괴 논쟁, 전지구적 환경문제의 시작
10. 지구온난화의 길고 굴곡진 역사
11. 환경호르몬이 제기하는 새로운 위협
12. 생명공학 혁명과 대중 논쟁
13. 망원경의 거대화와 천문학의 거대과학화
14. 판구조론 혁명과 냉전 시기의 지구과학
15. 세상의 반, 여성과학자의 좌절과 도전
16. 21세기의 과학기술
참고문헌
사진 출처 목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 컴퓨터는 처음 모습을 드러낸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놀라운 발전을 거듭했고, 이러한 변화에 있어 하드웨어의 발전은 매우 중요한 한 축이었다. 그러나 컴퓨터가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정치·사회·문화적 배경을 빼놓고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1950년대의 대형 컴퓨터가 실시간 컴퓨팅을 강조하게 된 이유는 미-소의 대립이라는 냉전적 맥락 때문이었으며 1970년대 들어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한 배경에는 미니컴퓨터를 이용하면서 애착을 갖게 된 컴퓨터 애호가들의 독특한 취미 문화와 “IBM의 힘을 민중에게”라는 구호를 내걸었던 컴퓨터 해방 운동가들의 저항 문화가 있었다. 이 때문에 1950년대의 컴퓨터는 과학적·공학적 목적으로 요구되었던 것 이상으로 빠르게 발전했으며, 1970년대의 컴퓨터 이용자들은 얼른 보기에 도저히 컴퓨터라고 부를 수도 없어 보이는 기계를 열광적으로 수용하고 이를 발전시켜 오늘날과 같은 컴퓨터 문화를 형성해 나갔던 것이다. - p.82~83 5장 '디지털 컴퓨터의 등장과 PC 혁명(2)' 중에서
1970년대에 촉발된 오존층 파괴 논쟁에서 정책결정자들은 불확실한 이론에 근거해 인간 생활에 매우 요긴한 화학물질의 규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시간이 흘러 오존층 파괴의 증거가 쌓이면서 규제의 필요성에 대해 대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그들은 어떤 물질을 언제부터 얼마나 규제할 것인가를 놓고 국가간에 나타난 첨예한 갈등을 넘어서야 했다. CFCs(염화불화탄소, 프레온)에 대한 규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제적인 공동 대처를 이루어낸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꼽힌다. 그런 점에서 오존층 파괴 논쟁은 앞으로 지구온난화나 내분비계 교란물질(환경호르몬) 같은 새로운 전지구적 환경문제의 위협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 p.133 9장 '오존층 파괴 논쟁, 전지구적 환경문제의 시작'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