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8896303358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5-26
책 소개
목차
6 발간사 • 박종달 • 리처드 암스트롱
8 감사의 글 • 강수정 · 안휘경
12 전위의 실험에서 실험미술로: 대안적 한국 모더니즘의 역사 • 조수진
30 지구촌: 1973년 파리비엔날레에서 • 안휘경
48 한국 실험미술, 무엇이 실험적인가? • 조앤 기
62 전환과 역동의 시대: 아방가르드—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 • 강수정
86 전시 작품
한국 실험미술 글 모음
234 전위와 실험: 1960–7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과 해석 • 윤진섭
242 한국의 전위예술 • 백기수
244 한국미술 1970년대를 맞으면서 • 하종현
246 확장과 환원의 역학: 《70년·AG전》에 붙여 • 김인환, 오광수, 이일
247 제4집단 선언문
248 전위예술은 퇴폐가 아니다 • 김윤수
250 1회 서울비엔나레 취지문 • 한국아방가르드협회
251 한국의 전위예술 • 장윤환
254 대지를 만들고 세계를 여는 사람들— S.T전의 의미 • 김복영
256 행위의 장으로서의 만남: 에저또와 해프닝, 이벤트, 판토마임 • 김구림, 김성구, 방태수, 이건용, 정찬승
259 한국적인 소재와 나의 것 • 이승택
260 내일을 모색하는 작가들: 제5회 대구현대미술제 • 이강소
262 냉각된 열풍—혼미와 모색(1966–1970) • 오광수
264 한국의 현대 미술과 〈S.T〉 • 이건용
266 작가, 동인 소개
272 연보
282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더니즘에서의 '한국적'인 것의 의미가 쉽사리 포착되지 않는 것처럼, 그 대안으로서의 '실험'의 의미 또한 단정적으로 정의하기 어렵다. 실험미술은 그러므로 '한국적 모더니즘'은 아니나, 과거 혹은 타국의 어떤 모더니즘과도 동일 선상에서 비교할 수 없는 '한국의 모더니즘'이다. 나아가 그 존재의 면모는 현재의 모더니즘, 반(反)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이해로는 결코 온전히 파악할 수 없다. 한국의 실험미술은 보편적 세계 미술사라는 전제로는 규명이 불가능한, 그저 실험미술인 것이다.
조수진, 「전위의 실험에서 실험미술로: 대안적 한국 모더니즘의 역사」
한국 작가들이 현대미술 비엔날레의 데뷔 무대로 1961년 파리비엔날레에 처음 참가했을 때 작가, 비평가, 언론에서는 오랫동안 기다려 온 '국제 미술계에 진출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인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올림픽' 입성을 축하했다……한국의 이 젊은 실험미술가들은 과연 누구인가? 이들은 설치, 비디오, 퍼포먼스, 사진 분야의 선구자들로서 매체와 과정에 대한 획기적인 접근 방식으로 당시 빠르게 변화하고 세계화되어 가는 사회정치적 지형과 물질적 조건을 매체와 작업 과정에 반응하고 반영하였다. 이렇게 이들은 하나의 미학이나 매체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며 연합하였다.
안휘경, 「지구촌: 1973년 파리비엔날레에서」
한국의 실험미술이 실험적이었던 이유는 작품이 출세지향적인 현대화에회의적이고 극단적 합리주의의 위험에 예민한 중산층의 관점에서, 전후 대한민국의정부, 일상, 문화 전반을 보증하던 가장 불안한 개념들을 은유적으로 시험하려했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소상공인, 지식인, 사무직 노동자를 가리키는 포괄적인추상 개념이었던 중산층은 1960년과 1980년 사이에 폭발적으로 증가했다.실험 미술가들은 다른 면에서는 정확히 중산층에 속했지만 소위 문화적 전위로용인되던 신념에는 깊은 회의감을 표현했다.
조앤 기, 「한국 실험미술, 무엇이 실험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