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논어(論語)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6109525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1-1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공자/논어
· ISBN : 978896109525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1-12
책 소개
동양 고전의 원문(原文)을 정확히 해석하고 현대 한국어로 번역한 “동양 고전 원문 읽기” 시리즈 1권 『논어(論語]』를 윤지산 선생의 해석과 번역으로 출간했다.
목차
서문
학이 제일 學而 第一
위정 제이 爲政 第二
팔일 제삼 八佾 第三
이인 제사 里仁 第四
공야장 제오 公冶長 第五
옹야 제육 雍也 第六
술이 제칠 述而 第七
태백 제팔 泰伯 第八
자한 제구 子罕 第九
향당 제십 鄕黨 第十
선진 제십일 先進 第十一
안연 제십이 顔淵 第十二
자로 제십삼 子路 第十三
헌문 제십사 憲問 第十四
위령공 제십오 衛靈公 第十五
계씨 제십육 季氏 第十六
양화 제십칠 陽貨 第十七
미자 제십팔 微子 第十八
자장 제십구 子張 第十九
요왈 제이십 堯曰 第二十
책속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군자(君子)’ 혹은 ‘인(仁)’은 당시 세속에서 흔히 쓰는 말이지만, 공자와 만나면서 새롭게 얼굴과 표정을 갖는다. 우리가 지금 『논어(論語]』를 읽어야 하는 당위도 여기에 있다. 『논어(論語]』의 말씀을 단순히 복종/답습하는 것은 이 시대 이 공간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것은 그저 고대 중국인에게 필요할 뿐이다. 우리는 『논어(論語]』에서 공자가 어떻게 ‘역사적 자아’를 만들어 가는가를 배워야 한다. 그러려면 그전에 반드시 『논어(論語]』를 충실히 읽어야 한다.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가 말했다. “나는 하루 세 가지를 살핀다. 다른 이를 위해 일하면서 착실했는가? 벗과 사귀면서 진실했는가? 배운 것을 내 것으로 만들었는가?”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