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9788961472289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16-02-27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제1장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그리스 도시국가: 공동체 속의 인간
2. 탈레스
3.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
4.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 헤라클레이토스
- 파르메니데스
- 제논
5. 중재적 철학자들: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6. 데모크리토스
7. 피타고라스학파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 소피스트들
- 고르기아스
- 트라쉬마코스
- 프로타고라스
2. 소크라테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3장 플라톤: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1. 지식과 존재
- 이데아와 지식
- 이데아와 좋음
- 에로스와 교육
- 이데아론에 대한 몇 가지 반론
- 이데아와 총체성
- 비유들
- 이데아론과 인간의 역할
2. 플라톤의 『국가』와 좋음
- 교육과 사회적 계급 분화
- 권력과 능력
- 남성과 여성
3. 예술의 윤리적 책임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4장 아리스토텔레스: 자연 질서와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
1. 이데아인가 실체인가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실체와 속성
2. 존재론과 인식론
- 기본 개념들
- 네 가지 원인
- 변화와 우주론
- 현실태-잠재태와 위계적이고 유기적인 세계관
3. 아리스토텔레스와 생태학
4. 지식과 실천
- 지식의 형식들
- 인간학과 사회학
- 좋은 삶
- 정의로운 사회
5. 예술 ─ 모방과 카타르시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5장 후기 고대 철학
1. 개인의 행복의 확보
- 그리스 도시국가에서 헬레니즘 제국으로
- 새로운 구도: 개인과 보편법
2. 에피쿠로스학파 ─ 개인의 안녕의 확보
3. 스토아학파 ─ 개인의 행복의 확보
- 스토아철학의 주요 내용
- 퀴니코스학파
- 그리스-헬레니즘의 스토아학파
- 로마의 스토아학파
4. 신플라톤주의
5. 회의주의
6. 고대의 과학과 학문
- 역사 서술
- 의학
- 법학
- 수학
- 물리학과 화학
- 천문학
- 문헌학
- 고대의 여성 과학자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6장 중세
1. 기독교와 철학
2. 교황과 왕: 한 나라 안의 두 지배자
3. 아우구스티누스 ─ 신앙과 이성
- 철학과 신학
- 회의주의 논박
- 기독교적 신플라톤주의자 아우구스티누스
- 지식과 의지
4. 보편자 문제와 스콜라철학
- 플라톤적 실재론
-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재론
5. 토마스 아퀴나스 ─ 조화와 종합
- 법과 정의
- 존재론
- 인식론
- 인간론과 도덕철학
- 신과 세계
- 악의 문제
6.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오컴의 윌리엄 ─ 종합에서 회의주의로
7. 마르틴 루터 ─ 주의주의와 유명론: 오직 신앙만이
8. 대학의 전통
9. 아랍의 철학과 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7장 자연과학의 발흥
1. 방법 논쟁
2. 천문학 ─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 과학과 경험개념
- 코페르니쿠스와 태양중심설
- 케플러와 행성의 궤도
3. 물리학 ─ 갈릴레이와 뉴턴
- 새로운 발견들
- “갈릴레이 사건”
- 우주의 해체와 자연의 수학화
- 뉴턴: 물리학의 대성공
4. 생물학적 과학
5. 수브-옉툼으로서의 인간
- 천문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 역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 광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8장 르네상스와 레알폴리틱: 마키아벨리와 홉스
1. 마키아벨리 ─ 조작으로서의 정치
2. 계약에 의한 정치와 자연법에 의한 정치 ─ 알투지우스와 그로티우스
3. 홉스 ─ 개인과 자기 보존
- 시계 장치와 같은 사회
- 이성의 규칙으로서의 자연법
- 운동 이론
- 리버럴리티와 자유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9장 의심과 믿음: 중심에 선 인간
1. 데카르트 ─ 방법적 회의와 이성에 대한 신뢰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신과 합리주의
- 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관계
2. 파스칼 ─ 가슴의 이성
3. 비코 ─ 본보기로서의 역사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0장 체계로서의 합리주의
1. 스피노자 ─ 신은 자연이다
- 실체와 속성
- 필연성과 자유
2. 라이프니츠 ─ 단자와 예정조화
- 목적과 원인 ─ 새로운 종합
- 가능한 모든 세계 가운데 최선의 세계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1장 로크: 계몽과 평등
1. 인식론과 지식 비판
- 개념의 명료화
- 지식의 기원
2. 정치 이론 ─ 개인과 권리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2장 경험주의와 인식비판
1. 버클리 ─ 내부로부터의 경험주의 비판
- “에세”는 “페르키피”이다 ─ 관념론적 경험주의
- 실체는 나가고, 신은 들어오고!
2. 흄 ─ 비판으로서의 경험주의
- 경험주의적 인식론 ─ “관념”과 “인상”
- 경험주의적 인식비판 ─ 인과성 개념
- 도덕철학 ─ “존재”와 “당위”의 구분
- 실천적 신뢰와 관습
-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 갈등의 전선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리뷰
책속에서
다른철학사 서술들에 비해 우리는 잘 알려진 몇 가지 함정을 피하려고 노력했다. 철학사 서술은 항상 저자의 학문적 관점과 배경지식, 중점 연구 분야와 문화적 지향의 자국을 지닌다. 결과적으로 모든 역사 서술은 이전의 사유에 대한 하나의 관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역사적 다양성 속에서 저자가 적절하고 중요하다고 믿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어느 누구도 마키아벨리와 맑스와 하이데거를 중립적인 렌즈를 통해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저자가 영원의 관점이나 신의 관점에서 철학사나 다른 역사적 서술을 저술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건 환상일 뿐이다.
근대초의 과학혁명이 당대의 세계관에 도전하여 새로운 인식론적 문제와 윤리적 문제를 만들어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 그래서 모든 철학사 연구에서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와 뉴턴이 다루어지고 있다. 우리 역시 이 의견에 동조한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인문학의 발흥과 사회과학 내에서의 혁명도 유사한 문제들을 제기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이 책은 통상 고전적 자연과학이 우리의 세계관과 인간관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는 데 국한하는 전통적 교과서들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다. 다윈과 프로이트, 뒤르켐과 베버라는 이름들과 연관된 분과학문들은 중요한 철학적 도전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 책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정신분석학에 대해 꽤 많이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