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88959337163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15-03-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코리언의 역사적 트라우마 비교
제1장 코리언의 식민 트라우마 비교
1. 코리언의 근원적 트라우마: 식민 트라우마
2. 코리언의 식민 트라우마 양상
3. 코리언의 식민 트라우마 강도
4. 식민 트라우마의 치유 방향
제2장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삶과 이산 트라우마
1. 한민족의 이산 역사와 이산 트라우마
2.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거주국에서의 삶과 이산 트라우마
3. 코리언 디아스포라가 바라보는 한국과 이산 트라우마
4. 이산 트라우마의 치유를 위한 정책 제언
제3장 코리언의 삶과 분단 트라우마
1. 코리언의 삶에 고착된 분단 트라우마
2.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분단 트라우마
3. 한국인과 탈북자의 분단 트라우마 양상
4.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분단 트라우마 양상과 극복을 위한 제언
제2부 코리언의 분단 트라우마 양상
제4장 제주 4·3을 통해 보는 분단 트라우마의 시작과 현재
1. 남북의 분단 트라우마 연구에 놓인 4·3의 자리
2. 4·3의 역사: 통일민족국가 건설에 대한 열망의 좌절과 4·3의 발발
3. 제주민의 구술 생애담을 통해 본 4·3트라우마의 양상
4. 4·3트라우마 재생산의 문제와 그 치유의 길
제5장 빨치산을 통해 본 분단체제 강화기의 국가폭력
1. 빨치산의 역사적 배경
2. 그들은 왜 빨치산이 되었나?
3. 분단서사가 빚어낸 국가폭력과 상처
4. 통합서사를 통한 화해와 치유의 길
제6장 분단이 남긴 또 다른 상처, 납북어부
1. 분단의 심연
2. 남북분단의 상처, 납북어부
3. 돌아온 고향, 그리고 간첩혐의
4. 수십 년 만에 되찾는 인권
5. 좌절하지 않고 살아온 세월, 그리고 남은 과제
제7장 탈북민의 시기별 유형과 탈북 트라우마 양상
1. 탈북민, 미리 온 통일 역군인가?
2. 탈북 트라우마의 개념과 조사 현황
3. 탈북 시기별 유형
4. 탈북 트라우마의 양상
5. 탈북 트라우마 치유를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