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1471701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12-11-10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일제강점기를 통해 본 규율 권력과 문화적 주체의 관계
제1장 '보는 방법'의 규율화와 근대적 시각 체험
1. '보는 방법'의 사회·역사적 규율화
1) 식민지 규율 권력과 근대의 시각 주체
2) 감시 권력과 응시
2. 근대적 시각 체험과 균질 공간의 출현
1) 근대적 일상과 시각 체험
(1) 유동하는 시각의 형성
(2) 시공간의 변화와 대도시의 일상
2) 새로운 시각 테크놀로지의 등장
(1) 사진의 충격과 초상 사진의 응시
(2) 테크놀로지로서의 미디어와 균질화된 활자
제2장 근대의 전시 공간과 조선미술전람회
1. 근대적 표상으로서의 전시 공간, 박람회와 박물관
1) 시선의 근대적 재편, 일제강점기의 박람회
2) 규율적 시각 장치의 형성, 이왕가박물관과 총독부박물관
2. 식민지 문화 정책과 조선미술전람회
1)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
2) 조선미전의 사회·역사적 구조
(1) 규율 권력의 적용과 조선미전의 창설
(2) 조선미전의 운영 실태
3) 일본이라는 감시 권력과 응시의 내면화
제3장 매체를 통해 본 조선미술전람회와 규율 권력
1. 1920년대 조선미전의 이중적 성향
1) 전통 화단의 인식 재편과 1920년대 '조선미전'
2) 전통의 부정과 일본화풍의 유입
(1) 조선미전 서양화부의 일본화 경향
(2) 관념에서 현실로의 변화, 산수·풍경화
(3) 장식적 채색화풍의 등장, 화조영모·인물화
2. 규율 권력의 내면화, 1930년대 조선미전
1) 감시 권력의 화단 개입과 1930년대 '조선미전'
2) 관전 양식의 정착과 일본적 아카데미즘
(1) 서·사군자부의 폐지와 공예부의 식민화 경향
(2) 지방색의 장려와 그 적용
(3) 여성 인물화의 급증과 미인화의 유행
3. 군국주의적 시각과 1940년대 조선미전
1) 전시체제의 화단과 화필 보국
2) 아카데미즘의 만연, 1940년대 조선미전
제4장 해방 공간의 규율 권력과 대한민국전람회
1. 해방 공간(1945~1950)의 시대 인식과 시각 주체의 반응
1) 해방 공간의 규율 권력과 미술에의 적용
2) 시각 주체의 이합집산적 경향
2. 국전의 창설과 조선미전의 영향
결론
참고 문헌
도판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