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근현대한국문화
· ISBN : 9788959060146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05-08-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커피는 보약이었다
머리말 2: 커피에 미쳐 지낸 시간들
제 1장 '개화' 와 '근대' 의 바람을 타고 (1896~1944)
고종의 커피 사랑 / 커피는 서양문물의 상징 / 일본식 다방의 등장 / 카카듀가 퍼뜨린 '다방취미' / 영화배우 복혜숙의 '비너스' / 문화예술인을 위한 '멕시코다방' / '모던 보이', '모던 걸' 의 활약 / 소설가 이상의 다방 편력 / '휘가로' 의 <글루미 선데이> 사건 / '다방의 푸른 꿈'
제 2장 '사랑방' 에서 '다방' 으로 (1945~1959)
'C 레이션' 과 봉선화다방 / '마돈나' 와 '모나리자' / 다방은 '거리의 항구'
/ 리어카 노점에 등장한 미군부대 커피 / 커피라는 물건의 정체 / 커피 회충약의 추억
/ 사랑방을 대체한 다방 / 커피 요금 줄다리기 / 이희승의 <다방> / 다방은 '고등 룸펜' 의 피난처
제 3장 '커피 단속' 에서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 까지 (1960~1969)
실업자와 사기꾼이 들끓는 다방 / 공적(公敵) 으로 지목된 커피 / '혁명 분위기' 를 위하여
/ 커피는 귀물 중의 귀물 / 기(氣) 죽지 않기 위해서 / '모닝커피' 의 시대
/ 다방 출입에 한(恨) 맺히다 / 펄 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 / 다방의 전성시대
제 4장 <찻집의 고독> 에서 '맥스웰 하우스 커피' 로 (1970~1979)
인스턴트 커피가 변화시킨 다방 문화 / 마담과 레지의 활약상 / 음악 전문 다방과 DJ의 탄생
/ '퇴폐다방' 의 인기 / 다방이 모두 없어진다면? / '고고 열풍' 과 '해장 커피'
/ 가정방문 교사들의 고통 / '커피의 행복' / '꽁초 커피' 와 '톱밥 커피'
/ '프리마' 와 '커피믹스' 의 탄생 / 커피 자판기의 탄생
제 5장 안성기의 미소, 자판기 커피의 전성시대 (1980~1989)
'맥심' 과 '상카' 의 탄생 / '손님 접대 꼭 커피로 해야 하나' / 안성기가 등장한 '분위기광고' / 법정으로 간 커피 자판기 / 여대생 아르바이트의 등장 / '음악다방'. '화랑다방'. '심야다방'
/ '노땅다방' 과 '음란다방' / '커피 안 마시기 운동' / '커피 전문점' 의 등장
/ 동서식품과 네슬레의 한판 승부
제 6장 커피 전쟁과 커피 고급화 (1990~1999)
동서식품과 네슬레의 광고전쟁 / 중. 고교생의 과도한 커피 애용 / 자판기 커피에 사랑을 담아
/ 커피의 프렌차이즈 문화 / 캔커피 돌풍과 맥심의 이미지 / 티켓다방의 확산 / 스타벅스의 등장
/ 커피와 대중가요
제 7장 '국민음료' 로 등극한 커피 (2000~2005)
'사랑' 과 '일' 사이에서 / 한국은 인스턴트 커피 대국 / 티켓다방의 번성
/ 에스프레소와 테이크 아웃 문화 / 미국 스타벅스의 성공 비결 / '미국적인 취향' 을 찾아서
/ '워킹커피' 혹은 '패션커피' 의 등장 / 커피와 대중가요
맺는말: '근대화' 의 상징과 '사교' 의 매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커피의 역사에서도 오리엔탈리즘의 슬픈 역사를 읽을 수 있다. 조선에 들어온 커피는 미개국이 아니라 개명국의 상징이었다. 그래서 커피의 색깔은 감히 '땟국물처럼 시커먼'이라고 표현되지 않았다. 그건 오히려 보통 사람들은 좀처럼 근접하기 어려운 전통 한방 보약 색깔이었다. TV 프로그램에 하루에도 수십 잔의 커피를 마신다는 할머니가 소개된 적이 있는데 그 할머니도 커피가 보약이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물론 웃으면서 한 말이었지만, '한국 커피의 역사'는 그렇게 말할 만한 배경이 있었다는 걸 말해준다.
한국인에게 커피는 보약처럼 여겨졌다. 적어도 70년대까지 일부 시골 지역에선 커피가 보약처럼 떠받들여졌다는 증거가 무수히 많다. 가마솥에 커피를 타 온 동네 사람들이 돌아가며 마셨다는 이야기들도 있다. 근대화(서구화)라는 종교를 갖게 된 국민들로선 커피가 서양인들의 주된 음료하는 사실 자체가 중요했던 것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