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서양철학사 합본 + 한눈에 보는 서양철학사 연대표 세트 - 전2권](/img_thumb2/K532535797.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K532535797
· 쪽수 : 1055쪽
· 출판일 : 2016-07-20
목차
[서양철학사 (합본, 양장)]
감사의 말
들어가는 말
제 1장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그리스 도시국가: 공동체 속의 인간
2. 탈레스
3. 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
4.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5. 중재적 철학자들: 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엠페도클레스
아낙사고라스
6. 데모크리토스
7. 피타고라스학파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 소피스트들
고르기아스
트라쉬마코스
프로타고라스
2. 소크라테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3장 플라톤 -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1. 지식과 존재
이데아와 지식
이데아와 좋음
에로스와 교육
이데아론에 대한 몇 가지 반론
이데아와 총체성
비유들
이데아론과 인간의 역할
2. 플라톤의 『국가』와 좋음
교육과 사회적 계급 분화
권력과 능력
남성과 여성
3. 예술의 윤리적 책임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4장 아리스토텔레스 - 자연 질서와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
1. 이데아인가 실체인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실체와 속성
2. 존재론과 인식론
기본 개념들
네 가지 원인
변화와 우주론
현실태-잠재태와 위계적이고 유기적인 세계관
3. 아리스토텔레스와 생태학
4. 지식과 실천
지식의 형식들
인간학과 사회학
좋은 삶
정의로운 사회
5. 예술 - 모방과 카타르시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5장 후기 고대 철학
1. 개인의 행복의 확보
그리스 도시국가에서 헬레니즘 제국으로
새로운 구도: 개인과 보편법
2. 에피쿠로스학파 - 개인의 안녕의 확보
3. 스토아학파 - 개인의 행복의 확보
스토아철학의 주요 내용
퀴니코스학파
그리스-헬레니즘의 스토아학파
로마의 스토아학파
4. 신플라톤주의
5. 회의주의
6. 고대의 과학과 학문
역사 서술
의학
법학
수학
물리학과 화학
천문학
문헌학
고대의 여성 과학자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6장 중세
1. 기독교와 철학
2. 교황과 왕: 한 나라 안의 두 지배자
3. 아우구스티누스 - 신앙과 이성
철학과 신학
회의주의 논박
기독교적 신플라톤주의자 아우구스티누스
지식과 의지
4. 보편자 문제와 스콜라철학
플라톤적 실재론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재론
5. 토마스 아퀴나스 - 조화와 종합
법과 정의
존재론
인식론
인간론과 도덕철학
신과 세계
악의 문제
6.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오컴의 윌리엄 - 종합에서 회의주의로
7. 마르틴 루터 - 주의주의와 유명론: 오직 신앙만이
8. 대학의 전통
9. 아랍의 철학과 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7장 자연과학의 발흥
1. 방법 논쟁
2. 천문학 -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과학과 경험개념
코페르니쿠스와 태양중심설
케플러와 행성의 궤도
3. 물리학 - 갈릴레이와 뉴턴
새로운 발견들
"갈릴레이 사건"
우주의 해체와 자연의 수학화
뉴턴: 물리학의 대성공
4. 생물학적 과학
5. 수브-옉툼으로서의 인간
천문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역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광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8장 르네상스와 레알폴리틱 - 마키아벨리와 홉스
1. 마키아벨리 - 조작으로서의 정치
2. 계약에 의한 정치와 자연법에 의한 정치 - 알투지우스와 그로티우스
3. 홉스 - 개인과 자기 보존
시계 장치와 같은 사회
이성의 규칙으로서의 자연법
운동 이론
리버럴리티와 자유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9장 의심과 믿음 - 중심에 선 인간
1. 데카르트 - 방법적 회의와 이성에 대한 신뢰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신과 합리주의
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관계
2. 파스칼 - 가슴의 이성
3. 비코 - 본보기로서의 역사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0장 체계로서의 합리주의
1. 스피노자 - 신은 자연이다
실체와 속성
필연성과 자유
2. 라이프니츠 - 단자와 예정조화
목적과 원인 - 새로운 종합
가능한 모든 세계 가운데 최선의 세계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1장 로크 - 계몽과 평등
1. 인식론과 지식 비판
개념의 명료화
지식의 기원
2. 정치 이론 - 개인과 권리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2장 경험주의와 인식비판
1. 버클리 - 내부로부터의 경험주의 비판
"에세"는 "페르키피"이다 - 관념론적 경험주의
실체는 나가고, 신은 들어오고!
