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8720041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4-1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두 과학자와의 행복한 동행 - 김병종
황우석 - 생명은 희망이다
내 친구 소 이야기
생명의 노래를 부르는 화가 | 자연과학도 인간으로부터 비롯된다 | 여명의 빛 | 영혼의 대화 | 땅을 닮은 사람 | 소 같은 성실함으로 | 등 안 대기 클럽 | 흙이 만물을 키워내듯 | 찍소 정신 | 너는 책 박사 | 복제 연구에 첫발을 디디다
생명복제그 비밀의 문
인간을 복제한다고? | 불가능에 가까운 복제생명 | 인간을 위한 복제 | 어디서부터 생명으로 볼 것인가 | 고통을 넘어 생명으로 | 복제의 제1원칙인간 | 생명을 담보로 한 선물 | 6개월 10일짜리 돈생豚生 | 난자기증에 대한 오해 | 아름다운 사람들
또다른 하늘을 열기 위하여
아무도 믿지 않았던 기적 | 실험실의 젊은이들 | 미래는 밝다 | 일에 미쳐야 얻는다 | 농부의 마음으로 | 생명 사랑은 내 곁의 사람부터 | 절망을 두려워하지 말기를 | 망중한을 꿈꾸며
바이오 코리아, 그날까지
무엇을 위하여? |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 | 일반석을 고집하는 이유 | 가장 반가운 소식 | 진정한 지도자| 세상을 바꾸는 작은 불씨 | 나의 충전소 | 과학의 출발점
최재천 - 알면 사랑한다
대관령을 되넘다
강릉을 향한 귀소본능 | 가시고기와 동물행동학 그리고 운명 | 하늘이 보내준 천사 | 운명은 또다시 큰 원을 그리고 | 결국 미시간 대학으로 | 친구를 많이 사귀어라
과학의 대중화에서 대중의 과학화로
과학적인 생각이 필요하다 | 자멸하는 인간의 모습 | 비극의 쳇바퀴를 멈춰 세우자 | 벌은 엄해야 효력이 있다 | 풍요의 악순환을 끊자 | 개미가 가르쳐준 위기 관리법 | 자연과 비자연, 과학과 비과학 | 교육에도 자연과학적 실험을 | 다윈의 성선택론과 여성의 지위 | 즐거운 상상과 끔찍한 현실
인간의 서식지는 이제 과학이다
과학 기술력이 국력인 이유 | 너무 일찍 들이닥친 이공계 위기 | 555제와 과학문화 석좌교수 | 선택과 집중 그리고 균형 | 히딩크와 기초과학 | 과학의 민주주의와 평생 과학 교육 | 멋진 신세계를 위한 새로운 윤리 |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심비우스로
리뷰
책속에서
지난 10년 동안 나는 주요 일간지에 줄곧 개인 칼럼을 통해 또는 각종 오피니언란에 초대 받아 다양한 사회 문제들에 대해 많은 글을 써왔다. 나는 가끔 과학자가 뭘 그렇게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느냐는 질문을 받는다. 칭찬 반 비난 반의 질문인 줄로 안다. 모든 문제에 대해 내가 항상 당당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 문제에 관한 내 답변은 언제나 거침없고 명확하다. "나는 사회생물학자다. (...) 개미나 까치가 사회를 이루고 사는 모든 모습을 관찰하듯 나는 우리 인간 삶의 모든 것들을 관찰한다." --본문 254쪽에서
만약 우리 연구팀이 계속 실패만 했더라면 많은 사람들은 내 선택이 부적절했다고 결론 내렸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우리의 연구가 결국 실패로 끝났다 할지라도 내 결심은 옳았다고 믿는다. 모든 연구자가 부딪쳤던 난관은 누군가 언젠가 넘어야 할 벽이고, 그 벽은 무수한 실패 끝에 비로소 뛰어넘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문 5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