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사의 파편

역사의 파편

(또 다른 한국인의 초상, 몽족의 슬픈 역사)

윤기묵 (지은이)
들꽃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사의 파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사의 파편 (또 다른 한국인의 초상, 몽족의 슬픈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143239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4-07-09

책 소개

오랜 세월 역사가 단절되고 언어마저 서로 달라 의사소통이 안 되는 그들을 같은 민족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우리민족과 상관없는 이민족이라고 단정적으로 말 할 수도 없는 딜레마를 ‘역사의 파편’으로 정의한다.

목차


프롤로그/ 또 다른 한국인의 초상, 몽족의 슬픈 역사 6

제1부 베트남 비즈니스 이야기

하노이 프로젝트 17
방한의 목적 17 | 사회주의 국가의 인민들 19 | 햇볕정책과 벼랑 끝 전술 22 | 반쪽 도이모이 24

목쩌우 가는 길 29
노벨평화상을 거부한 레둑토 29 | 완벽한 사업제안서 33 | 레로이 왕의 전설 35 | 역사와의 전쟁- 디엔비엔푸 38 | 몽족을 만나다 41

해외플랜트 타당성조사 46
강력하고 간결한 한 장의 기획서 46 | 가장 긴급한 프로젝트 48 | 기업존재의 이유 51

대우처럼 56
베트남 활동거점 56 | 한국어 통역자들 59 | 산 하나 넘기가 그렇게 힘들다 62 | 국제입찰의 속사정 67 | 호찌민으로 도배한 나라 69 | 사이공에서 호찌민으로 74

알 유 프롬? 78
한류열풍 78 | 식전 녹차는 건강에 좋다 81 | 우선협상 대상자 86 | “알 유 프롬?” 88

남은 기록들 92
럭키맨 92 | 해피 뉴 이어 96 | 남은 기록들 103


제2부 몽족의 역사를 만나다

먀오족에서 몽족으로 109
역사의 파편 109 | 명나라 남쪽 국경 남방장성 111 | 120년에 걸친 먀오족의 3대 투쟁 116

베트남의 독립투쟁과 몽족 122
몽족 왕국 122 | 호찌민과 미국과의 인연 125 | 냉전과 도미노이론 129 | 1차 인도차이나전쟁131 | 디엔비엔푸 전투 135

라오스 몽족의 끝나지 않은 전쟁 144
아편을 위한 몽족의 선택 144 | 그 나라의 쓸모 148 | 왕빠오의 몽족군 152 | 사라진 항아리평원 156 | 미국의 캄보디아 라오스 침공 160 | 몽족의 끝나지 않은 전쟁 163

식민지 유산, 아편 170
CIA의 아편사업과 용병사업 170 | 인류 역사상 가장 더럽고 추악한 전쟁 176 | 국민당 잔당 177 | 골든 트라이앵글 180

먀오족과 몽족은 고구려 유민인가? 185
고칠 것은 고치고 버릴 것은 버렸다 185 | 중국으로 끌려간 백제, 고구려 유민 188 | 심사心史― 자기 마음대로 고쳐 쓴 역사 194 | 또 다른 역사해석― 고씨전대리국정 200 | 먀오족과 몽족은 고구려 유민인가? 203


제3부 역사의 파편

소설 속의 먀오족과 몽족 215
션충원의 소설 『변성』 216 | 도빅투이의 소설 『영주』 227

영화에서 만난 몽족 235
멜 깁슨의 <에어 아메리카> 236 |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그랜 토리노> 245

먀오족과 몽족의 복식문화 254
화포 이야기 254 | 먀오족과 만주족 261 | 먀오족과 몽족의 복식문화 264

탈주와 도피의 역설 269
동남아시아 산악지대 조미아 269 | 국가에 대항하는 역사 273 | 조미아의 먀오족과 몽족 276 | 탈주와 도피의 역설 279

에필로그/ 어두어진 등불 284
참고 문헌 295

저자소개

윤기묵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4년 『시평』에 시와 산문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역사를 외다』 『외로운 사람은 착하다』 『촛불 하나가 등대처럼』 등과, 역사 에세이 『만주 벌판을 잊은 그대에게』 『역사의 파편』 『교하와 염하 사이』 등을 펴냈다. 정선에서 기계 공작소와 잼 공방, 맥주 양조장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또 다른 한국인의 초상, 몽족의 슬픈 역사

평범한 중국 음식인 줄 알면서
중국에 가면 먀오족 식당에서 밥을 먹었다
독하기만 한 베트남 술인 줄 알면서
베트남에 가면 꼭 몽족 술집에서 술을 마셨다
나는 고구려 음식도 모르고 술 맛도 모르지만
먀오족과 몽족이 고구려 유민일 가능성이 높다기에
그들의 밥과 술을 조상의 음식인양 챙겨 먹었다

