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

(투쟁의 시간, 삶의 공간)

배지원, 조경희, 오영호, 유승창, 김태기, 다나카 히로시, 이성, 이타가키 류타, 한동현, 후지나가 다케시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 (투쟁의 시간, 삶의 공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1253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조선학교. 한국사회에서 이 이름은 어떤 울림을 가질까. 해방 후 조선학교가 걸어온 길은 한반도 격동의 역사와 깊이 맞물려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일궈진 민족교육의 장은 재외동포 커뮤니티로서 보기드문 풍부한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목차

머리말
1부┃해방과 투쟁
1장 탈식민화 과정으로서의 조선학교 역사 _ 오영호
1. 들어가며
2. 독자기 (1945년~1954년) : 민족교육의 터전 창출과 재일조선인의 투쟁
3. ‘이식’형 국민교육기 (1955년~1962년) : 조선학교의 갈등
4. ‘재일’형 국민교육기 (1963~1969년) : 재일조선인의 생활을 기반으로
5. 맺으며 : 투쟁과 창조

2장 GHQ의 재일조선인 정책과 민족교육 투쟁 _ 김태기
1. 들어가며
2. GHQ에 의한 대일 점령통치의 구조와 성격
3.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에 대한 CIE의 입장
4. 1.24 통첩
5. 한신교육투쟁
6. 제2차 조선인학교 폐쇄조치
7. 맺으며

구술 “우리 선생님을 때리지 말라!” 땅을 치며 분개했던 4월 24일 _ 오형진

2부┃분단 조국과 일본 사이에서
3장 한일회담과 민족학교 문제 _ 이 성
1. 들어가며
2. 일본 동화 정책의 확립
3. 민족학교를 둘러싼 논쟁
4. 맺으며

4장 1970년대 오사카 공립학교의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 _ 유승창
1. 들어가며
2. 민족교육과 본명호명운동
3. 민족교육 운동의 교육적 실천
4. 민족교육 운동과 문학교육
5. 맺으며

5장 조선학교 여학생들의 ‘치마저고리 교복’의 의미 _ 한동현
1. 들어가며
2. 치마저고리 디자인의 원류는 ‘신여성’ 패션
3. “우리에게도 조국이 있다!”
4. 자주적 착용의 확산에서 제도화로
5. 치마저고리 교복의 탄생을 촉진시킨 여성들
6. 맺으며

3부┃권리로서의 민족교육
6장 조선학교 습격사건에서 민족교육의 권리와 레이시즘을 생각하다 _ 이타가키 류타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의 현재
3. 조선학교와 일본사회
4. 맺으며

7장 고교무상화 제도와 조선학교 배제 _ 후지나가 다케시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 배제의 과정
3. 제도 적용을 요구하며
4. 맺으며
보론 1
보론 2

보론 고교무상화법 시행규칙 1-1-2. “고등학교 과정과 유사한 과정”에 관한 의견서 _ 다나카 히로시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는 “각종학교로 인가해서는 안 된다”(통달)
3. ‘교육의 동등성’ 승인
4. 대학입학자격 인정도 ‘동등성의 승인’
5. 고교무상화와 외국인학교
6. ‘납치문제’와 ‘북한문제’에 짓눌린 조선고교 무상화
7. (다)에 의해 지정된 두 개의 외국인학교
8. 조선고교 심사 ‘동결’ 해제 이후의 경위
9. 우여곡절 속에서도 진척된 조선고교 심사
10. 조선고교는 제외한다!
11. 유엔에서의 ‘해명’은 통하지 않았다
12. 한국에서 확산되는 조선학교에 대한 공감과 지원
13. 시모무라 문부상의 갈짓자 행보
14. 맺으며

