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59661923
· 쪽수 : 349쪽
· 출판일 : 2007-12-15
목차
한국 현대시조 작가론(Ⅱ)을 펴내면서
가람시조의 혁신성과 현대적 계승-이병기론
질박한 울림과 여운-조운론
정제와 자유, 엄격과 일탈의 시조 형식-김상옥론
아름다운 슬픔과 탄력의 미학-박재삼론
생명·의식·길의 존재론적 탐구-장순하론
열린 역사의식과 단절의 형식미-송선영론
둥근 종소리, 그 희고 서늘한 서정-정완영론
무위에서 건져 올린 선적 고결함의 격조-김제현론
탄력의 미학과 순결의 정죄의식-박재두론
변혁과 생성의 시조-윤금초론
번뇌와 적멸의 아름다운 설법-조오현론
겨울, 그 순백의 칼날 의지-박시교론
절망과 희망의 아름다운 균형-유자효론
물빛 '그리움', 혹은 햇빛 '따사로움'의 길-유재영론
직립과 능청거림, 혹은 경계 지우기-서우승론
섬세한 서정성과 시대정신-이우걸론
사랑, 그 부재의 아름다운 견딤-김영재론
존재와 의미의 긴장-김일연론
서정의 격조와 치열한 자유정신의 서사-오승철론
재미성의 미학-문무학론
서정의 두 힘, 로고스와 파토스-박영식론
순수와 화해의 시학-김민정론
화해와 응전, '오름'의 시학-오영호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에는 근대 초창기에서부터 8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등단한 시조시인들의 작품론이 실려 있다. 근대 초창기에서부터 1960년대까지의 원로 시인들을 얘기하지 않고는 제대로 된 평가를 하기 힘들다. 1970년대 중진시인들의 영향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현대시조는 사라질 장르도 아니며 사라져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세계에 내놓고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우리의 유일한 것이기에 그렇다. 현대시조가 사라진다면 우리 민족 자체가 지구상에서 존재하지 않을 때일 것이다. 그러기에 시조를 위해 온몸으로 당대를 밀고 나간 시인들의 연구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하는 소이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