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8896021526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0-11-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제1부 시와 문학에 대한 열다섯 개의 테제
1. 아담이 무엇이라고 부르나 보시려고―은유에 대하여 … 12
2. 적들과 함께, 무한한 연습과 함께―문학의 정치에 대하여 … 21
3. 침묵의 웅변―시적 내러티브에 대하여 … 32
4. 소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시적 언어―무의식에 대하여 … 42
5. 어떤 거리에서 시가 나를 불렀네―공간에 대하여 … 51
6.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윤리에 대하여 … 61
7. 살 속에 말이 있다―몸에 대하여 … 70
8. 한때 나는 머리가 두 개였다―문체에 대하여 … 79
9. 내 얼굴은 울음으로 붉었다―침묵에 대하여 … 88
10. 사자는 왜 아이가 되어야 하나―단순성에 대하여 … 97
11. 5월에 나는 소로 변했다―주체와 형식에 대하여 … 107
12. 유일한 게임은 해석이다―읽기에 대하여 … 116
13. 공동체의 운명―차이의 집단성에 대하여 … 125
14. 불일치와 타자성―문학의 화합과 전진에 대하여 … 137
15. 재현에서 생산으로―문학 언어의 진화에 대하여 … 152
제2부 거기, 시인들이 있었네
1.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강은교론 … 162
2. 그래도, 차이를 생성하기―김승희론 … 173
3. 아브젝트와 반규범의 기호들―박상순론 … 186
4. 전언어적 공간에서 시 쓰기―김이듬론 … 193
5. 빈자의 미학―김종삼론 … 204
6. 비애의 기원, 검은색의 심연―송재학론 … 216
7. 반문명 혹은 무위의 생명성을 향하여―고형렬론 … 230
8. 경계를 지우기 혹은 좌망의 시학―박제천론 … 241
9. 몸으로 스미기, 한 은유주의자의 유랑―장석남론 … 254
10. 말과 사물, 그리고 그 사이―송찬호론 … 262
11. 불의 상상력―오세영론 … 271
12. 사물들의 교향악―이정록론 … 286
13. 사물들, 직전의 에로스―정진규론 … 295
제3부 저 아픈 꽃밭들
1. 상실과 생성의 변증법 … 306
―박완호 시집 『기억을 만난 적 있나요?』 읽기
2. 야생의 사유와 죽음 … 317
―조원의 『슬픈 레미콘』 읽기
3. 시간의 계보학 … 323
―박헌호 시집, 『내 가방 속의 동물원』 읽기
4. 영원의 가장자리에서 우연을 견디다 … 334
―장석주 시집 『헤어진 사람의 품에 얼굴을 묻고 울었다』 읽기
5. 저 두터운 상징의 숲 … 345
―홍순영 시집 『오늘까지만 함께 걸어갈』 읽기
6. 불화를 허하라 … 355
―백인덕 시인론
7. 존재의 구멍을 들여다보기 … 363
―이홍섭의 『검은 돌을 삼키다』 읽기
8. 액체의 시간을 견디기 … 375
―정숙자 시집 『액체계단 살아남은 니체들』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