저자소개

이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수성 예민한 초등학생들의 우정과 사랑 이야기를 섬세하게 쓰는 작가이다. 아이들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이 담긴 어린이 소설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멋진 인어공주들의 사랑의 하모니』,『오빠가 없었으면 좋겠어』,『반짝반짝 열한 살의 여행일기』,『엉터리 일기』,『비밀을 말해줘서 고마워』,『열두 살이란 말로는 어려워』,『과연, 우리가 친구가 될 수 있을까?』,『어쩌면 날 좋아할지도 몰라』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동해 출생. 호남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일본 히토츠바시대학(一橋大) 법학연구과(석사 및 박사) 국제관계학 전공. 재일조선인문제를 중심으로 일본정치외교, 동북아국제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 있다. 대표논저로 「『戰後』 在日朝鮮人問題の起源: SCAPの對在日朝鮮人政策1945年~1952年」,「미국의 대일 점령정책과 재일조선인의 경제적 권리」(2012), 「아나키스트 박열과 해방 후 재일조선인 보수단체」(2014) 등이 , “The Korean War and Koreans in Japan: An Actor Analysis”(2014) 등이 있음.
펼치기
배지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1년 서울 출생. 조치(上智)대학 대학원 저널리즘학 석사. KIN(지구촌동포연대) 전 운영위원. 번역서에 『재일조선인의 가슴 속』(2003), 『강제철거에 맞선 조선인 마을 우토로』(2005), 『재일조선인 아리랑 : 망간 광산에 새겨진 차별과 가해의 역사』(2010), 『조선학교 이야기: 차별을 딛고 꿈꾸는 아이들』(2014)이 있음.
펼치기
이타가키 류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2년 니가타현 사도佐渡에서 태어났다. 2006년 도쿄대학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문화인류학 코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08년에는 박사학위 논문을 토대로 한 저서 《朝鮮近代の歴史民族誌: 慶北尚州の植民地経験》(明石書店)을 간행했다(《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혜안, 2015). 이후 코리아 근현대 사회사, 식민주의와 근대, 민족문제 등을 주요 테마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전개하며 《東アジアの記憶の場》(공저, 2011), 《日記からみた東アジアの冷戦》(공저, 2017) 등을 집필했다. 다수의 연구 성과는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공저, 2004), 《식민지라는 물음》(공저, 2014) 등의 책을 통해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한편, 국가주의, 식민주의, 인종주의 등에 반대하는 사회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番組はなぜ改ざんされたか》(2006), 《위안부 문제와 식민지 지배 책임》(공저, 2016), 《재일조선인과 조선학교》(공저, 2017) 등을 간행하기도 했다. 현재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学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다나카 히로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일본 오카야마현 출생. 경제학자. 일본 히토츠바시(一橋) 대학 퇴임 후 동 대학명예교수에 취임. 전공분야는 일본과 아시아의 관계, 식민지와 전쟁 책임, 재일외국인 문제 등이다. 대표논저에 『在日外人: 法の壁,心の溝(재일외국인)』(1994), 『後60年を考える: 補償裁判籍差別史認識(전후 60년을 생각하다: 보상재판국적차별역사인식)』(2005), 『日韓新たな始まりのための20章(한국과 일본의 새로운 시작)』(공저, 2007)등 다수.
펼치기
조경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 일본학/사회학 전공.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였고 “제국일본/식민지조선의 사회사업과 민중통치” 연구로 도쿄외국어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식민지 사회사, 재일조선인, 젠더와 소수자 등이다. 주요 공저에 『주권의 야만-밀항, 수용소, 재일조선인』(한울, 2017), 『‘나’를 증명하기-동아시아에서 국적, 여권, 등록』(한울, 2017)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한울, 2017), 『?余の?を?く:沖?、韓?、パレスチナ』(明石書店,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오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4년 도쿄에서 출생했으며, 재일조선인 3세, 조선적(朝鮮籍)이다. 조선대학교(일본) 리공학부를 졸업하고 도쿄가꾸게이대학 대학원 교육학연구과에서 석사학위, 히토츠바시대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돗토리대학 지역학부 준교수로 재직중이며 전공은 일본교육사, 교육사회학이다. 편저로 [マイノリティ支援の葛藤――分断と抑圧の社会的構造を問う](明石書店, 2022년), 공저로 [公立学校の外国籍教員](明石書店, 2021년), [境界線の学校史](東京大学出版会, 2020년), [生活綴方で編む「戦後史」](岩波書店, 2020년), [移民から教育を考える](ナカニシヤ出版, 2019년) 등이 있다.
펼치기
유승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생. 고구려대학교 교수. 목포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일본 근·현대문학. 일본 나고야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석·박사과정, 문학박사. 주요논저로 「小松川事件の「表象」と大江健三の『叫び』」, 「오에 겐자부로 문학에서의 기억과 역사인식」 「아사누마 사건과 오에 겐자부로 문학의 전후인식」, 「이회성의 『증인이 없는 광경』론-재일조선인의 민족정체성과 기억속의 타자」, 「일본 드라마 『반딧불의 묘』와 기억의 변용」, 「『메이지 천황과 러일대전쟁』과 대중문화적 기호로서의 천황제」, 「식민도시 경성의 도시풍경과 자기동일화의 공간성-나카지마 아쓰시(中島敦)의 「巡査가 있는 風景」을 중심으로-」 등이 있음.
펼치기
한동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도쿄 출생. 재일조선인 2세. 초급학교로부터 대학교까지 조선학교에 다님. 일본영화대학 준교수(사회학). 대표저서로 『チマ·チョゴリ制服の民族誌(エスノグラフィ-):その誕生と朝鮮學校の女性たち(치마 저고리 제복의 민족지: 그 탄생과 조선학교의 여성들)』(2006), 『平成史【增補新版】(헤이세이사)』 (공저, 2014)등이 있음.
펼치기
후지나가 다케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생. 오사카산업대학 국제학부 교수. 조선근현대사 전공. 대표공저로 『日本の植民地支配(일본의 식민지 지배)』(공저, 2001), 『「慰安婦」問題を/から考える(‘위안부’문제를/에서 생각한다)』(공저, 2014), 『「韓國倂合」100年と日本の歷史學(한국병합 100년과 일본의 역사학)』(공저, 2011),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공저, 2014) 등이 있음.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