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1474696
· 쪽수 : 680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목차
1권 과잉 도시
감사의 글
도시의 정신분석을 시작하며
서론
1부 흐름으로서의 도시
1장 무한에서 유한으로
흐름의 채취, 농업도시, 상업도시, 산업구조, 도시 조직
2장 유한에서 다시 무한으로
대항해시대, 바로크, 무한의 재현, 박물관, 동물원
3장 규율사회의 시설들
푸코, 에피스테메, 르네상스, 고전주의, 근대, 자본주의
4장 성과사회의 탄생
현대도시, 피로사회, 통제 사회, 신자유주의의 통치성
2부 도시와 정신 병리
1장 원시사회, 군주사회, 자본주의사회
중국에서 자본주의가 발달하지 않은 이유, 탈영토화, 탈코드화, 분열증
2장 매끄러운 공간의 정치학
홈파인 공간, 신자유주의, 매끄러운 공간의 양가성, 리좀
3장 비장소, 정크 스페이스, 현대도시
가속화된 흐름이 만드는 장소, 쇼핑몰, 애틀랜타, 홍콩
4장 도시의 신경증과 정신병
현대도시는 신경증적인가? 정신병적인가?
5장 자본주의와 정신분석은 공모 관계에 있는가?
『안티 오이디푸스』, 생명 관리 정치
3부 물질대사와 자본주의
1장 좀비 영화는 왜 인기가 있을까?
영화에서 타자의 존재론, 외계인, 에일리언, 좀비
2장 자본주의 도시의 흐름과 분열증
들뢰즈, 바디우, 흐름, 공백, <멈춤 없는 도시>, <벌거벗은 도시>
3장 에너지 순환으로서의 경제
바타유, 과잉, 비생산적 소비, 물질대사로서의 자본주의
4장 생태주의적 자본주의 도시
생태주의적 맑스, 편집증, 강박증, 경계, 생명체
결론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2권 『환상 도시』의 차례
3권 『사건 도시』의 차례
2권 환상 도시
서론
1부 욕망, 충동, 환상
1장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 모델
의식-전의식-무의식, 초자아-자아-이드, 상징계-상상계-실재계
2장 욕망, 충동, 주이상스, 도시
인간의 고유한 측면은 무엇인가?
3장 흐름은 어떻게 정신과 도시를 구성하는가?
마그마, 무의식,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4장 환상의 역할은 무엇인가?
실재의 방어, 스크린, 칸트, 선험적 도식, <매트릭스>
2부 대상 a, 환상, 편집증
1장 대상 a: 결여, 환상, 상품
사드, 잉여 주이상스, 성과사회
2장 환상으로서의 도시
아케이드 프로젝트, 라스베이거스, 유행, 스펙터클
3장 뉴욕은 광기의 도시인가?
콜하스, 벤야민, 르코르뷔지에
4장 라캉, 달리, 편집증
초현실주의, 『광기의 뉴욕』, 편집증적 비판 방법
3부 신경증, 도착증, 정신병
1장 가치는 어디에서 오는가?
맑스, 칸트, 가라타니 고진, 소쉬르, 노동가치설, 비교가치설
2장 욕망의 그래프
이상적 자아, 자아 이상, 증상, 대타자의 결여, 케 보이
3장 정신병/도착증/신경증의 도시
강박증, 히스테리, 편집증, 분열증, 탈영토화, 탈코드화
4장 <매트릭스>의 환상 구조: 속지 않는 자가 방황한다
이데올로기, 실재, 증상, 거울단계, 환상 가로지르기
결론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1권 『과잉 도시』의 차례
3권 『사건 도시』의 차례
3권 사건 도시
서론
1부 욕망, 변화, 복잡계: 들뢰즈 vs 바디우
1장 충만한 욕망, 결여된 욕망
스피노자-쇼펜하우어-니체, 데카르트-헤겔-라캉
2장 들뢰즈의 발생과 바디우의 사건
변화와 질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3장 복잡계과학과 사건 이론
자기조직화, 창발, 특이점, 혼돈의 가장자리
4장 도시는 왜 분산되지 않고 집중되는가?
엔트로피/네겐트로피, 도시, 생명, 규모의 한계
2부 증상, 공황, 사건
1장 증상: 내 안의 내가 아닌 것, <적과의 동침>
트라우마, <에일리언>, 대타자의 결여
2장 공황: 자본주의는 고장나면서만 작동한다
고착, 증상, 사회 기계, 뉴딜 정책, 전쟁
3장 사건, 공백, 괴델, 예외 상태
증상, 호모 사케르, 아브젝시옹, 희생양, 이질성
4장 헤테로토피아, 전염병, 도시의 증상
비정상, 카오스, 도시의 확장과 파국
3부 실재의 귀환과 방어
1장 저주받은 몫, 에로티즘, 카오스모스
바타유, 과잉, 소모, 죽음충동, <매트릭스>
2장 현대도시의 끔찍한 아름다움
숭고, 거대함, 아키줌, 리오타르, 비릴리오, 거스키
3장 실재는 어떻게 도래하는가?
기관 없는 신체, <신세기 에반게리온>, 인류 보완 계획
4장 실재에 대한 방어로서의 문명
범람의 지연, 리좀, 무규정적 공간
결론
도시의 정신분석을 마치며: 인간 다음의 도시
미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1권 『과잉 도시』의 차례
2권 『환상 도시』의 차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권 19세기 이전에 혼자서 도시를 걸어 다니는 여성은 매춘부로 취급되었다. 남성은 혼자 산책을 할 수 있었기에 아케이드에서 여유롭게 산책하는 만보객은 주로 남성이었다. 여성이 자유롭게 쇼핑할 수 있게 된 시기는 백화점이 탄생한 이후였다. 백화점은 철도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상품의 빠른 유통이 가능해지면서 철도역 부근의 창고에 대량의 물품을 보관하던 것에서 기원한다.
1권 도시 전체가 비장소나 정크 스페이스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까? 로스앤젤레스나 애틀랜타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이 도시들은 무한히 확장되는 격자 도로망, 서로 얽혀 있는 고속도로와 고가도로, 공항, 호텔, 쇼핑몰, 주차장을 특징으로 한다. 1950년대 자동차의 발달은 이동성의 환상을 만들어냈고, 장차 자동차로 장거리 출퇴근을 하고 쇼핑을 할 것이라는 환상은 새로운 도시를 만들어냈다.
2권 다운타운 운동 클럽은 운동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고, 음식을 먹고, 사교 활동으로 이성을 만나고 관계를 맺는다는 삶의 방식(lifestyle)을 건물로 구현한 것으로, 수직으로 적층된 수영장, 헬스장, 의료시설, 레스토랑, 댄스홀, 호텔이라는 이질적 프로그램들은 하나의 스토리로 연결되어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