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 사회학 이론

현대 사회학 이론

조나단 터너 (지은이), 김윤태, 김근태, 김명숙, 김봉석, 김수정, 김인춘, 박치현, 배은경, 백승욱, 손동기, 윤수린, 윤형식, 임동균, 정태석, 주은우, 천선영, 한상근 (옮긴이)
나남출판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000원 -0% 0원
340원
33,6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 사회학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 사회학 이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0089982
· 쪽수 : 688쪽
· 출판일 : 2019-10-05

책 소개

미국 대표 사회학자 조나단 터너 교수가 지난 100년간의 현대 사회학 이론의 핵심과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사회학 입문서다.

목차

• 옮긴이 머리말
• 한국어판 머리말

1장 사회학 이론의 본질
1. 논쟁을 촉발시키는 이론
2. 신념체계로서의 과학
3. 이론의 요소들
4. 다양한 이론적 접근에 대한 평가
5. 앞을 향하여

1부 기능주의적 이론화

2장 기능주의 이론의 출현
1. 들어가며
2. 유기체적 유추
3. 기능주의와 에밀 뒤르켐
4. 기능주의와 인류학적 전통
5. 나가며

3장 탈콧 파슨스의 분석적 기능주의
1. 들어가며
2. 사회적 행위의 구조
3. 사회적 체계
4. 기능주의로의 이행
5. 통제의 정보적 위계
6. 일반화된 교환매체
7. 파슨스의 사회변동론
8. 파슨스의 ‘인간조건론’

4장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 기능주의
1. 들어가며
2. 루만의 일반체계 접근
3. 루만의 사회진화론
4. 사회의 기능적 분화

5장 기능주의 되살리기
1. 들어가며
2. 기능주의에 대한 로버트 머튼의 비판
3. 거대 기능주의 이론화에 대한 조나단 터너의 비판

2부 진화론적 이론화와 생태학적 이론화

6장 진화론적 이론화와 생태학적 이론화의 등장
1. 들어가며
2.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에의 기여
3. 에밀 뒤르켐의 생물 생태학적 유추
4. 찰스 다윈과 자연선택
5. 생물학에서의 현대적 종합
6. 사회학에서의 생태학 이론의 등장
7. 사회과학에서의 새로운 다윈주의
8. 사회생물학의 등장
9. 나가며

7장 생태학 이론들
1. 들어가며
2. 도시생태학에 대한 이론화
3. 조직생태학 이론들
4. 아모스 홀리의 거시수준 생태학 이론으로의 귀환
5. 나가며

8장 사회진화의 단계이론
1. 들어가며
2. 게르하드 렌스키의 사회진화 단계모형
3. 조나단 터너의 진화론적 분석
4. 나가며

9장 다윈주의적 진화이론
1. 들어가며
2. 사회생물학적 이론화
3. 진화심리학
4. 종간(種間)비교
5. 나가며

3부 갈등이론화

10장 갈등이론의 등장
1. 들어가며
2. 칼 마르크스와 갈등이론
3. 막스 베버와 갈등이론
4. 게오르크 짐멜과 갈등이론
5. 나가며

11장 초기 분석적 갈등이론
1. 들어가며
2. 랄프 다렌도르프의 변증법적 이론
3. 루이스 코저의 갈등기능론
4. 조나단 터너에 의한 코저와 다렌도르프의 종합
5. 나가며

12장 랜달 콜린스의 분석적 갈등이론
1. 들어가며
2. 상호작용 의례
3. 의례와 감정
4. 미시적 폭력에 관한 이론
5. 나가며

13장 마르크스적 갈등이론
1. 들어가며
2. 마르크스의 실질적 논의에 대한 개괄
3. 네오마르크스주의 계급분석
4. 네오마르크스적 세계체계 분석
5. 나가며

14장 비교역사사회학에서의 갈등이론
1. 들어가며
2. 대중동원과 국가붕괴
3. 배링턴 무어의 독재와 민주주의의 기원
4. 제프리 페이지의 농민혁명 이론
5. 찰스 틸리의 자원동원 이론
6. 테다 스카치폴의 국가와 사회혁명 분석
7. 잭 골드스톤의 국가붕괴 이론
8. 나가며

4부 상호작용주의 이론화

15장 상호작용론과 현상학적 이론화의 등장
1. 들어가며
2. 상호작용에 관한 미국의 초기 통찰
3. 유럽의 초기 통찰
4. 상호작용론 통찰의 구축

16장 정체성에 대한 상징적 상호작용론 이론
1. 들어가며
2. 셸던 스트라이커의 정체성 이론
3. 조지 맥콜과 시먼스의 정체성 이론
4. 피터 버크의 정체성 통제 이론
5. 조나단 터너의 교류욕구 이론
6. 나가며