2. 흄 - 비판으로서의 경험주의
경험주의적 인식론 - "관념"과 "인상"
경험주의적 인식비판 - 인과성 개념
도덕철학 - "존재"와 "당위"의 구분
실천적 신뢰와 관습
경험주의와 합리주의 - 갈등의 전선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3장 계몽주의 - 이성과 진보
1. 근대화와 과학
2. 세속적 행복
3. 몽테스키외 - 권력분립과 환경의 영향
4. 엘베시우스 - 개인과 쾌락
5. 경제적 자유주의
애덤 스미스
리카도와 맬서스
6. 루소 - 계몽주의 철학에 대한 반응
7. 에드먼드 버크 - 보수적 반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4장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1.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 쾌락 계산과 법률 개혁
벤담
제임스 밀
2. 존 스튜어트 밀 - 사회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성의 조건으로서의 리버럴리티
3. 토머스 힐 그린
4. 존 메이너드 케인즈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5장 칸트 - 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1. 선험철학 - 인식론
2. 선험철학 - 도덕 이론
3. 정치 이론
4. 판단력 - 목적론과 미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6장 인문학의 대두
1. 배경
2. 헤르더와 역사주의
3. 슐라이어마허와 해석학
4. 역사학파 - 사비니와 랑케
5. 드로이젠과 딜타이 - 인문학의 고유성
6. 역사주의 패러다임의 해체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7장 헤겔 - 역사와 변증법
1. 성찰, 변증법, 경험
선험적 전제 조건들 - 역사적으로 창출되고 문화적으로 상대적인
자기 형성의 드라마로서의 경험
변증법과 총체성
2. 주인과 노예 - 인정 투쟁과 사회적 정체성
3. 이성으로서의 전통 - 보편과 개별 간의 긴장
4. 가족,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5. 헤겔에 대한 반박들
헤겔의 체계 내에는 개인이 설 자리가 없다
헤겔의 철학은 전체주의적이다
헤겔은 "보수적"이다
헤겔의 역사관은 지나치게 낙관주의적이다
헤겔의 철학에는 윤리학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헤겔의 변증법은 말도 안 되는 헛소리이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8장 맑스 - 생산력과 계급투쟁
1. 변증법과 소외
2. 역사적 유물론
3. 생산력과 생산관계
4. 잉여가치와 착취
5. 맑스에 대한 반론들
맑스의 이론은 스스로 자신의 토대를 무너뜨린다
맑스의 이론은 경험적이지empirical 않다
맑스의 예언 중 몇 개는 틀렸다
맑스의 계급 및 계급투쟁 개념은 부적절하다
맑스는 "자연적 조건"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맑스주의적 사회주의는 죽었다
6. 프리드리히 엥겔스 -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19장 키르케고르 - 실존과 아니러니
1. 직접적 의사소통과 실존적 의사소통
2. 삶의 방식에서의 세 단계
교화적(敎化的) 해석
종합적 해석
아이러니하고 성찰적인 해석
3. 주관성이 진리다
4. 민주주의와 데마고기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0장 다윈 - 인간 개념을 둘러싼 논쟁
1. 자연적 선택과 인간의 기원
2. 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1장 니체와 실용주의
1. "신은 죽었다" - 유럽 허무주의
2. 형이상학과 기독교 비판
3. 도덕철학
4. 위버멘쉬, 힘에의 의지 그리고 영원회귀
5. 인식론
6. 진리는 효과이다 - 미국의 실용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2장 사회주의와 파시즘
1. 공산주의 - 레닌: 당과 국가
2.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
3. 사회민주주의 - 사회복지와 의회주의
4. 파시즘 - 민족주의와 질서
위기와 행동
정치와 경제
국가와 인종차별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3장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 정신분석학: 새로운 인간관
2. 꿈 - 무의식에 이르는 길
프로이트의 성 이론
정신 기구
3. 억압적 문화와 죄책감
4. 정신분석학과 과학철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4장 사회과학의 대두
1. 배경
2. 오귀스트 콩트 - 사회학의 "대사제"
3. 알렉시스 드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4. 페르디난트 퇴니스 -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5. 게오르크 짐멜 - 피륙과 같은 사회적 조직
6. 에밀 뒤르켐 - 사회와 사회적 연대
7. 막스 베버 - 합리성과 "영웅적 비관주의"
과학철학과 이념형
행위 유형과 정당화 형태들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베버의 시대진단: "영웅적 비관주의"
8. 탤컷 파슨즈 - 행위와 기능
감정성 - 감정 중립성
보편주의 - 특수주의
에고-지향 - 집단 지향
귀속성 - 업적성
특정성 - 다면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5장 자연과학에서의 새로운 진전
1. 아인슈타인과 현대물리학
"자연을 테크놀로지로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테크놀로지를 가지고 자연을 바라보는 것"으로
물리학에 대한 일별
2. 과학적 다양성과 기술 발전 - 과학의 적용과 학제적 접근 방식
도구적 이성의 유용성과 한계 - 규범적 결정이론의 예시
학제적 분석의 필요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6장 현대 철학 개관
1. 논리실증주의 - 논리와 경험주의
새로운 논리학
논리실증주의와 논리적 원자론
2. 칼 포퍼와 "비판적 합리주의"
3. 토머스 쿤 - 과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4.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실천으로서의 분석철학
5. 일상언어철학과 발화행위이론 - 오스틴과 설
6. 현상학과 실존주의 - 후설과 사르트르
7. 정체성과 인정 - 시몬느 드 보부아르와 페미니즘 철학
8. 존 롤즈 - "공정"으로서의 정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제27장 근대성과 위기
1. 근대성 비판
2. 마르틴 하이데거 - 시적인 것을 통하여
3. 한나 아렌트 - 비타 악티바
4. 가다머 - 해석학적 전통
5. 데리다, 푸코 그리고 로티 - 해체와 비판
6. 위르겐 하버마스 - 논변 제시를 통해서
질문
더 읽어볼 만한 것들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한눈에 보는 서양철학사 연대표]
목차 없는 상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