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장 낯선 이웃, 한국

가장 낯선 이웃, 한국

양즈창 (지은이), 박우현 (옮긴이), 허강, 박장배 (감수)
잉걸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가장 낯선 이웃, 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장 낯선 이웃, 한국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한국사회비평/칼럼
· ISBN : 9788989757177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24-05-17

책 소개

대만의 독립기자인 양즈창은 오랜 세월 대만과 한국을 오가며 북한·중국 접경지대까지 취재했다. 그 스스로 사회운동을 하면서 한국을 인식했다고 서문에 밝히고 있다. <참여연대>의 활동가로서 광주민주항쟁 기념식에 참가하고 제주 4·3항쟁 관련 기록영화를 시청하는 것은 물론, 독도 문제와 반일 활동을 놓고 한국인과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했던 기자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

목차

■ 추천하며 1 독립 언론인 양지창의 눈으로 본 진실한 한국 5
■ 추천하며 2 세상에서 가장 닮은 나라 한국과 대만을 이해하는 ‘선물’ 같은 책 10
■ 책을 펴내며 사회운동으로 인식한 한국 12
■ 책을 옮기며 한국을 다시 살펴보다 16

Ch. 01. 대만 대 한국! ‘한국을 이기고 싶다’는 정서적 수렁 25
1. 반한과 혐한! 대만 거주 한국인 왈 “대만인은 친절하고 손님 맞는 걸 좋아해요. 하지만 속마음은 다르더라고요.” 26
2. 대만인은 술을 많이 마시지 못한다고? 술을 좋아하는 한국인이 술을 즐기지 않는 대만인과 만나다 33
3. 한국의 뿌리 깊은 반일 정서 - ‘대만인은 왜 이렇게 일본을 좋아하는가?’ 40
4. 대만 남녀는 한국과 비교해서 정말 평등한가? 48

Ch. 02. 휘황찬란한 한류의 배후 57
1. 한국의 TV 프로그램이 아시아를 석권했다. 어떻게 가능했나? 58
2. 한국의 최고 성공 상품, 케이팝(K-POP) 65
3. 직접 목격한 대학로의 어두운 현실Ⅰ- 당신은 모를 한국 극단의 현실 72
4. 직접 목격한 대학로의 어두운 현실Ⅱ- 공연용 사회운동 79

Ch. 03. 당신은 모를 ‘헬조선’ 87
1. 재벌이 나라를 다스린다고? 무법을 일삼는 재벌이 한국의 명줄을 옥죄다 88
2. ‘박근혜 게이트’와 한국인의 ‘집단주의’ 93
3. 침몰한 여객선과 신전의 제단에서 떨어진 공주 99
4. 한국과 미군의 애증 관계 104

Ch. 04. 알 수 없고 신비한 나라, 북한 117
1. 북한과 교류한다고? 김씨 왕국과 대만의 관계 118
2. ‘통일’, 할 것인가, 말 것인가? 한국인의 견해를 묻다 125
3. 탈북자의 다른 면 - 나는 도망친 반역자가 아니다 135
4. 특별 인터뷰 - 남북한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든 김진경 선생 143
5. 기적의 학교, 김진경 선생이 꿈꾸는 동북아 평화 149
6. 변경 도시의 사람들 - 연변과 매솟 157

Ch. 05. 한국인인가, 중국인인가? 세 나라를 배회하는 ‘조선족’ 167
1. 동북쪽에서의 조선 - 잊힌 만주국 168
2. 같은 말을 써도 넘기 어려운 장벽 - 변주된 코리안 드림 180
3.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중심도시 - 제3의 한국 186
4. 조선족자치주 접경지대의 작은 농촌 - 하나의 강줄기, 두 개의 세계 191
5. 북한·일본·러시아의 국경도시를 둘러보다 - 훈춘 197
6. 하느님도 들어오기 힘든 곳 203
7. 한류의 1차 정보를 접수하다 - 다른 케이팝(K-POP)을 하다 208
8. 협동작전의 혈맹관계 - 말 잘 듣는 소수민족 213

Ch. 06. 역사의 거센 흐름에 떠도는 뿌리 없는 민족, ‘한국 화교’ 221
1. 무호적 여권 = 나라 없는 사람 222
2. 싸우면서 퇴각하는 한국 화교학교 230
3. 한국 화교, 그들은 2등 국민인가? 236
4. 은둔자의 나라에서의 희로애락 245
5. 한국 분위기가 부족한 대만의 ‘코리아타운’ 252
6. 자리 잡고 뿌리내린 반도 이민 258