17장 연극모형론적 이론
1. 어빙 고프만의 ‘상호작용질서’
2. 연극모형론적 메타포
3. 자아표현
4. 초점상호작용
5. 비초점상호작용
6. 틀과 경험의 조직
7. 고프만식 연극모형론의 확장
8. 나가며

18장 민속방법론적 이론들
1. 들어가며
2. 상호작용의 재귀적, 지표적 성격
3. 해럴드 가핑클의 초기 연구
4. 하비 삭스의 교대대화 분석
5. 짐머맨, 폴너 그리고 비더의 상황적 접근
6. 에마뉴엘 세글로프의 대화분석
7. 나가며

5부 교환이론화

19장 교환이론의 등장
1. 들어가며
2. 고전경제학에서의 교환이론
3. 인류학에서의 교환이론
4. 심리학적 행동주의와 교환이론
5. 사회학적 전통과 교환이론
6. 나가며: 현대의 교환이론

20장 초기 교환이론
1. 들어가며
2. 조지 호먼스의 초기 행동주의적 접근법
3. 피터 블라우의 변증법적 교환이론
4. 리처드 에머슨의 권력의존 교환이론
5. 나가며

21장 합리적 선택이론
1. 들어가며
2. 마이클 헥터의 집단연대 이론
3. 제임스 콜먼의 집단연대 이론
4. 나가며

22장 교환 네트워크이론
1. 들어가며
2. 캐런 쿡의 이론적 프로그램
3. 에드워드 롤러의 연결망 교환이론
4. 린다 몰름의 이론적 프로그램
5. 나가며

6부 구조주의와 문화이론화

23장 구조주의와 문화이론화의 등장
1. 들어가며
2. 칼 마르크스 이론에 나타난 구조적 요소들
3. 에밀 뒤르켐의 기능주의와 구조사회학의 등장
4. 게오르크 짐멜의 형식적 구조주의
5. 허버트 스펜서와 초유기체
6. 사회구조에 대한 막스 베버의 입장
7. 나가며

24장 초기 구조주의 이론과 문화이론
1. 들어가며
2.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의 프랑스 구조주의 전통
3. 영국의 구조주의 전통
4. 나가며

25장 문화이론
1. 들어가며
2. 문화분석: 로버트 우드노우
3. 구성주의적 구조주의: 피에르 부르디외
4.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화용론
5. 나가며

26장 구조화이론
1. 들어가며
2. ‘과학적’ 사회이론에 대한 기든스의 비판
3. 구조화이론
4. 나가며

27장 네트워크 분석
1. 들어가며
2. 네트워크 분석의 기본적인 이론적 개념
3. 연줄의 패턴과 배치
4. 나가며

7부 비판이론화의 도전

28장 비판이론의 등장
1. 유럽의 비판이론화 계열
2. 비판이론의 프랑크푸르트학파 등장
3. 미국 스타일 비판이론

29장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판이론
1. 들어가며
2. 위르겐 하버마스의 ‘공론장’ 분석
3. 과학에 대한 비판
4. 사회의 정당성 위기
5. 발화와 상호작용에 대한 초기 분석
6. 하버마스의 사회진화에 대한 재개념화
7. 의사소통행위이론
8. 나가며: 비판이론의 목표

30장 포스트모던 비판이론
1. 들어가며
2. 과학에 대한 포스트모던 비판
3. 경제적 포스트모더니즘
4. 문화적 포스트모더니즘
5. 나가며

31장 미국 스타일 비판이론
1. 들어가며
2. 사회학 이론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판: 젠더, 정치, 가부장제
3. 인종과 민족에 대한 비판이론
4. 나가며

