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식품위생학

식품위생학 (강근옥 외)

강근옥, 김희섭, 고종호, 조정순, 송은, 김은주, 박화연, 서승교, 안령미 (지은이)
보문각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식품위생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식품위생학 (강근옥 외)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62202373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4-11-10

책 소개

전문분야의 여러 교수들이 대학에서의 경험을 기초하여 식품의 위생과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기초적인 지식에서 전문적인 지식까지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식품조리학, 식품영양학, 식품가공학, 보건학 등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교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성하였다.

목차

* 용어정리

1장 식품위생의 개념 및 식품위생 행정

1. 식품위생의 개념

2. 식품위생의 정의

3. 식인성 유해물질과 건강장애

4. 식품위생의 행정 및 관리
4.1. 식품위생행정
4.2. 식품위생 관련 기구·조직 및 업무
4.3. 식품위생법
4.4. 식품위생관련법령
4.5. 새로운 식품위생제도

2장 식품과 미생물

1. 미생물의 종류 및 특성
1.1. 세균
1.2. 곰팡이
1.3. 효모
1.4. 조류
1.5. 원생동물
1.6. 바이러스

2. 미생물의 증식과 영향인자
2.1. 미생물의 증식곡선
2.2. 미생물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오염원별 주요 미생물
3.1. 토양
3.2. 물
3.3. 공기
3.4. 사람과 동물

4. 식품위생상 중요한 미생물
4.1. 세균
4.2. 곰팡이

5. 식품위생검사의 지표미생물
5.1. 일반세균수
5.2. 대장균군
5.3. 장구균

6. 살균, 소독 및 세척
6.1. 가열에 의한 방법
6.2. 조사에 의한 방법
6.3. 소독약품에 의한 방법

3장 식중독과 미생물

1. 식중독

2. 미생물성 식중독의 특징

3. 식중독의 발생현황
3.1. 우리나라의 발생현황

4. 미생물성 식중독 증상

5. 미생물성 식중독의 예방관리와 대책
5.1. 예방관리
5.2. 식중독 지수의 활용

6. 식중독의 역학조사

7. 세균성 식중독
7.1. 작용 특성
7.2. 감염형 식중독
7.3. 독소형 식중독
7.4. 기타

8. 곰팡이와 식중독
8.1. 곰팡이와 독소
8.2. 곰팡이독에 의한 식중독의 예방
8.3. 곰팡이와 독소 및 종류

9. 바이러스와 식중독

4장 화학물질에 의한 식중독

1. 자연독 식중독
1.1. 동물성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1.2. 식물성 자연독에 의한 식중독

2. 화학성 식중독(Chemical food poisoning)
2.1. 유해 화학물질
2.2. 식품첨가물
2.3. 기구, 용기, 포장재 등에 기인하는 유해물질
2.4 식품의 조리·가공·저장 중에 생성되는 유해성분

5장 환경과 식품위생

1. 환경 오염(Environmental Containation)의 심각성

2. 환경 오염의 경로

3. 생물 농축(Bioaccumulation)
3.1. 생물농축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환경오염 물질
4.1. 산업 폐기물(Industrial Waste)로 인한 오염물질
4.2. 잔류 농약(Pesticides)
4.3. 기타
4.4. 화학적 물질의 안전성 평가 방법
4.5. 방사성 핵종
4.6. 유전자재조합 식품
4.7. 오염물질의 제거

6장 식품과 감염병

1. 경구감염병 역학
1.1. 경구감염병의 감염 경로
1.2. 경구감염병의 특징
1.3. 우리나라 경구 감염병의 발생 현황

2. 경구감염병
2.1. 세균성이질(痢疾, Dysentery)
2.2. 장티푸스(Typhoid fever)
2.3. 콜레라(Cholera)
2.4.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Enterchemorrhagic E. Coli infection)
2.5. 폴리오(Polio)
2.6. 성홍열(Scarlet fever)
2.7. 유행성 간염 A형(Hepatitis A virus; HAV)

