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1253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17-12-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해방과 투쟁
1장 탈식민화 과정으로서의 조선학교 역사 _ 오영호
1. 들어가며
2. 독자기 (1945년~1954년) : 민족교육의 터전 창출과 재일조선인의 투쟁
3. ‘이식’형 국민교육기 (1955년~1962년) : 조선학교의 갈등
4. ‘재일’형 국민교육기 (1963~1969년) : 재일조선인의 생활을 기반으로
5. 맺으며 : 투쟁과 창조
2장 GHQ의 재일조선인 정책과 민족교육 투쟁 _ 김태기
1. 들어가며
2. GHQ에 의한 대일 점령통치의 구조와 성격
3. 재일조선인 민족교육에 대한 CIE의 입장
4. 1.24 통첩
5. 한신교육투쟁
6. 제2차 조선인학교 폐쇄조치
7. 맺으며
구술 “우리 선생님을 때리지 말라!” 땅을 치며 분개했던 4월 24일 _ 오형진
2부┃분단 조국과 일본 사이에서
3장 한일회담과 민족학교 문제 _ 이 성
1. 들어가며
2. 일본 동화 정책의 확립
3. 민족학교를 둘러싼 논쟁
4. 맺으며
4장 1970년대 오사카 공립학교의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운동 _ 유승창
1. 들어가며
2. 민족교육과 본명호명운동
3. 민족교육 운동의 교육적 실천
4. 민족교육 운동과 문학교육
5. 맺으며
5장 조선학교 여학생들의 ‘치마저고리 교복’의 의미 _ 한동현
1. 들어가며
2. 치마저고리 디자인의 원류는 ‘신여성’ 패션
3. “우리에게도 조국이 있다!”
4. 자주적 착용의 확산에서 제도화로
5. 치마저고리 교복의 탄생을 촉진시킨 여성들
6. 맺으며
3부┃권리로서의 민족교육
6장 조선학교 습격사건에서 민족교육의 권리와 레이시즘을 생각하다 _ 이타가키 류타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의 현재
3. 조선학교와 일본사회
4. 맺으며
7장 고교무상화 제도와 조선학교 배제 _ 후지나가 다케시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 배제의 과정
3. 제도 적용을 요구하며
4. 맺으며
보론 1
보론 2
보론 고교무상화법 시행규칙 1-1-2. “고등학교 과정과 유사한 과정”에 관한 의견서 _ 다나카 히로시
1. 들어가며
2. 조선학교는 “각종학교로 인가해서는 안 된다”(통달)
3. ‘교육의 동등성’ 승인
4. 대학입학자격 인정도 ‘동등성의 승인’
5. 고교무상화와 외국인학교
6. ‘납치문제’와 ‘북한문제’에 짓눌린 조선고교 무상화
7. (다)에 의해 지정된 두 개의 외국인학교
8. 조선고교 심사 ‘동결’ 해제 이후의 경위
9. 우여곡절 속에서도 진척된 조선고교 심사
10. 조선고교는 제외한다!
11. 유엔에서의 ‘해명’은 통하지 않았다
12. 한국에서 확산되는 조선학교에 대한 공감과 지원
13. 시모무라 문부상의 갈짓자 행보
14. 맺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