• 찾아보기
• 지은이 소개
• 옮긴이 소개

저자소개

조나단 터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대표적 사회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UCR) 사회학과 교수다. 1942년에 태어나 1968년에 코넬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고, 1969년부터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캠퍼스에서 사회학을 가르쳤다. 40권의 저서와 9권의 편저서, 200편이 넘는 학술논문을 출간했다. 영국 캠브리지대학, 독일 브레멘대학, 빌레펠트대학, 중국 산둥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학 이론, 감정사회학, 종족관계, 사회제도, 사회계층, 진화사회학 등이다. 최근 3부작인 《사회학의 이론적 원리》(Theoretical Principles of Sociology) 외에 사회학 이론에 관한 광범위한 책을 출간했다. 주요 저서로는 Revolt from the Middle: Emotional Stratification and Change in Post-Industrial Societies(2015),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Religion: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2018), The New Evolutionary Sociology: Recent and Revitalize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공공정책대학 교수로 사회학을 가르치고 있다. 고려대 학부 시절 공부보다 노는 것과 여행을 더 좋아했지만, 질풍노도의 시대를 거치며 데모 말고 제대로 해보지 못한 채 졸업했다. 20세기 말 세계사의 격변을 가까이 보기 위해서 유럽으로 건너갔다가 영국 캠브리지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사회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회도서관장, 독일 베를린자유대학 초빙교수, 미국 컬럼비아대학,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엔젤레스 캠퍼스(UCLA)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 정치, 문화, 사회이론에 관한 책과 논문을 출간했으며, 문학과 예술에서 역사와 뇌과학에 이르기까지 두루 관심이 많다. 사회학이 평범한 사람들의 삶의 개선할 수 있는 무술이 되어야 한다고 믿으며, 정부, 정당, 경제단체, 노동조합, 다양한 시민단체와 독서회 등에서 대중 강연에 참여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교육부 K-MOOC 최우수강의상, 블루리본강의상, 교육부장관상을 받았다. 네이버 열린연단,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KNN 최강 1교시 등에서 강연을 했다. 학술 저서로 『한국의 발전국가와 재벌』, 『복지국가의 변화와 빈곤정책』(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불평등이 문제다』(문화부 세종도서), 『정치사회학』, 『문화사회학의 이해』(공저) 등을 출간했다. 대중을 위한 교양서로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문화부 우수교양도서), 『모두를 위한 사회과학』, 『사회적 인간의 몰락』 등을 출간했다.
펼치기
주은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협동과정 문화연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캔자스대학교 미국학과American Studies에서 박 사후 과정을 연수했다. 저서로 《시각과 현대성》, 《오키나와로 가는 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아메리카》, 《프로이트와 비유럽인》 등이 있다.
펼치기
정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 이론, 시민사회, 사회운동, 환경문제 등을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파편사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비판사회학회의 학술지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참여연대 부설 참여사회연구소 부소장,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에너지, 평등주의』, 『행복의 사회학』,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사회이론의 구성』,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능력주의와 공정의 딜레마」,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와 지식인론의 성찰: 경합하는 공공적 지식인」, 「시민자격의 역사적 발달과 세계화 및 위험사회에서의 그 함의」, 「한국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과 쟁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인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연구교수이다. 주요 저술로 『자유민주주의, 사회민주주의, 시민민주주의: 스웨덴 ? 네덜란드의 경험과 한국사회』(2022), “북유럽 국가들의 민주주의와 ‘권력조사(maktutredningen)’:배경과 의의”(2020), “식민주의적 병합과 민주주의적 분리독립: 민주적 헌정주의와 1905년 노르웨이 독립”(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형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트리어대학교, 베를린자유대학교, 브레멘대학교에서 철학, 정치학, 역사학, 그리스 고전문헌학을 공부했다. 브레멘대학교에서 철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6년 동 대학교 철학과 초빙 교수를 지냈다.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연구 교수, 한국문학번역원 사업1팀장, 한국정책방송원(KTV) 원장을 지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기호학적 활동철학. 내적 실재론의 새로운 정초(Semiotische Taetigkeitsphilosophie. Interner Realismus in neuer Begruendung)』(1994), 「퍼스 기호철학의 기본사상과 얼개」, 「토의민주주의와 시민사회 - 참여민주주의의 논의이론적 정초」,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론과 '중용적 합리성'의 의사소통이론적 이해」,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유교적 공론」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위르겐 하버마스의 『진리와 정당화』, 『아, 유럽』 등이 있다.
펼치기
한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박사 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가진로교육 연구본부장 전) 고려대학교 강사
펼치기
김봉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를 비롯한 몇몇 대학에서 사회학을 가르친다. 주요 관심사는 사회학 이론(일반 이론 및 공정성 이론)과 번역사회학이며, 특히 사회학적 공정성 이론의 탐색과 외래 학문인 사회학이 번역을 통해 국내에 수용되는 과정에 관한 자료 수집 및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근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공공정책대학 교수
펼치기
김명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 공공정책대학 강사
펼치기
김수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펼치기
박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사회학자 파슨스Talcott Parsons의 사회이론 연구로 서울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파슨스의 이론을 ‘사회’의 개념사 측면에서 연구했으며, 지성사적 측면에서 한국-미국 사회과학 지식 형성의 흐름을 고찰하고 있다. 그 밖에도 사회국가social state, 대학 체계, 의료사회학 등의 영역으로 이론적 시야를 확장하고 있다. 성균관대·서울시립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배은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펼치기
백승욱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펼치기
임동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펼치기
천선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셴대학에서 공부했습니다. 경북대학교에서 ‘관점의 학문’인 사회학을 가르치며 학생들 각자가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데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대학 수업조차 사유와 표현의 장이 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까워 읽고 쓰기, 듣고 말하기를 수업의 루틴으로 삼고 있습니다. 분석과 비판의 사회학이 우리에게 ‘건강한 논리’에 기반한 공감과 위로를 줄 수 있다고 믿습니다. 쓴 책으로는 《어쩌다 서로에게 괴물이 되었을까? — 천샘과 함께하는 젠더수업》 《기꺼이, 이방인》 《대충 잘 살기 위해 열심히 노력 중입니다》 《죽음을 살다》 들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