3. 인수공통감염병
3.1. 탄저(Anthrox)
3.2. 소해면상뇌증(BSE :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광우병)
3.3. 결핵(Tuberclosis)
3.4. 야토병(Tularemia)
3.5. 파상열(Brucellosis)
3.6. 돈단독(Swine Erysipelas: SE)
3.7. Q열(Q- fever)
3.8. 조류독감(Avian Influenza: AI)
3.9.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

7장 기생충과 위생동물

1. 기생충
1.1. 우리나라의 기생충 감염 현황
1.2. 야채를 매개로 감염되는 기생충
1.3. 육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1.4. 어패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2. 위생동물
2.1. 쥐
2.2. 위생해충

8장 식품시설의 위생관리

1. 시설의 위생관리
1.1. 건물의 입지조건과 구조
1.2. 작업장 면적
1.3. 내부의 위생 설비

2. 설비와 기구의 위생적 관리
2.1. 설비와 기구
2.2. 기구의 배치
2.3. 기구류의 위생적인 취급과 보관

3. 급수 및 오물처리의 위생관리
3.1. 급수
3.2. 먹는 물 수질 기준
3.3. 오물 처리 위생

4. 개인위생관리
4.1. 건강진단
4.2. 식품 취급자에 대한 위생교육
4.3. 손 관리
4.4. 작업자의 용모관리

5. 집단 급식의 식품위생관리
5.1. 식품의 구매 및 검수
5.2. 식품의 저장
5.3. 전처리
5.4. 조리와 배식

9장 위해요소중점관리제도(HACCP)

1. HACCP 시스템의 정의 및 의의

2. HACCP 시스템의 역사

3. HACCP의 특징 및 효과

4. 위해요소의 분류

5. HACCP의 원칙

6. HACCP 적용 현황

7. 식품관련 생산현장에서의 HACCP 적용

10장 식품첨가물

1. 식품첨가물의 개념
1.1. 식품첨가물의 개요
1.2. 식품첨가물 정의
1.3. 식품첨가물의 기준
1.4. 식품첨가물의 용도별 종류
1.5. 식품첨가물의 규제

2. 식품첨가물 각론 353
2.1. 보존료(chemical preservatives)
2.2. 살균제(bacteriocides)
2.3. 산화방지제(antioxidants)
2.4. 표백제(bleaching agents)
2.5. 밀가루개량제(maturing agents, dough conditioners)
2.6. 호료(thickners, gelling agents)
2.7. 착향료(flavoring agents)
2.8. 발색제(color fixatives)
2.9. 착색료(colouring matters)
2.10. 조미료(seasonings)
2.11. 산미료(acidulants)
2.12. 감미료(non-nutritive sweeteners)
2.13. 팽창제(leavening agents, blowing agents, baking powders)
2.14. 강화제(dietary supplements, enriched agents, nutrients)
2.15. 유화제(emulsifiers)
2.16. 품질개량제(texturizers, texture modifying agents)
2.17. 피막제(glazing agents, coating agents, film formers, glazes)
2.18. 껌 기초제(chewing gum bases)
2.19. 소포제(antifoaming agents)
2.20. 용제(solvents)
2.21. 추출제(extracting agents)
2.22. 이형제(release agents)
2.23. 식품제조용제 및 기타(miscellaneous)

3. 천연첨가물

11장 식품위생검사

1. 식품위생검사 소개

2. 미생물학적 검사

3. 이화학적 검사

저자소개

강근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 강근옥은 조리학을 전공하고 현재 국립한경대학교의 영양조리과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조리기능사·기능장의 심사의원이자 농림수산식품부의 전문위원이며, 저서로는 『한권으로 끝내는 조리기능사 필기공통』, 『식품위생학』, 『조리과학(이론과 실험)』 등이 있다.
펼치기
조정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학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이학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이학박사 대한영양사협회 회장 역임 현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식품양생학과(한방약선/한국전통음식문화전공) 주임교수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동아시아식생활학회 회장 저서 약선의 이해, 현대인과 식생활 등
펼치기
김은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박화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서승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안령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