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정민, 고연희, 김동준 (지은이)
태학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우리 시대 인문학자 32인의 그림 읽기, 문화 그리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666195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3-11-07

책 소개

‘그림’이라는 흥미로운 제재를 통해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우리(한국)’의 이야기를 다룬다. ‘마음’, ‘감각’, ‘사연’, ‘표상’, ‘소통’ 등 총 5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에는 그림을 그린 사람의 마음부터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교류까지, 한국에 대한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마음
궁궐의 개, 사도세자의 개_정병설
궁궐에서는 어떤 개를 길렀을까?

친구와 그림_안대회
19세기 사대부가 그린 황량한 풍경의 사연

이인상과 그의 서화 속 ‘심회心會’_유승민
글씨와 그림의 경계를 넘어 전해지는 힐링 메시지

단원檀園의 풍경을 찾아서_김동준
문인들의 흥취가 배어 있는 서해 언덕의 시원스러운 숲

옛 그림 속 어머니와 아이_정우봉
한없는 자애로움과 끝없는 그리움의 대상

마음을 그리다_함영대
마음을 다스리면서 몸을 다스린 유학자들

제2부 감각
그림 속 미각味覺_고연희
맛의 감각으로 보는 옛 그림

〈소년전홍少年剪紅〉의 백일홍과 괴석_이종묵
벌열가 후원의 조경을 화폭에 담은 신윤복의 그림

파초가 있는 풍경_강혜선
옛 그림의 시와 그림 속에서 만나는 파초

파초의 노래_김종서
시원스러운 푸른 잎에 떨어지는 빗소리

유덕장의 그림에 빠진 남인南人들_박동욱
평생 동안 걸작을 완성한 조선의 3대 묵죽화가

삶의 품격을 생각하게 하는 꽃, 국화_김종태
고매한 선비들을 매료시킨 결곡한 자태의 꽃

제3부 사연
〈문희별자도〉를 보는
조선후기 문사들의 시각_유미나
오랑캐의 포로, 그리고 실절失節

취선醉仙 이백을 그리다_유순영
술과 달, 방랑의 천재 시인

소옹邵雍과 그의 고사도_송희경
옛 성현의 삶과 행적이 공존하는 그림

심사정과 김홍도의 걸작을 소장한
어느 역관譯官_이경화
이민식이 〈와룡암소집도〉, 〈서원아집도〉와 《신선도》 병풍 그림을 소장하기까지

혼동된 화가, 김석신과 이수민_진준현
‘초원蕉園’이라는 같은 호를 사용한 두 화원畵圓

소설의 안팎, 그림을 향유하는
조선의 여인들_서정민
그들은 왜 그림을 통해 삶을 기록하려 했을까?

말이 끝나는 곳에서 그림은 시작된다_장진성
이인상의 서얼화庶孼畵

초상화찬, 옛 문인들의 문학적 초상_김기완
초상화에 덧붙인 자의식의 표현, 어떻게 발전했을까?

제4부 표상
한반도 호랑이 지도론_정민
한반도 지도 안을 어떤 형상으로 채울 것인가

한국 봉황 표장標章의 기원과 정치학_김수진
창덕궁 인정전 〈봉황도〉에서 청와대 봉황 표장까지

정조의 〈환어행렬도還御行列圖〉_유재빈
사실과, 편집된 기억의 사이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황제 즉위식 광경_이정희
우리나라 마지막 황제의 즉위식을 엿보다

고종황제의 역사 만들기, 조경단肇慶壇_김문식
조선의 뿌리를 찾아서

불멸의 초상, 어진御眞_윤진영
화염 속으로 사라진, 그리고 잊힌 왕의 초상화

제5부 소통
고려의 영원한 초상, 운학문 청자_장남원
날렵하고 매끄러운 도자기 위 비췻빛 하늘을 나는 학

조선후기 문화의 창, 북경 유리창_이홍식
새로운 세계가 황홀경처럼 펼쳐지는 곳

옛 일본소설 속의 조선 풍속화_김시덕
조선을 조선답게 그리려 한 한 화가의 열망

돈은 돌아야 돈이다_윤주필
돈 이야기로 읽는 그림

〈안약산〉과 〈우이로오우리〉_이창숙
약장수와 눈알, 사람의 눈을 그린 두 그림의 관계는?

