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63033525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목차
16 인사말: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2를 열면서 ─ 윤범모
18 기획의 글: 현재를 붙든 채 미래로 유영하기 ─ 우현정
로스트에어
22 로스트에어 - 레이브 지오메트리
56 비평: 춤추는 데이터(x, y, z): 레이브, 클럽 그리고 하위문화 ─ 김호원
63 인터뷰: 레이브: 공간에서 그리고 공간으로 ─ 정구원
크립톤
78 크립톤 - 코코 킬링 아일랜드
112 비평: 유령의 섬에서 온 편지 ─ 조선령
120 인터뷰: 코코 킬링 아일랜드에서 만난 탈-중앙화 공동체 크립토피아와 그들의 여정 ─ 임근혜
저자소개
책속에서
쇼케이스의 끝에서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2》를 평가해보면, 로스트에어는 미술관 바깥의 활동을 안으로 가져오고 크립톤은 미술관의 기능을 메타 비평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해시태그》가 지향하는 가치들을 실현해냈다. 이들은 예측 불가능하고 무한한 맥락을 생성해내는 해시태그(#)처럼 전통적인 매체와 장르 간 경계를 넘어서는 확장성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미술관 전시’에 대한 사고를 유연하게 만들어 주었다.
우현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현재를 붙든 채 미래로 유영하기」
이우경, 이다영, 박주영 그리고 박민주가 2019년에 결성한 콜렉티브 로스트에어는 전자 음악 파티를 하나의 매체로 활용하여 그것이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또 공간과 공간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탐구해왔다……로스트에어가 ‘레이브 지오메트리’ 프로젝트를 통해서 그리고 레이브의 재정의를 통해서 주목하고자 한 하위문화의 저항성과 전복 가능성은 여러 시공간의 중첩과 그것을 누리는 경험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김호원, 「춤추는 데이터(x, y, z): 레이브, 클럽 그리고 하위문화」
정구원: 주영 님께서 “렌즈 베이스로 클럽을 기록한 이미지가 소비되는 방식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이야기에 많이 공감했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라이다센서를 이용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어요……파티를 기록하는 기존의 매체와 그 방식에 대해서 로스트에어가 가진 문제의식이 무엇인지를 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주영: ……어떤 의도를 가지고 찍냐에 따라 라이다가 대안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희 같은 경우는 방금 말씀드린 목적성을 완전히 배제하고, 관객들의 움직임과 공간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라이다를 활용하긴 했어요. 하지만 과연 이게 현실적으로 유효한 대안인지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지만요.
정구원, 「레이브: 공간에서 그리고 공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