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46082489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김민정
1부 세계의 뉴페미니즘
1장 21세기 독일의 뉴페미니즘과 독일 여성운동의 과제| 전복희
1. 들어가며|2. 영미권의 뉴페미니즘의 특징|3. 독일의 뉴페미니즘의 특징|4. 나오며: 독일 여성운동의 발전을 위한 제언
2장 1989년 이후 폴란드의 여성운동과 뉴페미니즘의 전개: 임신중단 이슈를 중심으로| 김경미
1. 들어가며|2. 체제전환기 폴란드의 페미니즘과 여성운동|3. 2010년대 이후 폴란드의 뉴페미니즘|4. 나오며
3장 제4의 물결 페미니즘을 넘어: 아르헨티나 페미니즘의 확산| 이순주
1. 들어가며|2. 라틴아메리카 페미니즘의 발전|3. 아르헨티나 페미니즘 운동의 수단과 전략|4. 나오며
4장 육체적 페미니즘: 미국 페미니즘의 새로운 경향| 김욱·이정진
1. 들어가며|2. 1990년대 육체적 페미니즘 이론: 버틀러와 그로츠|3. 21세기 연구 동향: 육체와 물질의 강조|4. 미국 페미니스트 운동과 여성의 몸: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주요 논쟁|5. 요약 및 시사점
5장 일본에서 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 ‘여자력’과 ‘애국여성’을 중심으로| 이지영
1. 들어가며|2. 일본의 제1의 물결 페미니즘과 여성의 전쟁협력|3. 일본의 제2의 물결 페미니즘과 젠더 역풍|4. 일본의 포스트페미니즘의 전개, ‘여자력’과 ‘애국여성’|5. 나오며
6장 글로벌 페미니즘과 유엔의 역할: 여성 의제의 전개를 중심으로| 최정원
1. 들어가며|2. 보편적 가치로서의 글로벌 페미니즘|3. 유엔의 역할과 여성|4. 유엔 여성 의제들의 형성과 전개|5. 나오며
2부 한국의 뉴페미니즘
7장 2015년 이후 한국 여성운동의 새로운 동향| 김민정
1. 들어가며|2. 2000년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여성운동|3. 새로운 여성운동의 등장|4. 새로운 여성운동의 새로움|5. 나오며
8장 디지털 공간에서 젠더의 주체화와 저항의 정치: 온라인 페미니즘을 중심으로| 박채복
1. 문제제기|2. 새로운 페미니즘 운동으로서 온라인 페미니즘|3. 온라인과 페미니즘의 조우, 정치성의 확산|4. 사이버 테러와 여성혐오에 대한 반격|5. 온라인 페미니즘의 지속성, 확장성 그리고 페미니즘적 지향|6. 나오며
9장 온라인 페미니즘: 전개와 시사점| 김감미·김성진
1. 들어가며|2. 온라인 커뮤니티 발전과 페미니즘|3. 한국사회 내 온라인 페미니즘의 촉발과 확산|4. 온라인 페미니즘의 정치화|5. 나오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뉴페미니즘은 1970년대 독일의 페미니즘과 매우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뉴페미니스트들은 남성과 함께하는 페미니즘을 공통적으로 주장한다. 코흐-메린은 “남성에 반대하는 여성의 페미니즘은 어제의 것이다”라고 하며 남성과 함께하는 뉴페미니즘은 여성이 발전되면 남성에게도 매우 좋은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페미니즘이라고 주장한다. 도른(Dorn)도 F-계급이 투쟁해야 하는 적은 남성이 아니고 둔한 남성과 여성 모두라고 언급한다. 『알파 걸』의 저자들도 “여성들과 함께, 남성들과 함께”를 강조한다. (1장•21세기 독일의 뉴페미니즘과 독일 여성운동의 과제)
흥미로운 것은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에서는 모든 영역과 사회문제에서 보다 많은 관용과 자유가 부여되어 왔으나 유독 임신중단과 관련해서는 정반대 흐름이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체제전환 직후부터 가톨릭교회는 보수정당과 보수정치인 및 보수단체들을 통해 현실 사회주의체제하에서 자유로이 시행되었던 임신중단을 점차 제한하는 입법, 곧 기존의 낙태법을 태아의 생명권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줄기차게 개정을 추진했다. 이러한 시도에 대해 폴란드 여성들은 반대시위와 저항운동을 펼치게 되는데, 체제전환 이후 폴란드의 대중적 여성운동의 시작과 중심에는 합법적 임신중단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임신중단법」 개정에 대한 반대가 자리하고 있다. (2장•1989년 이후 폴란드의 여성운동과 뉴페미니즘의 전개)
‘검은 시위’는 아래로부터의 정치적 실천의 새로운 활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으며, 이전의 폴란드 페미니스트 운동의 언어와 담론 전략들과 명백한 차이를 보인다. 2016년의 여성들의 저항이 정부여당에게 압박을 가함으로써 임신중단을 엄격히 제한하는 법안의 입법화를 막는 데에 성공했던 이유는 무엇보다도 시위 참여자들이 대중적 규모의 동원을 통해서 그리고 스스로를 ‘평범한 여성들’로 위치시킴으로써 우파 포퓰리즘에 대항해 응전했기 때문이다. (2장•1989년 이후 폴란드의 여성운동과 뉴페미니즘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