■ 옮긴이 참고 자료 264

저자소개

양즈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제 독립언론인이자 루프 미디어 팀(Loop Media Team) 기자. 한국의 비정부조직인 ‘참여연대’에서 외국인 연구원으로 일했다. 오랜 세월 대만과 한국을 오가며 북한・중국 접경지대 등지를 취재했다. 한반도 내부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더 많이 쓸 수 있길 바라고 있다. 2017년 말, 대만과 한국의 독립 언론인과 합작하여, 셋이서 국제뉴스 취재 소그룹인 ‘루프 미디어 팀’을 결성했다. 루프 미디어 팀은 정기적으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각국의 뉴스 현장으로 취재를 나간다. 주로 지역 분쟁과 인도적 측면에서의 난민 위기 및 인권 문제를 보도했다. 《보도자(報導者)》・《경전잡지(經典雜誌)》, 공영방송 《독립특파원(獨立特派員)》・《SOS reader》 등 여러 언론 플랫폼을 통해 기사가 나갔다.
펼치기
박우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독립번역자. 1995년생. 생애 첫 2년 동안 중국 베이징에서 걸음마를 배웠다. 그 이후 부천과 시흥에서 경기도 토박이로 살았다. 산어린이집(2000~2003년)-산어린이학교(2005~2008년)-더불어가는배움터길(2009~2013년)이라는 전형적인 대안학교 코스를 밟으며 성장했다. 이후에는 지식순환협동조합대안대학(지순협)(2015~2017년)에서 동료학생들과 함께 배움을 이었다. 지순협에서는 역사 공부에 재미를 붙였다. 특히 한국 근현대사 및 식민주의 역사학의 극복에 관심을 가지고, 고(故) 김백일 선생님의 지도를 받았다. 그리고 「백남운의 사회경제사학의 사학사적 의의와 한계 - ‘식민사학’의 극복을 중심으로」(2017)라는 졸업논문을 냈다. 그 이후 역사를 원전(原典)으로 읽기 위해서는 한자와 중국어를 익히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했다. 이에 따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수학하고 있다(2020년~현재). 교과서와 강의영상만 갖고는 중국어 관련 지식의 습득에 한계를 느껴 2021년부터 2년여 동안 ‘번역’ 작업에 몰두했다. 이 책은 그 첫 결실이다. 이를 시작으로, 양질의 정보를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고 나누고 싶다.
펼치기
허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문번역가. 대학과 대학원에서 중국사를 공부했다. 옮긴 책으로 『구마라집 평전』(부키, 2018), 『단위 이야기』(어바웃어북, 2016), 『숫자의 법칙』(어바웃어북, 2015), 『끝나야 끝난다』(어바웃어북, 2014), 『해적왕 정성공』(삼우반, 2008) 등이 있다.
펼치기
박장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대학원에서 동아시아를 공부하였고, 이후 동아시아 변경사, 티베트 현대사 분야를 연구하였다. 『고대 동북아시아 교통사(공역)』(주류성출판사, 2020)를 옮겼고, 주요 논문으로 「티베트불교 문화권의 ‘화목한 네 동물’ 설화와 도상의 확산과 활용 양상」(《동북아문화연구》 71,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 민중의 역량은 전국 최고 권력을 가진 사람마저도 끌어내릴 수 있었다. 나는 정말이지, 한국의 다양한 면모에 놀랐다. 참여연대는 늘 거리의 NGO이기 때문에, 나는 일반적인 대만인에 비해 더욱 근거리에서 한국 사회 한복판의 크고 작은 문제와 곤란함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렇게 근거리에서 관찰한 것들 중에서, 한국인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느꼈다. 내가 대만인으로서 한국에서 받은 낯선 분위기도 이 책을 집필하는 동기가 되었다.


“그건… 박근혜는 우리 국민이 민주적인 선거 과정을 거쳐서 뽑은 대통령이기 때문이에요. 그러니 한국인이라면 이번 사건에 책임이 있는 거죠.”
몇몇 한국인 친구도, 시위하게 한 가장 큰 원인은 ‘수치스러움’이었다고 털어놓았다. 그 밖에도 몇 가지 의견을 들려주었다. 나는 한국인이 국가에 강한 책임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놀랐다. 한편으로 회의감도 들었다. 한국인의 집단주의(Collectivism)가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하고. 단순히 집단의 일원으로서 부끄러울 뿐일까, 아니면 사회적 책임과는 관련이 없을까?


재벌의 착취에 반대한다면서 외국에 나가면 왜 태도가 바뀌는 걸까? 그 이유는 바로 집단주의가 한국인의 무의식을 지배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거대 재벌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노동자를 착취해도 국제적으로는 ‘대를 위해 소를 희생해야 한다’라며 국가를 개인의 이익보다 우선시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