사실 한국에서도 중국에서도 베트남에서도
자신을 고구려의 후예라고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 역사가 다 무슨 소용이냐고 묻는 사람만 있을 뿐
그럴 때마다 나는 역사의 쓸모를 생각한다
역사는 생산자보다 소비자에게 더 큰 효용이 있음을
반복된다는 전제와 만약이라는 가정 아래
역사야 말로 밥이 되고 술이 되는 배움의 성찬임을

설마 밥과 술이 무슨 소용이냐고 묻는 사람은 없겠지
― 졸시 「역사의 쓸모」 전문

2003년 여름. 베트남 북부 손라성의 작은 도시 목쩌우에서 사진으로만 보았던 몽족을 처음 만났다. 좁은 산비탈길을 자동차가 가까스로 통과할 때였다. 한켠에 비켜서서 길을 안내해 주었던 그들은 내가 탄 차가 무사히 협곡을 건너가자 수줍은 미소를 지으며 연신 손을 흔들어 주었다. 모두 검은 옷을 입고 있었고 화려한 모자를 쓰고 있었지만 대부분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 차림이었다. 저마다 크고 작은 망태기를 하나씩 메고 있었다.
베트남 사람들이 그들을 메오족이라 불렀기에 한동안 나도 그렇게 기억했는데 메오는 중국 먀오苗(Miao)족을 부르는 동남아식 발음이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몽(Hmong)족이라 불렀다. ‘자유로운 사람’이라는 뜻이라 했다. 먀오족의 또 다른 이름인 몽족은 베트남뿐만 아니라 라오스, 버마, 태국 북부 산간지역에 살고 있었다. ‘자유로운 사람’이라기보다는 ‘고립된 사람’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그들이었다. 그들의 삶이 나의 역사인식과 시심詩心에 어떤 영감을 주었던 것일까?

베트남 출장 중에 가끔 하노이시 중심 짱티엔 거리 갤러리에 들러 그림을 감상하거나 선물용 소품을 사곤 했는데 충동적으로 60호가 넘는 제법 큰 그림 3점을 구입한 적이 있다. 그중 2점 그림의 화제畵題가 몽족이다. 검은 옷에 화려한 모자를 쓰고 망태기를 메고 있는 몽족 그림은 김포집 거실에 걸려 있고 노새의 등에 짐을 잔뜩 싣고 산길을 내려 오는 몽족 여인의 몽한적인 그림은 정선집에 걸려 있다. 가장 비싼 대가를 치르며 충동적으로 구입한 베트남 마지막 황후 ‘남프엉(Nam Phuong)’ 초상화는 회사의 아카이브방에 고이 걸어 두었다.
베트남 비즈니스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6년에 걸쳐 50여 차례의 출장으로 마감되었지만 첫시집 『역사를 외다』에 실려 있는 12편의 베트남 시와 하노이 프로젝트의 에피소드를 기록한 「베트남 비즈니스 이야기」가 2004년 시 전문 계간지 『시평』에 연달아 게재되면서 나는 아시아적 서사를 가지고 시를 쓰는 시인으로 소개되었다. 그리고 아무도 기억하지 않은 역사의 뒷모습을 시로 기록하는 시인들의 사시史詩 또한 잃어버린 역사의 한 페이지가 된다는 것을 역사에세이를 쓰면서 알게 되었다. 20년 세월을 함께 해온 그림과 먀오족과 몽족의 역사를 알기 위해 읽었던 책들이 여전히 내 삶의 언저리에 남아 있는 이유도 그러한 시심이 나만의 문학적 감수성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졸시 「역사의 쓸모」도 그런 마음으로 썼다. (…중략…)
몽족이 재배하는 아편은 프랑스 인도차이나 식민세력, 이후에 등장하는 미국과 남베트남 세력, 그리고 태국과 라오스의 군부세력의 재정적 원천이 되었다. 그러므로 몽족은 아편을 매개로 이들과 어떤 식으로든 관계를 맺어야 했다.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여 몽족에 관한 민족학 연구 차원에서 접근하고 분석한 임봉길 강원대 교수의 저서 『아편을 재배하는 사람들』(2005)은 몽족을 개관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먀오족과 몽족에 대한 관심이 폭발한 것은 김인희 박사가 쓴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2010) 때문이었다. 그의 주장은 놀랍게도 먀오족과 몽족이 고구려 유민의 후예라는 것이었다. 668년 고구려가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고 이듬해인 669년 20만명에 이르는 고구려 유민이 중국으로 끌려갔는데 그중 10만명이 중국 남방으로 이주하여 먀오족의 기원이 되었고 명·청시대에 이들의 일부가 동남아시아로 남천하여 몽족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19가지의 증거를 들어 먀오족의 중심세력이 고구려 유민임을 증명했는데 오늘날 먀오족이 중국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함께 그의 주장에 귀 기울여 보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