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7895760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3-11-15
책 소개
목차
서론
1. 포스트모더니즘
지식과 권력에서의 혁명
2. 응용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
억압을 현실화하기
3. 탈식민 대문자 이론
타자를 구하기 위하여 서구를 해체하기
4. 퀴어 대문자 이론
정상적인 것으로부터의 자유
5. 비판적 인종 대문자 이론과 교차성
모든 곳에서 인종차별주의를 봄으로써 인종차별주의를 끝장내기
6. 페미니즘과 젠더 연구
복잡한 만큼의 단순화
7. 장애와 비만 연구
지원-집단 정체성 대문자 이론
8. 대문자 사회 정의 학문과 사상
사회 정의에 따른 진리
9. 행동하는 대문자 사회 정의
논문 상으로 볼 때 대문자 이론은 항상 좋아 보인다
10. 대문자 사회 정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대안
정체성의 정치학이 없는 자유주의
주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색인
리뷰
책속에서
어떤 의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한동안 자신만의 이론적 방식으로 진행되다가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관통하며 비판적 사회 정의 활동가들(그런데 정작 사회 정의라는 주제에 관한 논의에서조차 존 롤스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하지 않는)에 의해 다시 취해진, 이와 같은 비판적 접근법의 한 갈래였다. 이런 책임을 걸머쥔 운동은 마치 자신만이 정의로운 사회를 추구하고 있고, 나머지 우리 모두는 사회 정의와 전적으로 다른 것을 옹호하는 것처럼 매도한다. 그리고 주제넘게도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간단히 “대문자 사회 정의Social Justice”라 지칭한다.
_「서론」 중에서
활동가들이 장애를 축하의 목적들을 위한 혹은 정치적 권한 부여를 위한 정체성으로 받아들이기를 소망하고, 심지어 의사들이 장애라고 이름 붙이기를 원하지 않을 때,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종종 의사들이 다른 누구보다도 장애를 진단할 자격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거부하는 포스트모던 지식 원칙 때문에 일어난다. 이것은 사람들이 정체성 집단에 소속될 목적으로 자가 진단을 하는 것을 부추긴다.
_「장애와 비만 연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