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가
· ISBN : 9788961961516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3-12-1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발레리 게르기예프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평화를 위한 세계 오케스트라
2008년 9월 20일 (영국 런던 바비컨 센터)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
―
2008년 9월 21일 (영국 런던 바비컨 센터)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1번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3번(오후)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4번 +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2번(밤)
―
2009년 9월 1일 (폴란드 크라쿠프 성베드로와 성바울 성당)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평화를 위한 전주곡」 + 말러 교향곡 5번
2장 마리스 얀손스
로열 콘세트르허바우 오케스트라
2009년 2월 5일, 6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콘세르트허바우)
드보르자크 「레퀴엠」
3장 조너선 노트
밤베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
2009년 5월 15일 (독일 밤베르크 콘체르트 운트 콩그레스할레)
드뷔시 「바다」 +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
4장 사이먼 래틀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010년 5월 20일, 21일, 22일 (독일 베를린 필하르모니에)
시벨리우스 교향곡 5번+교향곡 6번+교향곡 7번
5장 이반 피셔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2009년 9월 11일, 12일, 1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예술궁전)
솔리마 첼로 협주곡 + 말러 교향곡 6번
6장 클라우디오 아바도
루체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2008년 8월 13일, 15일, 16일(스위스 루체른 문화컨벤션센터)
드뷔시 「야상곡」 +라벨 「세헤라자데」 +베를리오즈 「환상 교향곡」
나가며
감사의 말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콘세르트허바우와 오케스트라가 그토록 빨리 네덜란드 음악 문화의 중심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뛰어나고 매끈한 음향?지금도 세계 최고의 홀 가운데 하나다?과 연주자들의 수준 높은 기량 덕분이었다. 처음부터 음악회장과 오케스트라는 마법 같은 호흡을 보여주었다. (...) 콘세르트허바우의 전통은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는 것과 시대의 변화에 맞춰 꾸준히 변화하는 것이다. 건물 안에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2층 좌석 높이에 명판이 하나 걸려 있는데, 지금까지 오케스트라에서 25년 이상 연주했던 사람들 이름이 적혀 있다. 목록이 길다. 제1바이올린 주자 흐리스티안 판 에흐헬런은 이렇게 말한다. “이런 오케스트라에서 일하게 되면 여간해서는 그만두지 않지요.”
_「마리스 얀손스-로열 콘세트르허바우 오케스트라」
제1바이올린부터 더블베이스까지 각 섹션의 수석 주자만 자리가 정해져 있고, 나머지 자리는 그때그때 정해진다. 서로의 다른 기술적인 면과 음악적인 접근을 배우게 하려고 한동안 함께 연주하지 않았던 연주자들을 옆자리에 배치하는 것이다. 오케스트라가 어떻게 조직되는지 보여주는 사소하지만 중요한 일면이다. 그래서 여러분이 베를린 필하모닉을 볼 때 제1바이올린 악장에 초점을 맞추든 뒤의 비올라에 시선을 고정하든 음악적으로 위계적인 관계는 전혀 없다. 모든 연주자가 음악회에서 자신의 연주를 이끈다. 모든 음악가들이 자신의 음악적 삶을 걸고 스스로를 위해 연주한다.
_「사이먼 래틀-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