‘조선 통신사’를 통해 본
일본과의 문화 교류_송지원
조선 통신사, 새로운 문화 동력이 되다

찾아보기
그림·사진 작품
인명·지명·문헌명·용어

저자소개

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 지성사의 전방위 분야를 탐사하여 한문학 문헌에 담긴 깊은 사유와 성찰을 우리 사회에 전해온 인문학자이자 고전학자. 옛글에 담긴 전통의 가치와 멋을 현대의 언어로 되살려왔다. 저서로 다산 정약용의 복잡다단한 면모를 복원한 《다산의 일기장》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살핀 《비슷한 것은 가짜다》 《오늘 아침, 나는 책을 읽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과 문헌을 파고든 《호저집》 《고전, 발견의 기쁨》 《열여덟 살 이덕무》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미쳐야 미친다》,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우리 한시 삼백수》 《한시 미학 산책》 등이 있다. 청언소품집인 《점검》 《습정》 《석복》 《조심》 《일침》, 조선 후기 차 문화사를 총정리한 《한국의 다서》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산문집 《체수유병집-글밭의 이삭줍기》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어린이를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 다수의 책을 지었다. 근래에는 초기 서학 연구에 천착해, 조선에 서학 열풍을 불러온 《칠극》, 초기 교회사를 집대성한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서학 주요 문헌인 《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역주 눌암기략》 《역주 송담유록》 등을 펴냈다. 2022년 롯데출판문화대상 대상, 2021년 한국가톨릭학술상 번역상, 2020년 백남석학상, 2015년 월봉저작상, 2012년 지훈학술상, 2011년 우호인문학상, 2007년 간행물문화대상 저작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고연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 부교수.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에서 조선후기 산수유람의 기행시문과 겸재 정선 산수화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같은 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화조화의 정치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미국 시카고대 동아시아시각물질연구원, 서울대 규장각한 국학연구원, 중국 사회과학원, 대만 중앙연구원 등에 머물면서, 전근대기 그림의 향유자가 학자이자 위정자였던 상황에 입각하여 그림의 문학적 내면과 그림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연구학회장과 연구모임 ‘문헌과해석’의 대표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 국고전번역원의 번역 사업에 동참하고 있다. 공저로 『민족문학사강좌』, 『한국학 그림과 만나다』,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등이 있고, 심익운(沈翊雲)의 『백일시집(百一詩集)』을 번역하여 『겨울을 향하는 풀벌레의 울음처럼』을 펴냈다. 한국 한시(漢詩)의 매력과 한문학의 저력을 탐구해 왔으며 한문학 작가와 작품에 대한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조선시대 문인 문화로 연구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고전의 가치를 대중과 함께 나누기를 좋아한다.
펼치기

책속에서











황량하고 쓸쓸함은 회화와 시학詩學의 오랜 전통에서 배태된 미적 분위기다. 감정을 최대한 절제하고 단순한 기법과 절제된 소재로, 19세기 경화세족京華世族 사대부는 그들의 내면을 표현하고자 했다. 가장 건조하고 무미하여 감정의 동요를 눈치 채지 못할 풍경이 진정으로 뭉클한 마음을 대신 표현한다. 겉으로는 무디지만 속으로는 민감하다. 친구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데서만은 그리 인색하지 않았던 19세기 사대부는 뜻밖에도 황량하고 쓸쓸한 역설적 풍경으로 그 감정을 표현했다는 것을 몇몇 그림과 시가 드러내고 있다.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제1부 마음


미각적 감상의 대상이 된 그림 속 식물들은 사실상 그 시절에 진귀하여 쉽게 먹지 못하는 것이거나 문화·역사적 에피소드가 담긴 유별한 식품들이다. 말하자면 일반적 시문에서 곧잘 일컬어지는 밥과 반찬, 각종 떡, 식혜, 호박 등 일상의 모든 먹거리가 그림의 주제로 등장하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그래서인지 ‘미각으로 감상된 그림’들이 앞에 놓이면 우리는 그것들을 바라본 그 시절의 미각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아름답고 풍성한 자연의 일면으로 감상하게 되거나 혹은 현학적 해설이 첨부된 길상적吉祥的 상징으로 바라보게 된다.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 제2부 감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