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두산 변경사회의 삶과 인식

백두산 변경사회의 삶과 인식

윤휘탁, 배성준, 최현식, 오병한, 박정민, 문상명, 김준영 (지은이)
역사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두산 변경사회의 삶과 인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두산 변경사회의 삶과 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97500442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2-05-09

책 소개

백두산 및 백두산 수계(두만강, 압록강, 송화강) 변경사회의 삶과 인식 연구. 향후 북·중 변경사회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혀주어 남북관계 개선 및 남북통일, 그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중국과의 국경·영토 분쟁을 해결하는 데도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연구총서를 펴내며∣ 9

고려 말~조선 초 백두산 변경 지역의 개척 ∣ 박정민 ∣ 15
청대 만주 사회의 형성과 정체성 ∣ 김준영 ∣ 45
조선의 고지도에 나타난 백두산 인식 ∣ 문상명∣ 81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압록강 변경 도시의 조성과 통치 ∣ 오병한 ∣ 115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와 경계인식 ∣ 배성준 ∣ 151
일제가 노래한 압록강과 백두산의 여러 모습 ∣ 최현식 ∣ 187
조선과 만주국 변경 사회의 교류와 통제 ∣ 윤휘탁 ∣ 245
중국의 동해 진출 노력과 두만강∣ 윤휘탁 ∣ 291
북한과 중국의 국경 관리 실태 ∣ 윤휘탁 ∣ 335

참고문헌∣ 371

저자소개

윤휘탁 (감수)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위를 받았다. 중국 요녕대학과 남개南開대학에서 각각 고급진수생과 박사후과정Post-doc을 수료했다. 개혁 개방 이후, 특히 소련과 동구 유럽의 붕괴 이후 중국 사회에 출현한 ‘문화열文化熱’과 국가주의에 주목하던 그는 과거에 비판받았던 전통적인 중화주의 정신이 오늘날 현대적으로 다시 계승되고 있음을 깨닫기 시작했다. 2000년부터 ‘사회주의 정신 문명 건설론’과 ‘애국주의’에 관한 글을 발표한 그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연구재단에 몸담게 된 것을 계기로 ‘신중화주의’로 규정할 수 있는 ‘중화민족 대가정 만들기’와 한반도 사이의 상관성 문제를 연구했다. 동아대학교 연구교수와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고, 현재는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만주국 연구>, <중일전쟁과 중국혁명>, <周邊から見た20世紀中國>(공저, 2002), <화해와 반성을 위한 동아시아 역사인식>(공저, 2002),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공저, 2004), <한중일이 함께 만든 미래를 여는 역사>(공저, 2005), <동아시아의 역사분쟁>(공저, 2006)이 있다.
펼치기
최현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취득. 현재 인하대 국어교육과 교수. 『서정주 시의 근대와 반근대』,『한국 근대시의 풍경과 내면』, 『신화의 저편-한국현대시와 내셔널리즘』,『최남선·근대시가·네이션』. 『일제 사진엽서, 시와 이미지의 문화정치학』 등 저술.
펼치기
박정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린 시절부터 역사의 파도에 몸을 실었다. 전북대학교 사학과에서 학생회장을 하고, 여러 스터디를 하면서 헤집고 다녔다. 한국사를 공부하는데 필수적인 한문을 배우기 위해 한국고전번역원 전주분원을 다녔다. 중국 연변대학교와 일본 규슈대학교를 거치며 역사에 대한 시야를 넓혔다. 이러한 노력으로 단독저서인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 연구'는 2016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되었다. 전북연구원에서 근무하며 지역 역사문화의 진주를 하나둘 모아가는 재미를 가졌다. 이제 전북대학교 사학과의 교수로서 역사의 매력을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펼치기
배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일제시기 경성 공업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익법연구단 연구원, 명지대학교 국가기록원 연구원, 네덜란드 레이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센터 연구원, 고구려연구재단 및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식민지 자본주의 연구에서 출발하여 영토문제 연구를 병행하다가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근대적/식민적 형성이라는 주제에 주목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980~90년대 민중사학의 형성과 소멸〉(2010), 〈대만과 조선에서 식민지 화폐영역의 형성〉(2012), 〈19세기 후반 왕립지리학회의 만주와 백두산 탐사〉(2017),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와 경계 인식〉(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오병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사학과 졸업(1997)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석사(200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2016) 국가보훈처 학예연구사, 학예연구관 홍익대, 숭실대 강사 현재 여수 · 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 조사관.
펼치기
문상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대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받았다. 성신여대·국립한경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연구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visiting scholar로 활동했다. 현재는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중이며, 용인대학교 초빙교수를 겸임하고 있다. 백두산과 간도, 독도, 서울 등을 공간 중심으로 역사지리 관점에서 연구 중이다. ∎주요 논저 『한국지명유래집』(공저, 2019) 『백두산고지도집』(공저, 2016) 『일본은 왜 독도에 집착할까』(공저, 2019) 『백두산변경민의 삶과 인식』(공저, 2022) ∎주요 연구 「Gaihōzu지도에 나타나는 독도 - 미 스탠퍼드 대학 소장 지도를 중심으로」(2017), 「나선정벌 신류 장군의 『북정록 北征錄』에 담긴 허저주(赫哲族)의 삶과 문화」(2018)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竹島の日)’ 제정과 모순」(2019) 「일제시기 압록강 하구 가이호즈(Gaihōzu, 外邦圖)에 나타나는 일본의 조-청 국경 인식」(2019) 「조선후기 연행록과 박지원의 열하노정」(2020) 「20세기 초 지도로 본 간도의 역사적·지역적 범위와 한인 이주지」(2020) 「전통시기 露梁의 장소성과 용산의 성장」(2021) 「조선후기 《天下圖》에 담긴 白頭山 인식」(2021) 「1950∼1970년대 일본국회의원의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발언과 일본 정부의 독도정책 상관성 연구」(2022)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2022) 「중국의 '창바이산문화론'과 백두산 전유화(專有化)」(2022)
펼치기
김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남개대학(南開大學) 역사학과 박사학위 취득. 현재 충남대 사학과·한경대 브라이트칼리지 강사·백두산연구센터 전임연구원. 「清代 八旗의 東北 이주와 東北 滿洲人의 多元的 정체성」, 「청중기(清中期) 만주인(滿洲人)의 일상 속 족장(族長)의 역할」 등의 다수 논문 발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