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서양철학사 2

서양철학사 2

군나르 시르베크, 닐스 길리에 (지은이), 윤형식 (옮긴이)
이학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20,700원 -10% 0원
0원
20,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서양철학사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서양철학사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사
· ISBN : 9788961472296
· 쪽수 : 523쪽
· 출판일 : 2016-02-27

책 소개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철학자인 군나르 시르베크와 닐스 길리에가 함께 쓴 서양철학사. 일반 대학생들을 위한 교양 철학 교재로 집필되었다. 기존과는 전혀 다른 시각과 참신한 접근, 그리고 명료한 서술과 혁신적인 구성으로 서양철학사 읽기의 새로운 길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13장 계몽주의: 이성과 진보

1. 근대화와 과학
2. 세속적 행복
3. 몽테스키외 ─ 권력분립과 환경의 영향
4. 엘베시우스 ─ 개인과 쾌락
5. 경제적 자유주의
- 애덤 스미스
- 리카도와 맬서스
6. 루소 ─ 계몽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
7. 에드먼드 버크 ─ 보수적 반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4장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1.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 쾌락 계산과 법률 개혁
- 벤담
- 제임스 밀
2. 존 스튜어트 밀 ─ 사회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성의 조건으로서의 리버럴리티
3. 토머스 힐 그린
4. 존 메이너드 케인즈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5장 칸트: 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1. 선험철학 ─ 인식론
2. 선험철학 ─ 도덕 이론
3. 정치 이론
4. 판단력 ─ 목적론과 미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6장 인문학의 대두

1. 배경
2. 헤르더와 역사주의
3. 슐라이어마허와 해석학
4. 역사학파 ─ 사비니와 랑케
5. 드로이젠과 딜타이 ─ 인문학의 고유성
6. 역사주의 패러다임의 해체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7장 헤겔: 역사와 변증법

1. 성찰, 변증법, 경험
- 선험적 전제 조건들 ─ 역사적으로 창출되고 문화적으로 상대적인
- 자기 형성의 드라마로서의 경험
- 변증법과 총체성
2. 주인과 노예 ─ 인정 투쟁과 사회적 정체성
3. 이성으로서의 전통 ─ 보편과 개별 간의 긴장
4. 가족,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5. 헤겔에 대한 반박들
- 헤겔의 체계 내에는 개인이 설 자리가 없다
- 헤겔의 철학은 전체주의적이다
- 헤겔은 “보수적”이다
- 헤겔의 역사관은 지나치게 낙관주의적이다
- 헤겔의 철학에는 윤리학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 헤겔의 변증법은 말도 안 되는 헛소리이다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8장 맑스: 생산력과 계급투쟁

1. 변증법과 소외
2. 역사적 유물론
3. 생산력과 생산관계
4. 잉여가치와 착취
5. 맑스에 대한 반론들
- 맑스의 이론은 스스로 자신의 토대를 무너뜨린다
- 맑스의 이론은 경험적이지(empirical) 않다
- 맑스의 예언 중 몇 개는 틀렸다
- 맑스의 계급 및 계급투쟁 개념은 부적절하다
- 맑스는 “자연적 조건”의 중요성을 간과했다
- 맑스주의적 사회주의는 죽었다
6. 프리드리히 엥겔스 ─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19장 키르케고르: 실존과 아이러니

1. 직접적 의사소통과 실존적 의사소통
2. 삶의 방식에서의 세 단계
- 교화적(敎化的) 해석
- 종합적 해석
- 아이러니하고 성찰적인 해석
3. 주관성이 진리다
4. 민주주의와 데마고기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0장 다윈: 인간 개념을 둘러싼 논쟁

1. 자연선택과 인간의 기원
2. 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1장 니체와 실용주의

1. “신은 죽었다” ─ 유럽 허무주의
2. 형이상학과 기독교 비판
3. 도덕철학
4. 위버멘쉬, 힘에의 의지 그리고 영원회귀
5. 인식론
6. 진리는 효과이다 ─ 미국의 실용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2장 사회주의와 파시즘

1. 공산주의 ─ 레닌: 당과 국가
2.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
3. 사회민주주의 ─ 사회복지와 의회주의
4. 파시즘 ─ 민족주의와 질서
- 위기와 행동
- 정치와 경제
- 국가와 인종차별주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3장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 정신분석학: 새로운 인간관
2. 꿈 ─ 무의식에 이르는 길
- 프로이트의 성 이론
- 정신 기구
3. 억압적 문화와 죄책감
4. 정신분석학과 과학철학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4장 사회과학의 대두

1. 배경
2. 오귀스트 콩트 ─ 사회학의 “대사제”
3. 알렉시 드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4. 페르디난트 퇴니스 ─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5. 게오르크 짐멜 ─ 피륙과 같은 사회적 조직
6. 에밀 뒤르켐 ─ 사회와 사회적 연대
7. 막스 베버 ─ 합리성과 “영웅적 비관주의”
- 과학철학과 이념형
- 행위 유형과 정당화 형태
-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 베버의 시대 진단: “영웅적 비관주의”
8. 탤컷 파슨즈 ─ 행위와 기능
- 감정성 ─ 감정 중립성
- 보편주의 ─ 특수주의
- 에고-지향 ─ 집단 지향
- 귀속성 ─ 업적성
- 특정성 ─ 다면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5장 자연과학에서의 새로운 진전

