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68102576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목차
화보
감사의 말
책머리에
프롤로그 나의 안중근 연구 행로
1. ‘조약 강제의 역사’ 연구에 얽힌 안중근 연구
2. “나는 대한의군 참모중장으로 적장을 처단했다”라는 외침을 읽고
3. 안중근, ‘의사’인가 ‘장군’인가?
4. 안중근·하얼빈학회 창설: 의거·순국 100주년 행사
5. 일본에 있는 1차 사료 조사와 입수 ― 새로운 연구의 시발
6. ‘근대 국민’ 최우등생 안중근 재발견
7. 국가 원수에게 보내는 하직 인사 유묵 3점
8. 저격 현장 촬영 필름과 공판 기록 원본 문서들의 행방
1부 영상과 신문 기사로 보는 사건의 전말
신문 기사로 보는 하얼빈 의거 현장
1. 이토 히로부미, 왜 하얼빈으로 갔나? ― 『하얼빈 웨스트니크』
2. 안중근이 쏜 총소리에 놀라 달아난 이토 수행원들 ― 『페테르부르크 신문』
3. 당황하여 오보를 연발한 일본 신문 ― 『모지 신보』
새로 찾은 『이토 공의 최후』가 밝힌 저격 현장의 진실
1. 새로 찾은 1919년 간행의 『이토 공의 최후』
2. 안중근은 일본 환영객 군중 속에서 나와 이토 히로부미를 쏜 것이 아니었다
2부 일본 탐문 정보가 말하는 사건의 배후: 고종 황제와 대한의군
안중근: 불의·불법을 쏜 ‘대한의군 참모중장’
1. 안중근 연구와 인식의 현황
2. “나는 적진의 포로이므로 만국공법을 적용하라!”
3-1. 안중근의 항일투쟁 경력
3-2. 대한의군은 국군인가?
4. 일본 정부의 사건 진상 은폐, 축소 처리
5. 「이토 히로부미의 죄악 15개 조」와 안중근의 시국관
6. 안중근 최후의 정체성 발견: 어질고 약한[仁弱] 나라에 태어난 죄
하얼빈 의거, 고종 황제의 지시라는 일본 측 정탐 보고
1. 새로운 자료를 찾아
2. 블라디보스토크에 출현한 고종 황제의 밀사
3. 하얼빈 의거의 기획 전말에 관한 탐문 보고와 제국익문사 요원 정재관
4. 고종 황제 고문 헐버트의 상하이행, 덕화은행 황제 예금 인출 임무
5. 국제 변호인단 구성과 좌절의 전말
6. 새 자료에 의한 하얼빈 의거의 새로운 정의
3부 안중근의 국민 의식과 평화 사상
국민 탄생의 역사와 안중근
1. 옥중 유묵의 ‘대한국인 안중근’ 표기의 의미는?
2. 고종 시대 국민 탄생의 역사
3. 1909년 3월 15일, 태황제 고종의 주권 이양 선언
4. 「안응칠 역사」와 안중근의 국민 의식
5. 광무제(고종)에게 남긴 유묵 3점에 담긴 국가 의식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재조명: 칸트 철학의 평화 사상과 만남
1. 「동양평화론」에 대한 문헌적 검토: 「청취서」를 중심으로
2. 「동양평화론」 연구의 두 가지 새로운 시각
3. 칸트 영구평화론 영향설의 검증
4. 3·1독립만세운동 및 대한민국 건국이념의 기초
안중근과 량치차오: 근대 동아시아 두 개의 등불
1. 안중근에 대한 중국 지식인·지도자들의 칭송
2. 량치차오의 안중근 칭송시 2편
3. 뤼순 재판정 방청석의 량치차오 ― ‘시치조 기요미 컬렉션’의 사진
4. 안중근과 량치차오의 공유 사상 세계
4부 남겨진 과제 ― 저격 현장 필름과 공판 기록 찾기
하얼빈 의거 현장 촬영 필름의 행방
1. 하얼빈에 간 이토 히로부미를 담은 활동사진 촬영기
2. 100년 후 한국 미디어계 필름 추적의 노력과 성과
3. 이태진의 조사 현황(2014. 10. 14.~현재) ― 두 가지 필름
4. 제3의 필름의 존재
5. 잠정 결론: 세 가지 필름의 존재
뤼순 고등법원의 ‘안중근 공판 자료’에 관한 다가와 고조(田川孝三)의 보고서
1. 안중근 공판 관계 자료 정리의 필요성
2. 다가와 고조의 「복명서」에 보이는 ‘안중근 관계 자료’의 내용
3. 그 외 만주 일원의 사료
4. 뤼순 법원의 ‘안중근 관계 자료’ 전체를 찾는 날을 기다리며
이 책의 내용이 된 논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