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8895862221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8-01-14
책 소개
목차
서설 - 18세기 한 인문주의자의 제주 르포
탐라문견록
서문
탐라문견록
제1화: 1687년 조천관 주민 고상영의 안남국 표류기
제2화 : 1729년 신촌 사람 윤도성의 대만 표류기
제3화 : 1729년 아전 송완의 대만 표류기
제4화 : 1679년 관노 우빈의 일본 취방도 표류기
제5화 : 1698년 성내 백성 강두추?고수경의 일본 옥구도 표류기
제6화 : 1724년 도근천 백성 이건춘의 일본 대마도 표류기
제7화 : 1723년 조천관 백성 이기득의 일본 오도 표류기
제8화 : 1723년 성내 백성 김시위의 일본 오도 표류기
제9화 : 1726년 북포 백성 김일남?부차웅의 유구국 표류기
제10화 : 1704년 관노 산해의 일본 양구도 표류기
제11화 : 1701년 대정현 관리의 일본 옥구도 표류기
제12화 : 1729년 도근천 주민 고완의 일본 오도 표류기
제13화 : 1720년 대정현 백성 원구혁의 일본 신공포 표류기
제14화 : 1730년 관노 만적의 가라도 표류기
제15화 : 어떤 사람의 이상한 섬 표류기
최담석전
영해기문(瀛海奇聞)
탐라기(耽羅記)
순해록(循海錄)
해산잡지(海山雜誌)
- 어떤 사람에게 보낸 편지
탐라귤보(耽羅橘譜)
- 서문
- 상품 5종
- 중품 5종
- 하품 5종
부록
귤유보(橘柚譜) 임제
귤유품제(橘柚品題) 조정철
추사 감귤론(秋史 柑橘論) 김정희
탐라직방설(耽羅職方設) 중 감귤론 이강희
원문
리뷰
책속에서
안남 사람들이 네모나게 진을 만들었다. 대오가 정돈되고 엄숙하여, 시끄럽게 떠드는 소리가 없었다. 우리를 진 앞에 앉혀놓고, 글을 써서 수고했다고 지극히 위로했다. 조금 있더니 마을 사람들이 저마다 밥과 죽, 술과 고기를 가지고 와 먹게 했다.-p51 중에서
천연지를 보려고 덩굴을 더위잡고 돌 비탈을 올라 골짜기 속을 굽어보며 들어갔다. 비가 와서 시내가 붙었다. 푹포의 흐름은 내뿜는 듯 100여 척이나 쏟아져 내리고, 그 소리가 요란하게 울렸다. 벼랑 가까운 곳의 나뭇가지와 잎은 물의 기세에 따라 잔뜩 움츠렸다.-p169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