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끝나지 않은 역사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이태진 (지은이)
태학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900원
2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끝나지 않은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9667420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7-05-08

책 소개

이태진의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끝나지 않은 역사>. 1부 '비정상의 극을 달린 조약 강제', 2부 '무엇이 일본을 오도했는가?', 3부 '국제사회를 상대로 한 병합 무효화 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목차

프롤로그 4

1부 비정상의 극을 달린 조약 강제
1. 조약에 남겨진 불법 강제의 증거들 16
1) 조약 관계 수립 초기의 ‘온전한’ 조약들 16
2) 청일전쟁에서 달라지기 시작한 일본의 태도 18
3) 러일전쟁과 함께 벌어진 국권 탈취 사기극 21
4) 보호조약 강제체결의 현장, 일본이 남긴 강제 증거들 27
5) 고종황제 퇴위 강제, 뒤이은 순종황제 친필 서명 위조 32
6) 순종황제, 병합 조약에 서명하지 않았다 34
7) ‘온전’과 ‘불법’을 넘나든 조약 강제 행위 42
2. 한국 황제의 ‘한국병합조약’ 비준 거부 47
1) ‘한국병합조약’ 추진을 위한 일본 정부의 준비 49
2) 일본 측의 조약 체결 처리과정과 천황의 조서 재가 상태 52
3) ‘일러강화조약’과의 비교 65
4) 한국 측의 관련 문서 처리과정과 황제의 칙유 결함 상태 71
5) 일본의 한국 통치는 명백한 불법행위 76
3. 「한국병합조약」 진행에 관한 일본 신문의 왜곡 보도 ―『東京日日新聞』의 기사를 중심으로 78
1) 신문자료 선정의 조건과 기사 정리의 기준 80
2) 8월 22일 이전 보도의 특이성 82
3) 8월 22일 ‘체결’에서 29일 ‘공포’까지의 보도 기사 93
4) 반복되는 역사 왜곡의 현실 107

2부 무엇이 일본을 오도했는가?
4. 吉田松陰과 德富蘇峰 —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사상적 基底 138
1) 요시다 쇼인의 국제 정세관과 팽창주의: 정한론의 기원 142
2) 1890년대 초 요시다 쇼인 현양 사업과 사료집 『吉田松陰傳』(전 5권) 간행 148
3) 도쿠토미 소호의 초판본 『吉田松陰』(1893)과 청일전쟁 153
4) 도쿠토미 소호의 제국주의로의 전향과 개정판 『요시다 쇼인』(1908) 166
5) 패전 후에도 살아있는 요시다 쇼인과 도쿠토미 소호 179
5.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주체 長州 번벌 — 명성황후와 고종황제 살해 188
1) 전근대적 침략주의 ‘정한론’의 실체 189
2) 왕비 살해의 반인륜 행위 193
3) 국권 탈취의 무법지대 198
4) 최후의 加擊 ― 고종황제 독살 215
6. 고종황제의 독살과 일본정부 수뇌부 221
1) 『倉富勇三郞日記』와의 만남 221
2) 『尹致昊日記』가 전하는 독살된 시신의 참상 223
3)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선언과 일본 정부의 조선정책 226
4) 『倉富勇三郞日記』에 보이는 고종황제 독살설 229
5) 독살 진상을 희석하려는 소문들 243

3부 국제사회를 상대로 한 병합 무효화 운동 ― 성과와 왜곡의 뒤안길
7. 한국병합 무효화 운동과 歐美의 언론과 학계:1907~1936 248
1) 대한제국의 무효화 운동에 대한 국제 언론, 학계의 반응 249
2) 국제연맹의 탄생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제 주권회복운동 257
3) 국제연맹의 국제법 연구와 ‘조약법’에 관한 1935년 하버드 법대 보고서 280
4) ‘조약법’ 성과의 국제연합에로의 이관 292
8. 架橋가 없는 두 개의 한일협정 ― 1910년의 ‘한국병합’ 조약과 1965년 한일협정 297
1) ‘한국병합’ 불법성에 대한 연구와 국제연합 총회의 ‘보호조약’ 무효 공인 경위 299
2) 대한민국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과 對日賠償要求 309
3) 국제연합의 정신에 반하는 1965년 한일협정 325

에필로그 : 새로 시작해야 할 과제 333
부록 1. ‌The Peti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Nation for Liberation from Japan
and for the reconstruction of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Kim Kiusic, 1919. 5. 12) 349
부록 2. ‌The Appeal of the Korean People for Liberation from Japan (Whang Ki-Whan, 1921. 6. 11) 356

참고문헌 374
찾아보기 382

저자소개

이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학부 및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 경북대학교 교양학부 및 사학과를 거쳐 1977년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부임하여 2009년까지 재임하였다. 조선시대 사회사, 정치사를 연구하다가 1992년부터 근대 한일관계사, 특히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의 불법성에 관한 연구에 종사하였다. 근대사와 한일관계에 관한 저서로 『고종시대의 재조명』, 『동경대생들에게 들려준 한국사』, 『일본의 한국병합 강제 연구: 조약 강제와 저항의 역사』, 『끝나지 않은 역사: 식민지배 청산을 위한 역사인식』 등이 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서 자연 이상 현상 기록 2만 5,300여 건을 뽑아 이를 분석하여 1490년부터 1760년까지 270년간이 이른바 소빙기(little ice age)의 재난 현상기란 것을 국제 천문학 저널에 보고하고, 『새 한국사』에서 조선 중기의 역사를 천재지변 극복의 역사로 조명하였다. 진단학회 회장, 역사학회 회장, 학술단체연합회 회장, 한일역사가회의 한국 측 운영위원장, 국사편찬위원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06년에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