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통설의 탄생

통설의 탄생

(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지은이), 김범철, 양시은 (엮은이)
진인진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60원
20,2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통설의 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통설의 탄생 (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상고사
· ISBN : 9788963474922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2-02-25

책 소개

한반도 선사/원사 고고학과 고대사분야를 통칭하는 상고사 영역의 주류 학설과 쟁점을 정리한 연구서. 2020년 11월 27일 개최된 제53회 학술대회 ‘통설의 탄생-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1년 넘게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발간되었다.

목차

발간사
한국상고사학회장 _3
목차 _5
그림목차 _7
표목차 _9
서론: 通說ㆍ定說, 政說, 停說 그리고 正說_김범철 _11
1. 한국인의 기원과 형성에 관한 연구 검토: 담론의 형성과 전개_우은진 _19
2. 한국 ‘상고 민족’ 담론의 창안_오영찬 _41
3. 한국 청동기시대의 사회조직과 그 성격: ‘통설’의 재인식_곽승기 _63
4. 原史, 쟁점과 접점의 시대 인식_박경신 _81
5. 고구려 도성제론 다시보기_양시은 _113
6. 신라고분 연구에 있어서의 통설_심현철 _153
7. 삼국 문화 일본 전파론: 담론의 형성과 변용_이병호 _173
결론: 상고사 연구의 연구를 위하여_김종일 _195
참고문헌 _201
그림출처 _225
찾아보기 _229
필자소개 _233

저자소개

한국상고사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연구재단 등재학회로, 1987년 가을 한국 상고사를 연구하는 여러 분야의 소장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출발하였습니다. 설립 이후, 학술지 발간과 학술대회 개최를 꾸준히 수행하여, 2021년 현재까지 『한국상고사학보』는 114호를 발간하였고, 55회에 이르는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였습니다. 학제적 접근을 통해 한국 상고사를 연구하고자 했던 설립취지에 맞게, 학술지와 학술대회는 한국 및 세계 다른 지역의 선사·역사고고학이나 고대사, 자연과학 등 우리 상고사를 규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성과라면 ‘장벽’ 없이 수용해왔습니다. 앞으로도 설립취지에 걸맞게 학문 융합을 지향하고 포괄적 수용의 자세를 견지하며, 학계의 선도 학회로서의 역할을 다하겠습니다.
펼치기
김범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서울 출생이다. 현재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인류학과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고자료에 대한 공간 및 계량분석, 취락 및 가구고고학, 한국 선사시대 사회·경제적 진화에 대한 설명 등에 집중해왔으나 최근 기후변동, 문화유산 정책, 생물고고학 등으로 관심을 확장하고 있다. 『쌀의 고고학』(2011), 『가옥, 가족, 가구』(2018), 『Rice and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Bronze Age』(2018), 『고고학을 위한 기초통계학』(2009), 『고고학을 위한 통계학』(2019), 『생물고고학』(2022) 등의 저·역서와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아울러, 『움직이는 세상, 움직여야 하는 고고학』(2012), 『한국 청동기문화 개론』(2015), 『統一時代의 考古學』(2014), 『時, 空, 形態 그리고 量』(2016), 『기후, 문화 그리고 인간』(2021), 『통설의 탄생』(2022) 등 10여 권의 전문서를 기획·책임편집했다.
펼치기
양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한국고고학 이해>(공저, 진인진, 2023), <통설의 탄생>(공저, 진인진, 2022), <발해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1),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 II>(공저, 2021,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고고–유적 편>(공저, 2021,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고고학>(공저, 진인진, 2020), <흉노>(공저, 진인진, 2017), <고구려 성 연구>(진인진, 2016)
펼치기

책속에서

通說의 탄생 한국 상고사의 주류학설에 대한 발전적 검토
이 책의 저자들이 동의하는 바이기도 하거니와, 이 책이 시도된 이유는 通說의 정의와 직접적 관련이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세상에 널리 알려지거나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설’로 ‘통설’을 정의하고 있다. 한편, ‘說’은 ‘견해, 주의, 학설, 통설 따위를 이르는 말’로 풀이되어 있고 용례로 ‘이것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설을 달리하고 있어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를 제시하고 있다. 종합하자면, 통설은 (상대적으로) 널리 인정되지만 확정된 얘기는 아니라는 듯하다. ‘집단지성’을 가벼이 볼 수는 없으나 통설은 좀 더 긴 안목에서 보면, ‘잠정적인’ 견해 또는 학설이 될 수밖에 없다. 다소 다른 함의를 가진 것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없지 않으나, ‘일정한 결론에 도달하여 이미 확정하거나 인정한 설’로 정의되는 定說 또한 인정의 주체나 용례를 고려하면 결국 통설의 다른 표현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론〉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