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1471435
· 쪽수 : 373쪽
· 출판일 : 2011-03-25
책 소개
목차
추천글_자유 시간을 향한 여정(김원)
책을 내면서
제1장 장시간 노동 문화 읽기
1절 장시간 노동 문화 해체하기
1. 장시간 노동 문화라는 모순 덩어리
2. 불연속적 최소 휴가의 문제
2절 경영 담론으로 본 휴가
1. 경영 담론의 휴가
2. 담론 분석
3절 분석 틀 및 책의 구성
1. 분석 틀
2. 책의 구성
제2장 휴가를 둘러싼 이론-경험 논의
1절 휴가를 둘러싼 이론적 논의
1. 근대성의 시간 구조와 휴가
2. 소득효과론 및 개인선호론 비판
3. 노동시간과 여가 시간의 증감 논쟁 비판
4. 일과 삶의 균형 논의 비판
2절 시간을 둘러싼 경험적 논의
1. 톰슨의 시간을 둘러싼 투쟁
2. 차크라바티의 전 자본주의적 시간 규율
3. 라이드의 시간 합리화 과정
제3장 통제적 휴가 정치: 1970년대 초~1980년대 말
1절 저임금 장시간 노동 체제와 공장새마을운동
1. 저임금 장시간 노동 체제의 형성
2. 공장새마을운동과 작업 시간의 정치
2절 통제적 휴가 담론
1. 노동시간의 가차 없는 연장
2. 산업역군, 자기 시간의 희생
3. 노동을 위한 '피로 회복' 도구로서의 휴가
3절 소결: 국가 발전을 위한 시간의 통제
제4장 선별·배제적 휴가 정치: 1980년대 말~1990년대 말
1절 유연 노동 체제의 등장과 신경영전략 담론
1. 유연 노동 체제로의 변환
2. 신경영전략 담론과 작업 시간의 정치
2절 선별·배제적 휴가 담론
1. 휴가의 보편적 배열
2. 휴가 희생 담론
3절 소결: 유연화를 위한 낭비 제거
제5장 생산적 휴가 정치: 1990년대 말 이후
1절 유연 노동의 일상화와 경쟁력 담론
1. 유연 노동의 일상화
2. 경제위기와 자유 시간의 사회적 의미
3. 경쟁력 담론과 휴가
2절 생산적 휴가 담론
1. 휴가의 확대와 모순
2. 휴가의 경쟁력 재현
3절 소결: 경쟁력을 위한 휴가의 자기 관리
제6장 시간 정치의 전망
1절 시간연구의 함의와 한계
1. 시간연구의 함의
2. 시간연구의 한계
2절 시간 정치의 전망
책을 마치면서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