1. 아인슈타인과 현대물리학
- “자연을 테크놀로지로서 바라보는 것”으로부터 “테크놀로지를 가지고 자연을 바라보는 것”으로
- 물리학에 대한 일별
2. 과학적 다양성과 기술 발전 ─ 과학의 적용과 학제적 접근 방식
- 도구적 이성의 유용성과 한계 ─ 규범적 결정 이론의 예시
- 학제적 분석의 필요성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6장 현대 철학 개관

1. 논리실증주의 ─ 논리와 경험주의
- 새로운 논리학
- 논리실증주의와 논리적 원자론
2. 칼 포퍼와 “비판적 합리주의”
3. 토머스 쿤 ─ 과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4.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실천으로서의 분석철학
5. 일상언어철학과 발화행위이론 ─ 오스틴과 설
6. 현상학과 실존주의 ─ 후설과 사르트르
7. 정체성과 인정 ─ 시몬 드 보부아르와 페미니즘 철학
8. 존 롤즈 ─ “공정”으로서의 정의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제27장 근대성과 위기

1. 근대성 비판
2. 마르틴 하이데거 ─ 시적인 것을 통하여
3. 한나 아렌트 ─ 비타 악티바
4. 가다머 ─ 해석학적 전통
5. 데리다, 푸코 그리고 로티 ─ 해체와 비판
6. 위르겐 하버마스 ─ 논변 제시를 통해서

질문
더 읽어볼 만한 책들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군나르 시르베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철학자 중 한 사람으로 1964년부터 노르웨이 베르겐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지냈고, 현재 명예 교수로 있다. 노르웨이 과학문예아카데미와 왕립 노르웨이 과학문예협회의 회원이다.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 프랑스 파리대학교, 독일 튀빙엔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1966-1967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샌디에이고, UCSD)에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의 연구 조교로 일한 바 있다. 1970년 베르겐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프랑스 니스소피아앙티폴리스대학교 초청 교수, 2000-2001년 베를린자유대학교 철학과 교수, 1998년부터 중국 상하이 화동사범대학교 자문 교수와 독일 베를린의 한스 요나스 센터 이사를 지냈다. 주요 저서로 『허무주의?(Nihilisme?)』(1958), 『네오맑시즘과 비판적 변증법(Nymarxisme og kritisk dialektikk)』(1970), 『이성과 책임(Vernunft und Verantwortung)』(1992), 『합리성과 근대성: 철학적 화용론(Rationality and Modernity: Essays in Philosophical Pragmatics)』(1993), 『다중근대성. 스칸디나비아의 경험(Multiple Modernities. A Tale of Scandinavian Experiences)』(2011), 『과학철학적 관점에서 본 근대의 도전(Herausforderungen der Moderne aus wissenschaftsphilosophischer Sicht)』(2012) 등이 있으며, 독일어로 펴낸 진리 이론에 관한 논문 선집 『진리 이론: 20세기 진리 논쟁 논문선(Wahrheitstheorien: Eine Auswahl aus den Diskussionen ueber Wahrheit im 20. Jahrhundert)』(1977)은 지금도 여전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펼치기
닐스 길리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노르웨이의 철학자이자 문화학자로서 현재 베르겐대학교 고고학, 역사학, 문화학 및 종교학 통합 학과의 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현대 과학철학에서의 변칙들(Anomal ier i moderne vitenskapsfilosofi)』(1987), 『마녀와 인문주의자(Heksen og humanisten)』(2003)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형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트리어대학교, 베를린자유대학교, 브레멘대학교에서 철학, 정치학, 역사학, 그리스 고전문헌학을 공부했다. 브레멘대학교에서 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동 대학교 철학과 초빙 교수를 지냈다.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 교수, 한국문학번역원 사업1팀장, 한국정책방송원(KTV) 원장을 지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기호학적 활동철학. 내적 실재론의 새로운 정초(Semiotische Taetigkeitsphilosophie. Interner Realismus in neuer Begruendung)』(1994), 「퍼스 기호철학의 기본사상과 얼개」, 「토의민주주의와 시민사회 - 참여민주주의의 논의이론적 정초」,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과 '중용적 합리성'의 의사소통이론적 이해」,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유교적 공론」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위르겐 하버마스의 『진리와 정당화』, 『아, 유럽』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다른철학사 서술들에 비해 우리는 잘 알려진 몇 가지 함정을 피하려고 노력했다. 철학사 서술은 항상 저자의 학문적 관점과 배경지식, 중점 연구 분야와 문화적 지향의 자국을 지닌다. 결과적으로 모든 역사 서술은 이전의 사유에 대한 하나의 관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역사적 다양성 속에서 저자가 적절하고 중요하다고 믿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어느 누구도 마키아벨리와 맑스와 하이데거를 중립적인 렌즈를 통해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저자가 영원의 관점이나 신의 관점에서 철학사나 다른 역사적 서술을 저술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그건 환상일 뿐이다.


근대초의 과학혁명이 당대의 세계관에 도전하여 새로운 인식론적 문제와 윤리적 문제를 만들어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이다. 그래서 모든 철학사 연구에서 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와 뉴턴이 다루어지고 있다. 우리 역시 이 의견에 동조한다. 하지만 우리는 또한 인문학의 발흥과 사회과학 내에서의 혁명도 유사한 문제들을 제기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이 책은 통상 고전적 자연과학이 우리의 세계관과 인간관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는 데 국한하는 전통적 교과서들보다 한 발짝 더 나아간다. 다윈과 프로이트, 뒤르켐과 베버라는 이름들과 연관된 분과학문들은 중요한 철학적 도전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 책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및 정신분석학에 대해 꽤 많이 다룬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