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59337576
· 쪽수 : 167쪽
· 출판일 : 2014-09-25
책 소개
목차
1부 조선학교 바로알기
· Q&A 01 _이국땅에서 민족학교를 설립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을 텐데요. 언제, 어떻게 설립되었는지요?
· Q&A 02 _조선학교에서 ‘조선’이라는 이름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 Q&A 03 _조선학교는 전국에 몇 개나 있나요? 학생들은 얼마나 되는지요? 국적도 알고 싶습니다.
· Q&A 04 _아이들의 민족교육을 받을 권리를 위해 많은 힘겨운 투쟁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사건을 소개해주세요.
· Q&A 05 _조선학교가 지금까지 걸어오면서 겪었던 장애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요?
· Q&A 06 _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료를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고교 무상화’ 제도의 대상에서 조선학교 10개교만이 제외되었습니다. 왜 이러한 차별을 하는 것인지요?
· Q&A 07 _일본 시민들은 조선학교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요?
· Q&A 08 _유엔에서는 이러한 조선학교 차별 문제에 대해 어떠한 권고를 해왔는지요?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궁금합니다.
· Q&A 09 _조선학교에 대한 차별에 대해 학교와 학생들은 어떻게 대항하여 왔는지요?
· Q&A 10 _일본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면 수업료도 저렴하고, 차별받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부모님들은 어떤 심정으로 아이들을 조선학교에 보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Q&A 11 _조선학교를 북한의 학교로 보고 조선학교 출신자는 한국이나 일본의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인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면 좋을까요?
· Q&A 12 _이북과 조선학교는 어떤 역사적 관계가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지금까지 한국과는 아무런 교류도 없었는지요?
· Q&A 13 _약 10년 전, 토지를 빼앗으려 한 도쿄도에 의해 존폐 위기에 처했던 조선학교를 돕자는 캠페인을 TV 뉴스로 접한 적이 있습니다. 이 학교는 지금 어떻게 되었는지요?
· Q&A 14 _남과 북 그리고 일본 세 나라 사이에서 ‘경계인’으로 살아야 했던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통일에 대한 바람과 꿈을 키워왔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그러한 소망을 엿볼 수 있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Q&A 15 _조선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한국에 대해서 어떤 이미지,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지요?
· Q&A 16 _조선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성적 경쟁이 심한가요? 한국의 학생들처럼 방과 후에 주로 학원에 가는지요? 방학 동안에는 어떻게 지내는지요?
· Q&A 17 _고급학교 졸업 후 주로 어떤 직업을 갖고 사회에 진출하는지 궁금합니다. 조선학교 출신자 중 유명 인사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요?
· Q&A 18 _여러 악조건과 편향된 시각 속에서도, 민족교육을 지켜왔다는 사실이 정말 놀랍습니다. 이러한 사례가 역사적으로, 세계적으로 또 있는지 궁금합니다.
2부 <삽화로 보는 조선학교 > 나와 조선학교 _ 윤병호
3부 <에세이로 읽는 조선학교 > 조선학교 이야기
· 나와 조선학교 _ 리명옥
· 나의 사라진 고향들 _ 구량옥
· 내 아이를 조선학교에 보내는 이유(일본 학교를 졸업한 한 재일동포 어머니의 이야기) _ 신가미
· 재일조선인과 통일 _ 김진환
· 몽당연필과 조선학교 _ 권해효
· 조선학교 역사와 현황(일본 정부는 조선인의 민족교육권을 어떻게 다뤄왔는가?) _ 사노 미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